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始}}}비로소 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女|{{{#000,#fff 女}}}]],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はじ-める, はじ-ま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로소 시'''. 비로소[* 그제야 처음으로. 어떤 일이나 현상이 다른 일이나 현상이 있고 난 후에야 처음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말.], 바야흐로[* 이제 한창. 이제 막. 어떤 현상이 말하는 시점을 시작으로 하여 미래에 걸쳐 이루어져 감을 나타내는 말.], 일찍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女]](여자)와 음을 나타내는 [[台]](태, 이)가 합(合)하여 이루어져서, 여자의 뱃속에 아기가 생기는 일이 시초라는 데서 비로소, 처음의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이다. 읽기 6급II , 쓰기 5급II에 속하는 [[한자]]다. == 용례 == === [[단어]] === * 개시([[開]]始) * [[시가]](始[[價]]) * [[시동]](始[[動]]) * 시말(始[[末]]) * [[시말서]](始[[末]][[書]]) * 시무(始[[務]]) * [[시무식]](始[[務]][[式]]) * [[시발]](始[[發]]) * 시발역(始[[發]][[驛]]) * [[시발점]](始[[發]][[點]]) * [[시생대]](始[[生]][[代]]) * 시업(始[[業]]) * [[시작]](始[[作]]) * 시점(始[[點]]) * [[시조]](始[[祖]]) * 시종(始[[終]]) * 시초(始初) * 시황(始[[皇]]) * [[연시]]([[年]]始) * [[원시]]([[原]]始/[[元]]始) * 원시권([[原]]始[[權]]) * [[원시림]]([[原]]始[[林]]) * [[원시인]]([[原]]始[[人]]) * 원시적([[原]]始[[的]]) * [[원시천존]]([[原]]始[[天]][[尊]]) * 창시([[創]]始) * 창시자([[創]]始[[者]]) === [[고사성어]]/[[숙어]] === * 금시초문([[今]]始[[初]][[聞]]) * 선시선종([[善]]始[[善]][[終]]) * 선종외시([[先]][[從]][[隗]]始) * 시근종태(始[[勤]][[終]][[怠]]) * 시종(始[[終]]) * 시종일관(始[[終]][[一]][[貫]]) * 시종여일(始[[終]][[如]][[一]]) * 신종여시([[愼]][[終]][[如]]始) * 연말연시([[年]][[末]][[年]]始) * 유시무종([[有]]始[[無]][[終]]) * 유시유종([[有]]始[[有]][[終]]) * 일부시종([[一]][[部]]始[[終]]) * 자금위시([[自]][[今]][[爲]]始) === [[인명]] === * [[김병시]]([[金]][[炳]]始) * [[김시진]]([[金]]始[[眞]]) * [[성시경]]([[成]]始[[璄]]) * [[성시백]]([[成]]始[[柏]]) * [[시연(드림캐쳐)|이시연]]([[李]]始[[娟]]): [[드림캐쳐]]의 멤버 * [[이시연(2000)|이시연]]([[李]]始[[燕]]): [[NMB48]]의 전 멤버 * [[정민시]]([[鄭]][[民]]始) * [[조시형]]([[趙]]始[[衡]]) === [[지명#s-2]] === * [[시흥군]](始[[興]][[郡]]) * [[시흥시]](始[[興]][[市]]) === [[창작물]] === * [[PARTYが始まるよ]]([[PARTY가 시작된다구]]) * [[永遠の7日-終わりなき始まり]] == [[일본어]] == === [[훈독]] === 始(はじ)める: 시작하다, 비롯하다 始(はじ)まる: 시작되다, 비롯되다 전자는 타동사, 후자는 자동사이다. [[일본어]]를 모르는 사람도 들어봤을 법한 '하지메마시테(처음 뵙겠습니다)'가 始(はじ)める에서 파생된 것이다. === [[음독]] === し. 예) 開始(かいし): 개시, 시작 == 유의자 == * [[竟]](마침내 경) * [[發]](필 발) * [[遂]](드디어 수) * [[俶]](비롯할 숙)[* '비롯하다' 이외에 '비로소'라는 뜻이 있다.] * [[初]](처음 초) == 상대자 == * [[末]](끝 말) * [[了]](마칠 료) * [[終]](마칠 종) * [[竣]](마칠 준) * [[畢]](마칠 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坮]](돈대 대) * [[鈶]](창 사) * [[冶]](풀무 야) * [[怡]](기쁠 이) * [[眙]](땅 이름 이) * [[佁]](미련스러울 이) * [[飴]]/[[𥹋]](엿 이) * [[珆]](옥돌 이) * [[枱]](쟁기 이) * [[貽]](줄 이) * [[詒]](줄 이/속일 태) * [[耛]](김맬 치) * [[𣅿]](눈여겨볼 치) * [[治]](다스릴 치) * [[齝]](새김질할 치) * [[殆]](거의 태) * [[𧉟]](검은 조개 태) * [[軩]](기울어질 태) * [[駘]](둔마 태) * [[抬]](매질할 태) * [[跆]](밟을 태) * [[鮐]](복어 태) * [[紿]](속일 태) * [[胎]]/[[孡]](아이밸 태) * [[咍]](비웃을 해) * [[秮]](알 찬 조 활) * [[𩇚]] * [[𩿡]] [[분류:준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