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大}}}큰 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大,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ダイ, タイ, {{{#c88 タ, ダ}}}}}}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à, d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大-order.gif]]}}}|| ||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큰', '커다란', '크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로, '태'라는 음도 있지만 보통은 '대'로 읽는다. [[접두사]]로 쓰이면 어떠한 사물이나 단체([[국가]], [[학교]] 등)에 대하여 크다는 의미 외에도 위대하다는 의미를 포함하며, [[접미사]]로 쓰이면 [[대학]]을 뜻하기도 한다([[서울대학교|서울'''대''']] 등).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크다 || || {{{-1 '''음'''}}} ||대, 태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à || || {{{-1 '''[[광동어]]'''}}} ||daai^^6^^, daai^^6-1^^[* 的咁大에서], daai^^6-2^^[* 老大에서] || || {{{-1 '''[[객가어]]'''}}} ||thai || || {{{-1 '''[[민북어]]'''}}} ||duōi || || {{{-1 '''[[민동어]]'''}}} ||duâi || || {{{-1 '''[[민남어]]'''}}} ||tāi[*文 [[문독]]] / tōa[*白 [[백독]]] || || {{{-1 '''[[오어]]'''}}} ||da (T3)[*文] / du (T3)[*白] || ||<-3> || ||<|2> '''[[일본어]]''' || {{{-1 '''음독'''}}} ||ダイ, タイ, {{{#c88 タ, ダ}}} || || {{{-1 '''훈독'''}}} ||おお, おお-きい, おお-いに || ||<-3> || ||<-2> '''[[베트남어]]''' ||đại || || [[파일:大 해서.gif|width=100]] |||| [[파일:大 소전.gif|width=100]] |||| [[파일:大 금문^.gif|width=100]] |||| [[파일:大 갑골문.gif|width=100]] || || 해서 |||| 소전 |||| 금문 |||| 갑골문 || [[유니코드]]에는 U+592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大)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ㄚˋ으로 입력한다. 사람(人)이 팔을 최대한 뻗어 크다를 뜻하는 [[상형자]]이다. 이체자로는 亣가 있다. 고문을 직접적으로 계승한 자형이다. 보통 용언이 한자의 훈으로 오면 '-(으)ㄹ' 어미를 사용하는데, [[白]](흰 백)과 더불어 몇 안 되게 '-(으)ㄴ' 어미를 사용하는 한자이다. 아래 유의자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크다'란 뜻을 가진 다른 한자는 많이들 '클'로 쓴다.[* 大夫, 大城에서] == 용례 == '크다'와 관련된 단어에는 거의 다 붙는 한자이기에 '''굉장히 용례가 많다.''' === [[단어]] === * [[강대국]](强大國) * 거대(巨大) * [[관대]](寬大) * 극대(極大) * 극대화(極大化) * [[효용극대화 문제]]([[效]][[用]][[極]]大[[化]] [[問]][[題]]) * [[연호|다년호]](大[[年]][[號]]): 다로 읽는다. * 담대(膽大) * [[대가족]](大家族) * [[대감]](大[[監]]) * [[대강]](大綱) * 대개(大槪) * [[대거]](大擧) * [[대공]](大公) * [[대구(어류)|대구]](大口) * [[대구 전쟁]](大口 戰爭) * [[대금]](大金/大笒) * 대궐(大闕) * [[대교]](大橋) * [[대군]](大君) * [[대기]](大氣) * [[대기권]](大氣圈), [[대기오염]](大氣汚染) * [[대기업]](大企業) * 대노(大怒) * [[대뇌]](大腦) * [[대다수]](大多數) * 대담(大膽) * [[대동법]](大同法) * [[대두]](大頭/大斗/大豆) * [[대란]](大亂) * 