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夬}}}괘이름/결단할 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大|{{{#000,#fff 大}}}]],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특급 한자|{{{#000,#fff 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カイ, ケ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き-める, ゆがけ, わ-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u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눌 쾌 / 쾌괘 쾌(夬) 나누다, 쾌괘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쾌괘는 [[주역]] 64괘에서 외괘가 태(兌, ☱)이고 내괘가 건(乾, ☰)인 괘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서는 592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K(木大)로 입력한다. 활시위를 당기기 위해 깍지를 손가락에 낀 모습을 묘사한 글자이다. 이체자로 이 글자의 옛 형태를 간직한 叏가 있다. 절운계 운서중에서는 거성 쾌운(夬韻)이 있으며, [[한국 한자음]]에서는 이 쾌운에 속하는 한자에 한해서만 초성 ㅋ이 발현된다. 하지만 사실 夬의 경우 쾌라는 발음은 [[속음]]인데 夬는 원래 전청이라 본음은 '''괘'''이다. 한국 한자음의 특성을 생각하면 특이한 편. 또한 이 글자는 깍지 결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이 글자가 방으로 들어간 한자는 그 음이 쾌(夬,快) 혹은 결(決, 缺 등)로 갈린다. 한국 한자음에서 '''쾌'''의 음가를 가지는 글자는 이 글자를 포함해서 夬(쾌괘 쾌), 快(쾌할 쾌), 獪(교활할 쾌), 筷(대젓가락 쾌, 쾌할 쾌), 噲(목구멍 쾌), 儈(거간 쾌), 𥢶(거친 쌀겨 쾌), 駃(쾌할 쾌)[* 버새, 준마라는 뜻일때는 "결"임], 璯(사람이름 쾌)[* 갓꾸미개의 뜻으로 쓰일 때는 "회"임.], 䈛(살대 쾌)[* 살대 괴(苦回切), 살대 쾌(古邁切) 모두 있음.]로 몇 글자 없다. 하지만 이마저도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는 快(쾌할 쾌) 하나밖에 없다. == 용례 == === [[단어]] === * 쾌결 * 쾌괘 * 쾌선 * 쾌설 * 쾌포 * 쾌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