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원곡 == [youtube(XNnVmglC1CE)] |||||| [[파일:external/remywiki.com/5_COMIC_SONG.png]] ||<#FFFFD2> [[BPM]] || 171 || ||<#FFFFD2>곡명|||||||| '''天麩羅兄弟''' || |||||||||| 謎の兄弟が送る天ぷらソング!冷めないうちに召し上がれ。 미지의 형제가 보내는 덴뿌라 송! 식기 전에 드세요. || ||<#FFFFD2>아티스트 명의|||||||| TEMPULA-BROS. || ||<#FFFFD2>장르명|||| COMIC SONG |||| 코믹 송 || ||<#FFFFD2>담당 캐릭터|||| PIERRE&JILL |||| 피에르&질 || ||<#FFFFD2>수록된 버전|||||||| pop'n music 5 || ||<#FFFFD2>[[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5버튼 /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43단계|| {{{#blue 8}}} || {{{#green 13}}} || {{{#orange 17}}} || {{{#red --}}} || ||<#FFFFD2>50단계|| {{{#blue --}}} || {{{#green 19}}} || {{{#orange 23}}} || {{{#red --}}} || ||<#FFFFD2>노트 수|| {{{#blue 130}}} || {{{#green 254}}} || {{{#orange 275}}} || {{{#red --}}}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작사 및 보컬[* 원곡의 피치를 낮추면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DJ SIMON]], 작곡 [[무라이 세이야]]. 변조된 음성의 보컬을 쓴 코믹한 노래. 무라이 세이야 곡중에선 드문 코믹한 노래지만 음악적으로든 패턴면에서든 크게 임팩트가 있지는 않다.[* 그나마 주목할만한 곳이라면 동시치기 계단 정도인데, 23레벨에 맞게 느린 편에 속한다. 20레벨대 러너라면 연습하는 데에 있어서 좋은 패턴이므로 한번쯤 해보는 것도 좋을지도?] 짠 판정이며 후살 속성이 있지만 해당 레벨대에서 벗어나지 않는 수준이다. 이런 이유였다면 이 문서의 존재 의미가 없지만 이 문서의 진정한 의미는 '''아래의 리믹스에 다 담겨져 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아아, 드디어 저질러 버렸다! 이런 엉뚱한 소재는, 당첨일지 꽝일지 종이 한 장 차이라 만드는 쪽이 꽤 결심하기 어려운 것. 조금 고생했습니다. 그래도, 신기한 가사와 수상한 분위기의 캐릭터에 도움을 받아,스탭들 사이에서는 덴뿌라 중독자 속출! 자, 여러분은 어떤가요? (무라이 세이야)|| == 리믹스 (テンプラ揚三) == [[파일:popndart.jpg]] 이 짤방의 주인공. [youtube(6Dcz6rJB0sA)] 1분 59초부터 보자. '''[[MENDES|딱 봐도 뭐가 문제인지 감이 잡힐 것]]이다...''' |||||| [[파일:external/remywiki.com/11_DRM%27N_FRY.png]] ||<#FFFFD2> [[BPM]] || 171 || ||<#FFFFD2>곡명|||||||| '''テンプラ揚三''' || |||||||||| 揚げにあげられもう三回目! 三度あげって焦げちゃってるじゃん!! 튀기고 튀겨서 벌써 세 번째! 세 번 튀겨서 타 버렸잖아!! || ||<#FFFFD2>아티스트 명의|||||||| [[SLAKE|GARIBEN KEN]] || ||<#FFFFD2>장르명|||| DRM'N FRY |||| 드럼 앤 프라이 || ||<#FFFFD2>담당 캐릭터|||| [[MZD]] |||| MZD || ||<#FFFFD2>수록된 버전|||||||| pop'n music 11 || ||<#FFFFD2>[[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5버튼 /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43단계|| {{{#blue 9}}} || {{{#green 20}}} || {{{#orange 38}}} || {{{#red --}}} || ||<#FFFFD2>50단계|| {{{#blue --}}} || {{{#green 26}}} || {{{#orange 45}}} || {{{#red 48}}} || ||<#FFFFD2>노트 수|| {{{#blue 267}}} || {{{#green 287}}} || {{{#orange 474}}} || {{{#red 967(37)}}}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개요 === [[팝픈뮤직]] 11에 추가된 팝픈계 최악의 [[후살]]곡이자 [[사기 난이도]]였던 리믹스 곡이 상당히 유명하다. 