대략(大略) * [[대량]](大量) * [[대령]](大領) * [[대륙]](大陸) * [[대문]](大門) * [[대문자]](大文字) * [[대법관]](大法官) * [[대법원]](大法院) * [[대부]](大夫) * [[대부분]](大部分) * [[대불]](大佛) * [[대비]](大妃) / [[왕대비]](王大妃) / [[대왕대비]](大王大妃) * [[대사]](大事, 大使, 大士, 大寺) * [[대사관]](大使館) * [[대상]](大賞) * [[대서]](大暑) * [[대설]](大雪) * [[대성전]](大成殿 / 大聖殿) * [[대성당]](大聖堂) * [[대세]](大勢) * [[대소]](大小) *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신]](大[[臣]]) * [[대양]](大洋) * 대업(大業) * 대와(大渦) * [[대왕]](大王) * [[대운]](大運) * [[대웅전]](大雄殿) * [[대위]](大尉) * [[대의]](大義) * [[대인]](大人) * [[대장]](大將[* 한 무리의 우두머리라는 뜻의 대장], 大腸[* 우리 몸의 큰창자를 의미하는 대장]) * 골목대장(골목大將) * [[대장부]](大丈夫) * [[대저]](大[[抵]]) * [[대전]](大戰 / 大殿/大篆) * [[대주]](大主) * [[대주주]](大株主) * [[대중]](大衆) * [[대지]](大地) * [[대첩]](大[[捷]]) * [[대체]](大體) * [[도대체]](都大體) * [[대통령]](大統領) * 대포쟁이(大[[砲]]쟁이) * [[대하]](大河) * [[대학]](大學) / [[대학교]](大學校) * [[단과대학]](單科大學), [[대학교]](大學校), [[대학생]](大學生), [[대학원]](大學院) * [[대한(24절기)]](大寒) * [[대한민국|대한]](大韓) * [[대형]](大形 / 大兄) * [[대회]](大會) * [[대해]](大海) * [[막대]](莫大) * 방대([[厖]]大) * 성대(盛大) * 위대(偉大) * 장대(長大) * 중차대([[重]][[且]]大) * [[최대]](最大) * 최대한(最大限) * [[확대]](擴大 / 廓大) === [[고사성어]]/[[숙어]] === * 가가대소(呵呵大笑) * 능소능대(能小能大) * [[대기만성]](大器晩成) * 대해일속(大海一粟) * 박장대소(拍掌大笑) * [[입춘대길]](入春大吉) * 적소성대(積小成大) * [[침소봉대]](針小棒大) === [[인명]] === 인명에도 자주 쓰이는 한자이며, 보통은 남자 이름이 쓰인다. ==== [[한국]] ==== * [[김대건]](金大建) * [[김대견]](金大堅) * [[김대경]](金大景) * [[김대성]](金大城) * [[김대엽]](金大燁) * [[김대우(1988)|김대우]](金大祐) * [[김대유]](金大洧) * [[김대익]](金大益) * [[김대중]](金大中) * [[김대진]](金大鎭): 해당 문서의 3명 모두 똑같이 한자를 쓴다. * [[김대한]](金大漢) * [[김대호]](金大虎) * [[김대희]](金大熙) * [[다니엘 대 킴]]: 한국식 이름이 김대현(金大賢)이다. * [[김영대(배우)|김영대]](金永大) * '''[[고왕|대조영]](大祚榮)''' * [[배대윤]](裵大潤) * [[삼둥이|송대한]](宋大韓) * [[신대걸]](申大杰) * [[심대평]](沈大平) * [[이대형]](李大炯) * [[이대호]](李大浩) * [[이대휘]](李大輝) * [[전대웅]](全大熊) * [[정대세]](鄭大世) * [[정대현(1978)|정대현]](鄭大炫) * [[최대집]](崔大集) * [[홍성대]](洪性大) * [[황대웅]](黃大雄) * [[황대인]](黃大仁) * [[PD대정령]]: 본명이 김대현(大現)이다. ==== [[일본]] ==== * [[다이고]](大[[郷]], だいごう) * [[다이치]](大[[地]], だいち) * [[오타니 쇼헤이]](大谷翔平) * [[야마토 알렉산더]](大[[和]] アレクサンダー) * [[오노]](大[[野]], おおの) * [[오바]](大[[葉]] / 大[[場]] / 大[[庭]], おおば) * [[오시마]](大[[島]], おおしま) * [[오토리]](大[[鳥]][* 다만, 鳳인 경우도 있으니 구분해야 한다.], おおとり) * [[오오모리]](大[[森]] / 大[[盛]], おおもり) * [[오오야마]](大[[山]], おおやま) * [[오오와다]](大[[和]][[田]], おおわだ) * [[오누마]](大[[沼]], おおぬま) * [[오우치]](大[[内]], おおうち) * [[코나카 마사루]]([[小]][[中]]大) === [[지명#s-2]] === ==== 국내 ==== *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 중구 [[대봉동]](大鳳洞) * 중구 [[대신동(대구)|대신동]](大新洞) * 중구 [[대안동(대구)|대안동]](大安洞) * 동구 [[공산동#중대동|중대동]](中大洞) * 북구 [[대현동(대구)|대현동]](大賢洞) * 