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喚}}}부를 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け-ぶ, よ-ぶ, わめ-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喚은 ''''부를 환''''이라는 [[한자]]로, '부르다(呼)', '외치다', '소환(召喚)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부르다 || || {{{-1 '''음'''}}} ||환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huàn || || {{{-1 '''[[광동어]]'''}}} ||wun^^6^^ || || {{{-1 '''[[객가어]]'''}}} ||fon || || {{{-1 '''[[민북어]]'''}}} ||hu̿ing || || {{{-1 '''[[민동어]]'''}}} ||huáng || || {{{-1 '''[[민남어]]'''}}} ||hoàn || || {{{-1 '''[[오어]]'''}}} ||huoe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ン || || {{{-1 '''훈독'''}}} ||''さけ-ぶ'', ''よ-ぶ'', ''わめ-く'' || ||<-3> || ||<-2> '''[[베트남어]]''' ||hoán || [[유니코드]]에는 U+559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NBK(口弓月大)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奐]](빛날 환)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소환]]([[召]]喚) * [[환기#s-2]](喚[[起]])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김갑환]]([[金]][[甲]]喚) === [[지명#s-2]] === == 유의자 == * [[聘]](부를 빙) * [[召]](부를 소) * [[籲]](부를 유) * [[徵]](부를 징) * [[招]](부를 초) * [[呼]](부를 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愌]](거스를 환) * [[㬇]](나라 이름 환) * [[㪱]](무늬 환) * [[渙]](물흩어질 환) * [[換]](바꿀 환) * [[煥]](불꽃 환) * [[瑍]](환옥 환) * [[𡞵]](환) * [[𠗫]] * [[𡺌]] * [[𦝝]] * [[𥈉]] * [[𨩉]] * [[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