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嘔}}}게울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オウ, 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た-う, は-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울 구(嘔).''' '게우다', '기꺼이 말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게우다 || || {{{-1 '''음'''}}} ||구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ǒu || || {{{-1 '''[[광동어]]'''}}} ||au^^2^^ || || {{{-1 '''[[객가어]]'''}}} ||éu || || {{{-1 '''[[민남어]]'''}}} ||áu || || {{{-1 '''[[오어]]'''}}} ||e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オウ, ク'' || || {{{-1 '''훈독'''}}} ||''うた-う, は-く'' || ||<-3> || ||<-2> '''[[베트남어]]''' ||ẩu || [[유니코드]]에는 U+561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SRR(口尸口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한자인 [[口]](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인 [[區]](구분할 구)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구역(嘔[[逆]]) * [[구토]](嘔[[吐]]) * [[구토공포증]](嘔[[吐]][[恐]][[怖]][[症]])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유의자 == == 반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傴]](구부릴 구) * [[膒]](굳기름 구) * [[䧢]](길 울퉁불퉁한 모양 구) * [[𢄠]](깍지 구) * [[謳]](노래 구) * [[驅]](몰 구) * [[軀]]/[[𩪍]](몸 구) * [[鰸]](물고기 이름 구) * [[漚]](물거품 구) * [[瞘]](움펑눈 구) * [[𨄅]](절뚝거릴 구) * [[摳]](출 구) * [[䙔]](턱받이 구) * [[熰]]/[[𣉾]](통째로 구울 구) * [[嫗]](할미 구) * [[嶇]](험할 구) * [[彄]](활고자 구) * [[饇]](배부를 어) * [[醧]](사사로이 잔치할 어) * [[䩽]](동개 우) * [[塸]](모래 더미 우) * [[鏂]](문고리 우) * [[䌔]](삶은 삼 우) * [[慪]](아낄 우) * [[䡱]](구를 전) * [[貙]]/[[𤠾]](이리 추) * [[樞]](지도리 추) * [[𧏺]](누에 번데기 후) * [[𢕓]] * [[𣩛]] * [[𤛐]] * [[𦟾]] * [[𥕥]] * [[𦓇]] * [[𦗛]] * [[𦉒]]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