그만큼 원곡이 유명하지 않기도 했지만. 세 번 튀겼다는 얘기는 이게 두 번째 리믹스라는 것. 첫 번째 리믹스, 즉 두 번 튀긴 버전은 게임에서는 수록된 적이 없고 V-RARE SOUNDTRACK 4에 天麩羅兄弟ノ二度揚ゲReMIX 라는 이름으로 실려있다. 참고로 당시 팝픈의 리믹스곡은 장르명이 (원곡 장르명)REMIX 식으로 나오는 것이 보통이었는데 이 곡은 예외다. EX 패턴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래의 보면에 대한 설명은 악명 높았던 하이퍼 채보 이야기다. 하이퍼 난이도가 워낙 악명이 높아서 익스 채보 추가는 요원해 보였으나 [[팝픈뮤직 peace]]에서 '''EX채보가 진짜로 등장했고''' 이거는 이거대로 악명을 떨치는 중이다. 다만 하이퍼 난이도에 비하면 레벨에 비해 양심적으로 만든 채보라는 평가도 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나 말야~, 이 곡 듣자마자 뭔가 팍하고 왔어, 이건 드럼앤베이스 만만이잖아~. >그래서, 속공으로 충분히 한게 이거야. 좋은 그루브도 정해졌고 말야~. >어떠냐 엄청 느낌 좋지 멋지지!! > >GARIBEN KEN ~~아니요 전혀요(...).~~ === 팝픈뮤직 최악의 후살곡 === [[파일:attachment/drmnfry.jpg]] 하이퍼 패턴에서는 마지막 1소절에서 32개의 노트가 난타로 떨어진다. 이게 규칙성이 전무해서 알아보기 대단히 어려운 데다, 양손을 교대로 놀려서는 치기 어렵도록 까다롭게 배치해 놓은 난타로 한 손으로 1-4 식으로 이동해야 하는 곳도 있다. 이 정도면 차라리 같은 밀도의 계단이 쉽다 느껴질 정도이다. 그래서 후살 난이도만 따지면 42레벨은 커녕 45레벨의 어지간한 후살곡보다도 강하게 느껴진다. 저 후살 구간이 1소절만 더 길었어도 '''49레벨이 가볍게 찍힐 수준'''이지만, 후살을 제외한 곡 전체적인 난이도는 고작 36레벨 전후에 지나지 않는다. 하이퍼 패턴의 노트 수는 474개로, 42레벨에서도 최저 노트수이며 허용 BAD수는 10개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정석적인 플레이로 동●을 보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당시의 사운드 디렉터이자 이 곡의 보면 제작 담당이었던 [[wac]]이 뭔가 실험적인 걸 해 보려고 한 모양인데, '''적어도 상업 게임에서 할 짓은 아니었다(…).''' 실제로 '[[BMS]]에서 해라'라는 소리를 많이 들어온 보면. 나중에 wac은 이 곡 때문에 사과 비스무리한 것도 하게 된다. >그럼 시리즈에 걸쳐서 "이 보면은 대단하다!"라고 생각한 보면은 어떤 곡인가요? >[[wac]]: 그러니까 '드럼 앤 프라이' 하이퍼라니깐요, 그 보면은 몇 번씩이나 고치려고 생각했었어요! 하지만 전반은 이제 이 이상 어떻게 못 하고… 그러면 차라리, 여러분의 기억에 남는 편이 보면한테도 행복하다고 생각했죠. [[폭사|돌아가셨던]] 분들께는 여기서 사과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 >-[[월간 아르카디아|아르카디아]] 인터뷰에서 후일 등장한 [[NOBUNAGA]], [[Red Roses]], [[Remain]] EX도 극단적인 후살곡이긴 하나, 얘네들은 적어도 초중반부 난이도도 47 이상 줄 정도는 된다. 몇몇 동시치기는 실제로는 미세하게 타이밍이 어긋나 있어[* 일부 보면, 특히 [[猫叉Master]]의 곡에 많이 보이는 속성으로, 즈레노트라 한다.], 노트 하나하나가 무작위로 나오는 슈퍼랜덤을 걸어보면 거의 겹쳐 나오는 경우도 있다. 별 의미는 없지만 라피스토리아부터 추가된 이지게이지를 걸면 45레벨에서 가장 클리어하기 쉬운 곡이 된다(…). === 팝픈뮤직 최악의 사기 난이도곡 === H 보면은 등장 시의 난이도가 42단계 난이도 기준으로 '''36'''이었으며, 이게 17 무비까지 수정이 되지 않았다는 게 문제의 시작이었다. 난이도 책정은 '클리어 난이도' 기준이기 때문에 후살이 강하면 그만큼 난이도를 올려 줘야 함에도 불구하고, 곡 전체의 밀도가 낮은 탓에 스탭이 정신줄을 놓고 '36 정도면 되겠지' 해 버렸다 [[카더라]]. 팝픈뮤직은 '''그루브 게이지 위주'''로 클리어하는 게임인 탓에 36 도전 중인 플레이어는 '''절대로''' 이 곡을 그루브로는 클리어 할 수 없다. 물론 과거 시리즈에는 서바이벌 게이지가 적용되는 모드도 적지 않게 있었지만, fantasia 이후에는 그런 거 없다. 