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夜}}}밤 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夕|{{{#000,#fff 夕}}}]],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よ, よ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夜는 ''''밤 야''''라는 [[한자]]로, 해가 뜨지 않는 [[밤(시간)|밤]]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밤 || || {{{-1 '''음'''}}} ||야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è || || {{{-1 '''[[광동어]]'''}}} ||je^^6^^ || || {{{-1 '''[[객가어]]'''}}} ||ya || || {{{-1 '''[[민남어]]'''}}} ||iā || || {{{-1 '''[[오어]]'''}}} ||hhia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ヤ || || {{{-1 '''훈독'''}}} ||よ, よる, {{{#c88 よ-さ, よ-さり}}} || ||<-3> || ||<-2> '''[[베트남어]]''' ||dạ || [[유니코드]]에는 U+591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ONK(卜人弓大)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夕]](저녁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亦]](또 역)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참고로 亦 자와 夜 자의 [[상고음]] 추정은 각각 [ɢ]Ak, [ɢ]Ak-s이다[* Baxter-Sagart 재구음 기준. Zhengzhang Shangfang 재구음 기준으로는 laːɡ, laːɡs이다.]. 이 글자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형에 상당히 변했다. [[갑골문]]에서는 등장하지 않고 [[금문]]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기본 형태는 亦 자처럼 생겼으나 오른쪽 점이 있어야 할 자리에 夕 자 아니면 [[月]](달 월) 자가 있다. 이 형태는 [[전서]]까지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예서]]와 [[해서]]를 거치면서 현재의 자형으로 바뀌어 원래의 亦 자 형태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 때문에 대표적인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로, 夜를 처음 [[자전(사전)|자전]]에서 찾아보는 사람은 [[亠]]부 한자로 착각하기 쉽다. == 용례 == === [[단어]] === * [[극야]]([[極]]夜) * [[금야]]([[今]]夜) * 독야([[獨]]夜) * [[백야]]([[白]]夜) * [[불야성]]([[不]]夜[[城]]) * 설야([[雪]]夜) * [[소야곡]]([[小]]夜[[曲]]) * 심야([[深]]夜) * [[야간]](夜[[間]]) * [[야간열차]](夜[[間]][[列]][[車]]) * [[야간자율학습]](夜[[間]][[自]][[律]][[學]][[習]]) * [[야간통행금지]](夜[[間]][[通]][[行]][[禁]][[止]]) * [[야간투시경]](夜[[間]][[透]][[視]][[鏡]]) * [[야경]](夜[[景]]) * [[야경증]](夜[[驚]][[症]]) * [[야곡]](夜[[哭]]) * [[야광]](夜[[光]]) * 야광명주(夜[[光]][[明]][[珠]]) * 야광시계(夜[[光]][[時]][[計]]) * 야광옥(夜[[光]][[玉]]) * [[야광운]](夜[[光]][[雲]]) * 야광주(夜[[光]][[珠]]) * [[야광충]](夜[[光]][[蟲]]) * [[야근]](夜[[勤]]) * [[야뇨]](夜[[尿]]) * [[야맹증]](夜[[盲]][[症]]) * [[야명주]](夜[[明]][[珠]]) * [[야반도주]](夜[[半]][[逃]][[走]]) * [[야상곡]](夜[[想]][[曲]]) * [[야시장]](夜[[市]][[場]]) * [[야식]](夜[[蝕]]) * [[야심]](夜[[深]]) * [[야전]](夜[[戰]]) * [[야차]](夜[[叉]]) * [[야학]](夜[[學]]) * [[야행]](夜[[行]]) * [[열대야]]([[熱]][[帶]]夜) * [[제야]]([[除]]夜) * 주야([[晝]]夜) * 주야장천([[晝]]夜[[長]][[川]]) - 흔히 '주구장창'이라는 정체불명의 표현으로 오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야장천'이 옳다. * [[철야]]([[徹]]夜) * 추야([[秋]]夜)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나나야 키리]]([[七]]夜 [[黄]][[理]]) * [[레이로칸 미사야]]([[玲]][[瓏]][[館]] [[美]][[沙]]夜) * [[마토 카리야]]([[間]][[桐]] [[雁]]夜) * [[사카키 신야]]([[逆]][[木]] [[深]]夜) * [[산즈 하루치요]]([[三]][[途]] [[春]][[千]]夜) * [[시미즈 나요타케]]([[清]][[水]] [[名]]夜[[竹]]) * [[야쿠 모리스케]](夜[[久]] [[衛]][[輔]]) * [[요미치 유키]](夜[[道]] [[雪]]) * [[히메가미 사쿠야]]([[秘]][[上]] [[佐]][[久]]夜) * [[히카와 사요]]([[氷]][[川]] [[紗]]夜) === [[지명#s-2]] === * [[반야월역]](半夜月驛) === [[창작물]] === * 犬夜叉([[이누야샤]]) * [[旅の終わりと祝祭の夜]]([[여행의 끝과 축제의 밤]]) * [[夜に駆ける]] * [[夜間行]] * [[레이야(컴파스)|零夜]] * [[夜と、明かりと。]] * [[夜咄ディセイブ]] * [[镜夜]] * [[ねがう夜]] * 淫らに喘ぐ七人の夜這いする孕女([[음란하게 허덕이는 일곱 요바이잉녀]]) === 기타 === * [[야간자율학습|야자]](夜[[自]]): [[야간자율학습]]의 준말 == [[일본어]] == === 훈독 === ==== よ ==== 雨夜(あまよ): 비 오는 밤. 夜道(よみち): 밤길. 또는 밤길을 걷는 일. 夜空(よぞら): 밤하늘. 합성어에서 夜가 よる 대신 よ로 읽는 경우가 많다. ==== よる ==== * 夜(よる): 밤 === 음독 === ==== ヤ ==== 夜間(やかん): 야간 昼夜(ちゅうや): 주야 == 유의자 == * [[宵]](밤 소)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