대달도(大㺚島) * [[대림동(서울)|대림동]](大林洞) * [[대방동(서울)|대방동]](大方洞) * [[대부도]](大阜島) / [[대부동]] (大阜洞) * [[서산시/행정#s-3.1|대산읍]](大山邑) * [[대야동(시흥)|대야동]](大也洞) * [[대야동(군포)|대야동]](大夜洞) *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 [[설악산#s-3.2|대청봉]](大靑峯) * [[대학동]](大學洞) * [[대학로]](大學路) * [[대흥동(서울)|대흥동]] * [[상대원동]](上大院洞) * [[신대방동]](新大方洞) * [[하대원동]](下大院洞) ==== 국외 ==== * [[다롄시]](大连市) * [[다리 바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 * [[다칭시]](大庆市) * [[대화퇴]](大[[和]][[堆]]) * [[베이징시]] [[다싱구]](大兴区) * [[오사카]](大阪) * [[홍콩]] [[타이포구]](大埔區) === 국호 === * '''[[대한민국]]'''(大韓民國) * '''[[대한제국]]'''(大韓帝國) === 지하철역 === * [[광운대역]] * [[대흥역]] * [[대방역]] * [[대림역]] * [[신대방역]] * [[서울대입구역]] * [[이대역]] * [[고려대역]] * [[신대방삼거리역]]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역]] * [[홍대입구역]] * [[동대입구역]] * [[대공원역(과천선)|대공원역]] * [[대곡역(고양)|대곡역]] * [[인천대공원역]] * [[인천대입구역]] *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 [[동대문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서대문역]] * [[대모산입구역]] * [[숭실대입구역]] * [[대화역]] * [[대치역]] * [[교대역(서울)|교대역]] * [[경인교대입구역]] * [[성신여대입구역]] * [[한성대입구역]] * [[성균관대역]] * [[오산대역]] * [[숙대입구역]] * [[대곡역(대구)|대곡역]](大谷驛) * [[대야미역]] * [[대연역]] * [[경성대·부경대역]] * [[동의대역]] * [[대저역]] * [[대티역]] * [[서대신역]] * [[동대신역]] * [[지치이다이역]]([[自]][[治]][[医]]大[[駅]]) === 기업 === * [[대림그룹]](大林ー) * [[대상그룹]](大象ー) * [[대우그룹]](大宇ー) === 연호 === * [[다이카]](大化) * [[다이쇼]](大正) === 기타 === * [[고게이다이]]([[五]][[芸]]大) * [[고비다이]]([[五]][[美]]大) * [[대갑서사항청사건]](大甲西社抗清事件) * [[다두 왕국|대두 왕국]](大肚王國) * [[대2병|대이병]](大[[二]][[病]]) * [[대인배]](大[[人]][[輩]]) * [[대포차]](大[[砲]][[車]]) * [[대포통장]](大[[砲]][[通]][[帳]]) * 명낙대전([[明]][[洛]]大[[戰]]) * [[문김대전]]([[文]][[金]]大[[戰]]) * [[선후대차관 사건]]([[善]][[後]]大[[借]][[款]] [[事]][[件]]) * [[야마토]](大和) * [[여대야소]]([[與]]大[[野]][[小]]) * [[여소야대]]([[與]][[小]][[野]]大) * [[오에도선]](大江戸線) * [[지잡대]]([[地]][[雜]]大) * [[추강대엽]]([[秋]][[姜]]大[[燁]]) * [[표국대]]([[標]][[國]]大)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시집가려면 시다다 같은 남자를 만나라]](要嫁就嫁习大大这样的人): 중국의 프로파간다 곡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유의자 == * [[巨]](클 거) * [[譚]](클 담) * [[德]](큰 덕) * [[太]]/[[泰]](클 태) * [[洪]](클 홍) == 상대자 == * [[尛]](작을 마) * [[微]](작을 미) * [[小]](작을 소)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尢]](절름발이 왕) == 여담 == * 팔을 양쪽으로 벌리고 다리를 약간 벌려 크게 누우면 몸이 大의 모양처럼 된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대자로 눕는다'고 표현한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8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