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員}}}인원 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イ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ず}}}}}}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uán, yù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員은 ''''인원 원''''이라는 [[한자]]로, '인원(人員)'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713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WRBC(田口月金)로 입력한다. 설문해자 주의 서개의 설에 따르면 음을 나타내는 [[囗]](에워쌀 위)에 [[貝]](조개 패)가 더해진 [[형성자]]로, 과거에 조개가 화폐로 사용되어 물건의 숫자를 헤아리던 것이 인신되어 사람의 숫자를 헤아리는데 사용되었다고 적혀 있다. ||[[파일:42_ECB6.png|width=100&height=100]]||[[파일:42_ECB7.png|width=100&height=100]]||[[파일:42_ECB8.png|width=100&height=100]]||[[파일:42_ECB9.png|width=100&height=100]]|| |||||||| [[갑골문]] || 그러나 [[갑골문]] 및 [[금문]]으로 이 설이 [[민간어원]]임이 증명되었다. 𪔅(囗+鼎)이 원래 형태를 계승한 [[해서]]다.[* 비슷하게 금문에서 鼎이었다가 소전에서 貝가 된 예로 則이 있다.] 인원, 관직이라는 뜻으로 쓰일 때는 [[반절]]이 왕권절(王權切) 또는 우권절(于權切)에 [[사성|평성]](平聲) 선([[先]])자 운(韻)으로 원으로 읽으나, 더한다는 뜻이나 이름이나 성은 운으로 읽는다. 그래서 사람이 북적거리는 걸 뜻하는 [[의태어]]를 운운(員員)이라고 한다. 이중 운(員)씨는 오자서를 사람들이 그리워해 그 이름자를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더한다는 뜻이나 이름에 읽는 "운"은 [[사성|평성]] 문([[文]])자 운이고 성으로 읽는 "운"은 거성(去聲) 문([[問]])자 운이다. 따라서 [[오자서]]의 이름은 오운(伍員)으로 읽어야 하고 사람이름을 원으로 읽는 건 [[속음]]이다. == 용례 == === [[단어]] === * [[단원]]([[團]]員) * [[사원(직위)|사원]]([[社]]員) * [[신입사원]]([[新]][[入]][[社]]員) * 의원([[醫]]員/[[議]]員) * 인원([[人]]員) * 관원([[官]]員) * 생원([[生]]員) * 해원([[海]]員) === [[인명]] === * [[김의원]]([[金]][[毅]]員) * [[오운]]([[伍]]員) * 운반천(員[[半]][[千]]): 당나라의 관리. * [[장원영]]([[張]]員[[瑛]]) === [[창작물]] === * [[8時だョ!全員集合]]([[8시라구! 전원집합]]) * [[あいつら全員同窓会]]([[저 녀석들 전원 동창회]]) * [[メルヘン風紀委員会]]([[메르헨 풍기위원회]]) * [[こちら、幸福安心委員会です。]]([[여기는, 행복안심위원회입니다.]]) === 기타 ===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動]]員[[戡]][[亂]][[時]][[期]][[臨]][[時]][[條]][[款]]) * [[사복요원]]([[社]][[服]][[要]]員)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貴]](귀할 귀) * [[筫]](대그릇 지) [[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