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堅}}}굳을 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た-い{{{#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堅은 ''''굳을 견''''이라는 [[한자]]로, '굳다', '견고(堅固)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80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EG(尸水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臤]](굳을 간/어질 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고자로는 䋌(U+42CC)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견강(堅[[剛]]/堅[[强]]) * 견경(堅[[硬]]) * 견고(堅[[固]]) * [[견과#s-2]](堅[[果]]) * [[견과류]](堅[[果]][[類]]) * 견뢰(堅[[牢]]) * 견리(堅[[利]]) * 견빙(堅[[氷]]) * 견새(堅[[塞]]) * 견성(堅[[城]]) * 견실(堅[[實]]) * 견인(堅[[忍]]) * 견지(堅[[持]]) * 견탄(堅[[炭]]) * 손견([[孫]]堅) * 중견([[中]]堅) * [[중견국]]([[中]]堅[[國]]) * [[중견기업]]([[中]]堅[[企]][[業]]) * [[중견수]]([[中]]堅[[手]]) === [[고사성어]]/[[숙어]] === * 견갑이병(堅[[甲]][[利]][[兵]]) * 견백동이(堅[[白]][[同]][[異]]) * 견백불출(堅[[壁]][[不]][[出]]) * 견벽청야(堅[[壁]][[淸]][[野]]) * 견성이갑(堅[[城]][[利]][[甲]]) * 견여금석(堅[[如]][[金]][[石]]) * 견여반석(堅[[如]][[盤]][[石]]) * 견인불발(堅[[忍]][[不]][[拔]]) * 견인지구(堅[[忍]][[持]][[久]]) * 견인지종(堅[[忍]][[至]][[終]]) * 견지아조(堅[[持]][[雅]][[操]]) * 궁당익견([[窮]][[當]][[益]]堅) * 승견책비([[乘]]堅[[策]][[肥]]) * 최견함진([[摧]]堅[[陷]][[陣]]) === [[인명]] === * [[견권]](堅[[權]]) * [[견담]](堅[[鐔]]) * [[김견술]]([[金]]堅[[術]]) * [[김대견]]([[金]][[大]]堅) * [[류구지 켄]]([[龍]][[宮]][[寺]] 堅) * [[소켄 마사요시]]([[祖]]堅 [[正]][[慶]]) * [[임견미]]([[林]]堅[[味]]) * [[자견왕]]([[自]]堅[[王]]) * [[후타쿠치 켄지]]([[二]][[口]] 堅[[治]]) === [[지명#s-2]] === * [[끼엔장성]](堅[[江]][[省]]) == 유의자 == * [[硬]](굳을 경) * [[固]](굳을 고) * [[鞏]](굳을 공) * [[確]](굳을 확) == 상대자 == * [[軟]](연할 연) * [[柔]](부드러울 유) * [[脆]](연할 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婜]](화려할 간) * [[硻]](굳을 갱) * [[掔]](끌 견) * [[蜸]](누에 견) * [[㹂]](소 끌리지 않을 견) * [[𪘦]](이 드러난 모양 견) * [[𡹩]](깊을 기) * [[緊]](긴할 긴) * [[㷂]](밝을 서) * [[竪]]/[[豎]](세울 수) * [[腎]](콩팥 신) * [[𦜜]](혹 신) * [[𤲗]](높을 연) * [[䁂]](큰 눈 한) * [[賢]](어질 현) * [[𢃥]](견) * [[𤭠]] * [[𩜬]]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