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奉}}}받들 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大|{{{#000,#fff 大}}}]],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ホウ, (ブ){{{#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てまつ-る, {{{#c88 うけたまわ-る, まつ-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è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奉은 ''''받들 봉''''이라는 [[한자]]로, '받들다', '바치다', '섬기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5949에 배당되어 있다. [[신령]]을 뜻하는 '丰'과 [[손]]을 뜻하는 '手'이 합쳐진 [[형성자]]로, '신령을 맞아 두 손으로 받든다' → '받들다'를 뜻하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봉납(奉[[納]]) * [[봉덕사종]](奉[[德]][[寺]][[鐘]]) * 봉독(奉[[讀]]) * [[봉사]](奉[[仕]]) * 근로봉사([[勤]][[勞]]奉[[仕]]), 봉사심(奉[[仕]][[心]]), 봉사자(奉[[仕]][[者]]), 사회봉사([[社]][[會]]奉[[仕]]) * [[봉서]](奉[[書]]) * 봉안(奉[[安]]) * [[봉안당]](奉[[安]][[堂]]) * 봉양(奉[[養]]) * 봉영(奉[[迎]]) * 봉직(奉[[職]]) * [[봉직전쟁]](奉[[直]][[戰]][[爭]]) * [[봉천]](奉[[天]]) * 봉천답(奉[[天]][[畓]]), [[봉천파]](奉[[天]][[派]]) * 봉축(奉[[祝]]) * [[봉헌]](奉[[獻]]) * 신봉([[信]]奉) * [[참봉]]([[參]]奉) * ~~[[국뽕|국봉]]([[國]]奉)~~ - 실제로 해외에서 [[국뽕]]에 대해 설명할 때 종종 이 한자로 [[초월번역|번역되곤 한다]](...). === [[고사성어]]/[[숙어]] === * 멸사봉공([[滅]][[私]]奉[[公]]) * 모의봉격([[毛]][[義]]奉[[檄]]) * 양봉음위([[陽]]奉[[陰]][[違]]) === [[인명]] === * [[강봉규]]([[康]]奉[[珪]]) * [[김봉연]]([[金]]奉[[淵]]) * [[연우진|김봉회]]([[金]]奉[[會]]) * [[동봉철]]([[董]]奉[[瞮]]) * [[박봉흠]]([[朴]]奉[[欽]]) * [[서봉수]]([[徐]]奉[[洙]]) * [[신봉선]]([[申]]奉[[仙]]) * [[신봉승]]([[辛]]奉[[承]]) * [[야마시타 도모유키]]([[山]][[下]] 奉[[文]]) * [[양성봉]]([[梁]][[聖]]奉) * [[오레키 호타로]]([[折]][[木]] 奉[[太]][[郎]]) * [[윤봉길]]([[尹]]奉[[吉]]) * [[윤봉우]]([[尹]]奉[[佑]]) * [[이봉창]]([[李]]奉[[昌]]) * [[장봉훈]]([[張]]奉[[勳]]) * [[정봉]]([[丁]]奉) * [[조봉암]]([[曺]]奉[[岩]]) * 성이 '''[[봉씨]]'''인 사람들 모두. === [[지명#s-2]] ===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시/행정#s-2.9|사봉면]]([[寺]]奉[[面]]) * 경상북도 [[봉화군]](奉[[化]][[郡]]) * 봉천산(奉[[天]][[山]]) === 기타 === * [[봉선사]](奉[[先]][[寺]]) * [[봉은사]](奉[[恩]][[寺]]) * [[봉천역]] * [[봉은사역]] == 유의자 == * [[擎]](받들 경) * [[廾]](받들 공) * [[捧]](받들 봉)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舂]](찧을 용) * [[奏]](아뢸 주) * [[秦]](성 진) * [[春]](봄 춘) * [[泰]](클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