후살만 지나치게 강한 곡이기 때문에 이 곡을 클리어 하려면 현재의 50단계 난이도 기준 45~46 (구 39~40) 정도의 실력이 필요하며, 운의 작용도 크기 때문에 43~44 수준의 유저라도 클리어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하지만 저 후살을 버티는데는 지금의 42레벨 유저들에게도 정말 힘들고,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당시 44~45(구 38~39) 올클 때까지도 이 곡의 H만 남아 있는 게 일반적이었다. 결국 18 전국열전에서 38로 승격되었지만 아직도 사기라는 평이 많았고 [[팝픈뮤직 Sunny Park|Sunny Park]]에서 50단계로 난이도 체계가 바뀔 때 구 39에 해당하는 45로 다시 승격되었다. 팝픈뮤직은 4단계 승격된 곡이 지금의 42 이상 구간에서만 따져도 세 곡이나 되기 때문에 이 곡의 3단계 승격은 사실 그렇게 특별한 것도 아니다. 다만 곡 전체에 비해 후살만 지나치게 어렵게 만들어 놓은 보면 장난질과, 그렇게 만들어진 보면의 실제 클리어 난이도에 대한 팝픈뮤직 스탭진의 반응, 더불어 오랜 기간 방치된 난이도[* 42→45라는 동급의 승격이 이루어졌던 [[ダイバージェンス]]의 경우 무려 수록 1달만에 승격이 되었다. 본 곡의 방치된 과거와는 차이가 크다.] 때문에 사기 난이도곡의 아이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正確にはいれぶんぶんのバグチェック以来のクリアです RT [[https://twitter.com/popn_team|@popn_team]]: テンプラ揚三 HYPER、wacさん初クリア! [[https://twitter.com/search?q=%23popn&src=hash|#popn]] — wac (@wac_toriaezu) [[https://twitter.com/wac_toriaezu/statuses/347265102656970753|June 19, 2013]] >정확히는 [[팝픈뮤직 11|일레븐븐]]의 버그 체크 이래입니다 RT @popn_team: テンプラ揚三 HYPER、wac씨 첫 클리어! #popn 이 채보를 짰던 wac 본인은 팝픈 11의 버그 체크 당시 클리어를 한 번 했었고, 그 이후 약 10여 년이 지난 2013년 6월에 이르러서야 두 번째 클리어를 하게 되었다. --난이도 조절만이 아니라 플레이 자체를 방치하고 있었던 것이다-- === 더 악랄해진 EX채보 === [[팝픈뮤직 peace]]에서 구곡 EX채보 추가정보가 나올때 이곡도 소식이 나왔고 실제로 엑스트라편이라는 엑스트라 채보 해금으로 48렙짜리 EX 채보가 등장했다. [youtube(b9Br3mxbFIo)] 새로 추가된 EX채보는 피스에 추가된 다른 EX채보들과 비슷하게 롱노트를 활용한 채보인데 하필이면 '''마지막 마디 전에 채보도 강화된 것도 모자라서 이 구간에 롱잡까지 들어가 있어서 상당히 난해해졌다.''' 노트수도 2배 가량으로 늘어나서 게이지도 짜졌는데[* 다행인건 총 노트수가 1000개가 안되기 때문에 약간 짠게이지까진 올라가지 않는다는 점. 1024개를 오버해서 약간 짠게이지까지 갔다면 49까지 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전반부 강화+롱잡 추가 때문에 전체적인 난이도가 올라갔다. 하이퍼에서 나왔던 후살구간은 단순 난타 패턴이었다면, EX에서는 롱잡 이후 한손처리를 요구하는 패턴으로 나왔다. 특히 마지막은 12121111이라는 왼손 고정패턴이 나오므로 오른손이 날뛰어야한다. 다만 어떻게 손을 움직여야 할 지 가늠하기 조차 힘든 하이퍼에 비하면 비교적 치기 쉽게 나온다. 후살 전에 나오는 계단도 주의. 다만 사기난이도로 욕을 먹었던 하이퍼 채보와는 다르게 48이라는 레벨을 초월하는 정도의 난이도는 아니라서 이 정도면 괜찮게 나왔다는 의견이 많다. 안그래도 피스에서 나온 46~47레벨 곡들의 전체적인 난이도가 [[불렙]]이라는 평가기 때문에 충분히 예상 가능한 수준의 패턴이고 레벨에 맞는 정직한(?) 난이도라는 점때문에 더 괜찮다고 할 수도.[* 그도 그럴 게, 47에 있었던 신곡이 갑자기 ''' 아무 이유도 없이 46으로 하향을 당한 사례도 있어''' 이 곡의 EX에 대한 반응은 여전히 적당하다는 시선일 수 밖에 없다.] 클리어 난이도와는 별개로 EX채보도 하이퍼와 비슷하게 풀콤작이나 퍼펙작난이도는 최상급이기 때문에 고통받는 유저들이 있다.[* 당장 위에 EX채보 영상에서도 플레이하는 유저가 팝클래스 100 이상에 KAC출전 경험이 있는 유저임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후살에서 1배드가 나오는걸 볼 수 있다.] [[분류:팝픈뮤직 11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