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姬}}}계집 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女|{{{#000,#fff 女}}}]],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め{{{#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姬는 ''''계집 희''''인데 아씨, 아가씨, 공주, 첩을 뜻하는 [[한자]]이다. [[주나라]] 왕족의 성이기도 했다. 신분이 높은 여자를 가리키는 뜻으로, 또는 단순히 여자의 미칭으로 사용되었다. 중국 신화에서 염제 [[신농]]씨의 딸 요희(磘姬)의 이름에도 들어갔다. 주나라 시절에 '천자의 딸'이란 뜻으로 '왕희(王姬)'란 단어를 사용했음을 참고하여, 1113년에 북송의 [[송휘종]]은 [[공주]](公主) 칭호를 '제희(帝姬)'라고 바꾸기도 했다. 이전부터 제녀(帝女)라는 비슷한 단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송희종이 굳이 제희란 단어를 만든 이유는 희(姬) 자가 계집 녀(女)를 대체하고 더 아름답게 부를 만한 한자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강의 변]]으로 [[송고종]]이 남송으로 옮겨간 뒤 1127년에 제희 칭호를 폐지하고 다시 공주라고 되돌렸다. 일본에서는 삼갈 진([[姫]]) 자를 계집 희(姬) 자의 대체자로 사용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9EC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SLL(女尸中中)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女]](여자 녀)와 음을 나타내는 [[𦣝]](턱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21세기 이후론 사용 빈도가 낮지만 인명용으로 많이 쓰이는데, [[아가씨|훈이 훈이다보니]] 姬가 들어가면 100% 여자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이름자에 넣는 경우는 거의 없고 거의 성씨에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가희]]([[佳]]姬) * [[가희]]([[歌]]姬) * [[무희]]([[舞]]姬)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김도희(가수)|김도희]]([[金]][[到]]姬): 한국의 가수. * [[리춘히]]([[李]][[春]]姬): 북한의 [[조선중앙방송]] 보도국장. * [[양희은]]([[楊]]姬[[銀]]): 한국의 가수. * [[유난희]]([[劉]][[蘭]]姬): 쇼호스트. * [[이선희]]([[李]][[仙]]姬): 한국의 가수. * [[이희호]]([[李]]姬[[鎬]]): [[김대중]]의 부인. * [[희진|전희진]]([[田]]姬[[振]]): 아이돌 [[이달의 소녀]] 멤버. * [[최강희(배우)|최강희]]([[崔]][[江]]姬): 한국의 배우. * [[김희정(정치인)|김희정]]([[金]]姬[[廷]]): 정치인. *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金]]姬[[眞]]): 배구선수 * [[주나라]] 및 그 [[동성 제후국]]의 왕공족 : 모두 姬姓이었다.[* 당대에는 姓과 氏는 별개였다. 가령 위(衛)나라 공족은 희성 위씨.] * [[희붕비]](姬鵬飛): 중국의 정치인. ~~현대사에서 가장 유명한 姬씨~~ * [[진수희]]([[陳]][[壽]]姬) * --[[천우희]]--: 원래는 姬를 사용했지만 뜻이 맘에 안들어 喜로 바꿨다고 한다. * 일본 * [[다키]]([[堕]]姫) * [[미타마즈카 요우키]]([[魂]][[塚]] [[妖]]姫) * [[센히메]]([[千]]姫) * [[오토히메]]([[乙]]姫) * [[와타츠키노 요리히메]]([[綿]][[月]] [[依]]姫)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綿]][[月]] [[豊]]姫) * [[유카리키 이치히메]]([[紫]][[木]] [[一]]姫) * [[키요노 모모히메]]([[清]][[野]] [[桃]]々姫) * [[히메가와 우타코]](姫[[川]] [[歌]][[子]]) * [[히메기 마츠리]](姫[[戲]] [[茉]][[離]]) * [[히메무시 모모요]](姫[[虫]] [[百]]々[[世]])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姫, version=22, paragraph=3.3)] === [[지명#s-2]] === * [[히메지시|히메지]](姫[[路]]) * [[히메지 성]](姫[[路]][[城]]) * [[히메지역]](姫[[路]][[駅]])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姫, version=22, paragraph=3.3)] === [[창작물]] === * [[かぼちゃ姫]]([[호박공주]]) * [[乙姫心で恋宮殿]] * [[吸血姫は薔薇色の夢をみる]]([[흡혈희는 장밋빛 꿈을 꾼다]]) * [[모노노케 히메|もののけ姫]] * [[반요 야샤히메|半妖の夜叉姫]]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姫, version=22, paragraph=3.3)] === 기타 === == 유의자 == * [[娘]](계집 낭) * [[女]](계집 녀) * [[媛]](계집 원) * [[牝]](암컷 빈) * [[雌]](암컷 자) == 상대자 == * [[男]](사내 남) * [[牡]](수컷 모) * [[犃]](수컷 부) * [[雄]](수컷 웅) * [[特]](특별할 특)[* '특별하다'라는 뜻 외에, 본래는 '수컷'을 뜻한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姫]](삼갈 진) - 일본에서는 아예 姫을 姬의 대용자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