[[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將}}}장수 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寸|{{{#000,#fff 寸}}}]],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丬寽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はた, まさ-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丬⿱夕寸의 형태이다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āng, ji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將은 ''''장수 장''''이라는 [[한자]]로, '장수(將[[帥]])', '장차(將[[次]])'를 뜻한다. 그래서 ''''장차 장''''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C07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MBDI(女一月木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𪧷[* [[肉]](고기 육)과 [[寸]](마디 촌)의 합자.]과 음을 나타내는 [[爿]](나뭇조각 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갑골문에서는 두 손으로 평상을 들어올리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혼자서 무거운 평상을 들 정도로 힘이 센 사람이라는 의미로 보인다. == 용례 == === [[단어]] === * [[대장(계급)|대장]]([[大]]將) * [[장교]](將[[校]]) * [[장군]](將[[軍]]) * [[대장군]]([[大]]將[[軍]]) * 장무장군(將[[武]]將[[軍]]) * [[정이대장군]](征[[夷]]大将[[軍]]) * [[장기]](將[[棋]]) * 장래(將[[來]]) * [[장래희망]](將[[來]][[希]][[望]]) * [[장성]](將[[星]]) * [[장수]](將[[帥]]) * 장차(將[[次]]) === [[고사성어]]/[[숙어]] === * [[독불장군]]([[獨]][[不]]將[[軍]]) * [[동장군]]([[冬]]將[[軍]]) * [[백전노장]]([[百]][[戰]][[老]]將) * 부라장상([[府]][[羅]]將[[相]]) * 사후명장([[死]][[後]][[名]]將) * 시야장반([[是]][[夜]]將[[半]]) * 양수겸장([[兩]][[手]][[兼]]將) * 용장약졸([[勇]]將[[弱]][[卒]]) * 일목장군([[一]][[目]]將[[軍]]) * [[일취월장]]([[日]][[就]][[月]]將) * 장래설계(將[[來]][[設]][[計]]) * 장립대령(將[[立]][[待]][[令]]) * 장문유장(將[[門]][[有]]將) * 출장입상([[出]]將[[入]][[相]]) * 허전장령([[虛]][[傳]]將[[令]]) === [[인명]] === * [[고장환]]([[高]]將[[焕]]) * [[니카이도 쇼헤이]]([[二]][[階]][[堂]] 将[[平]]) * [[라쇼진 미즈키]]([[羅]]将[[神]] ミヅキ) * [[류도인 겐쇼]]([[龍]][[堂]][[院]] [[幻]]将) * [[미도 마사타케]]([[御]][[堂]] 将[[剛]]) * [[사카타 쇼고]]([[坂]][[田]] 将[[吾]]) * [[스다 마사키]]([[菅]][[田]] 将[[暉]]) * [[오카다 마사키]]([[岡]][[田]] 将[[生]]) * [[우노 쇼헤이]]([[宇]][[野]] 将[[平]]) * [[우미세 쇼고]]([[海]][[瀬]] 将[[悟]]) * [[카노 요시유키]]([[加]][[納]] [[嘉]]将) * [[타지마 쇼고]]([[田]][[島]] 将[[吾]]) * [[토야 마사테루]]([[棟]][[耶]] 将[[輝]]) === [[지명#s-2]] === * [[경기도]] [[과천시]] [[장군마을길]](將[[軍]]마을길) * [[경상남도]] [[진주시]] [[장대동]]([[西]]將[[臺]][[洞]])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忠]]將[[路]])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광역시)|서구]] [[장군산로]](將[[軍]][[山]][[路]]) * 상장봉([[上]]將[[峯]]) * [[서울특별시]] [[관악구]] [[장군봉길]](將[[軍]][[峰]]길)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將[[軍]][[面]]) * 장수봉(將[[帥]][[峯]]) * [[전라남도]] [[여수시]] [[장군산길]](將[[軍]][[山]]길) === [[창작물]] === * [[도이장가]]([[悼]][[二]]將[[歌]]) * [[병장도설]]([[兵]]將[[圖]][[說]]) *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 오호대장기([[五]][[虎]][[大]]將[[記]]) * 임장군전([[林]]將[[軍]][[傳]]) === 기타 === * '''[[장기]] 용어''' * 마장([[馬]]將) * 상장([[象]]將) * 졸장([[卒]]將) * 차장([[車]]將) * 포장([[包]]將) * [[졸장]]([[拙]]將) == 유의자 == * [[帥]](장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