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咨}}}차탄할/물을 자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口|{{{#000,#fff 口}}}]], 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9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ああ, なげ-く, はか-る}}}}}}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ī{{{#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咨는 ''''차탄할/물을 자''''라는 [[한자]]로, '차탄하다' 또는 '묻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次]](버금 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4A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OR(戈人口)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문자([[文]]咨) * 별자행([[別]]咨[[行]]) * 북자([[北]]咨) * 순자(舜[[咨]]) * 자게(咨[[揭]]) * 자관(咨[[官]]) * 뇌자관([[賚]]咨[[官]]) * 역자관([[曆]]咨[[官]]) * 영력자관([[領]][[曆]]咨[[官]]) * 별자관([[別]]咨[[官]]) * 재자관([[齎]]咨[[官]]) * 별재자관([[別]][[齎]]咨[[官]]) * 황력재자관([[黃]][[曆]][[齎]]咨[[官]]/[[皇]][[曆]][[齎]]咨[[官]]) * 재자관([[䝴]]咨[[官]]) * 제자관([[齊]]咨[[官]]) * 자문(咨[[文]]) * 개시자문([[開]][[市]]咨[[文]]) * 두호자문([[頭]][[戶]]咨[[文]]) * 완시자문([[完]][[市]]咨[[文]]) * 일월식자문([[日]][[月]][[食]]咨[[文]]) * 자문마(咨[[文]][[馬]]) * 자문마두(咨[[文]][[馬]][[頭]]) * 자문사대(咨[[文]][[査]][[對]]) * 자문서사관(咨[[文]][[書]][[寫]][[官]]) * 자문점마(咨[[文]][[點]][[馬]]) * 자문지(咨[[文]][[紙]]) * 자문표지(咨[[文]][[表]][[紙]]) * 통순자문([[統]][[巡]]咨[[文]]) * 자의(咨[[議]]) * 자지(咨[[紙]]) * 자차(咨[[嗟]]) * [[자탄#s-1]](咨[[歎]]/咨[[嘆]]) * 자패(咨[[牌]]) * 자해(咨[[解]]) * 재자행([[齎]]咨[[行]]) * [[하자#s-2]]([[下]]咨) * 회자([[回]]咨)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당자(삼국지)|당자]]([[唐]]咨) * [[문자명왕]]([[文]]咨[[明]][[王]]) * [[문자왕]]([[文]]咨[[王]]) * [[장자(삼국지)|장자]]([[張]]咨) * [[정자(삼국지)|정자]]([[程]]咨) * [[조자(후한)|조자]]([[趙]]咨) * [[홍자(삼국지)|홍자]]([[弘]]咨) === [[지명#s-2]] === * [[창덕궁 폄우사]]([[昌]][[德]][[宮]] [[砭]][[愚]]榭) === [[창작물]] === === 기타 === * [[자리모로국]](咨[[離]][[牟]][[盧]][[國]]) == 유의자 == * [[問]](물을 문) * [[㱁]](물을 수) * [[詢]](물을 순) * [[訊]](물을 신) * [[唉]](물을 애) * [[諮]](물을 자) * [[質]](바탕 질)[* '바탕' 이외에 '질문(質問)'과 같이 '묻다'라는 뜻이 있다.] * [[諏]](물을 추) * [[詰]](물을 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盗]](도둑 도)[* [[盜]](도둑 도)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 [[𠸆]]^^[⿱次吉]^^(넉넉할 섬) * [[𢫴]]^^[⿱次手]^^(끌어당길 자) * [[𥿩]]^^[⿱次糸]^^(다듬을 자) * [[栥]](대공 자) * [[𨦠]](도끼 자)[* [[鈭]](도끼 자)의 [[동자#s-2]]] * [[恣]](마음대로/방자할 자) * [[姿]](모양 자) * [[瓷]]/[[𦈱]]^^[⿱次缶]^^(사기그릇 자) * [[粢]](서직/젯밥 자) * [[餈]](인절미 자) * [[資]](재물 자) * [[秶]](피 자) * [[𣣰]]^^[⿱次⿰歺几]^^(회생할 자) * [[垐]](흙돋울 자) * [[楶]](쪼구미 절) * [[𩶲]]^^[⿱次魚]^^(갈치 제)[* [[鮆]](갈치 제)의 [[동자#s-2]]] * [[䳐]](새이름 차) * [[乲]](음역자 찰) * [[𭁊]]^^[⿱次八]^^ * [[𬁼]]^^[⿱次⺝]^^ * [[𭯎]] * [[𣣀]]^^[⿱次冉]^^ * [[𧊒]]^^[⿱次虫]^^ * [[𬢤]]^^[⿱次言]^^ * [[𰸏]]^^[⿱次足]^^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𡃭]](노래 가)[* [[歌]](노래 가)의 [[동자#s-2]]] * [[𡟔]]^^[⿰女咨]^^(바랄 욕) * [[𡕆]]^^[⿰壴咨]^^(아름다울 의)[* [[懿]](아름다울 의)의 [[동자#s-2]]] * [[𡄻]]^^[⿰壹咨]^^(탄식하는소리 의) * [[趦]](머뭇거릴 자)[* [[趑]](머뭇거릴 자)의 [[속자]]] * [[諮]](물을 자) * [[𩜴]]^^[⿰𩙿咨]^^/[[𥻓]]^^[⿰米咨]^^(인절미 자)[* [[餈]](인절미 자)의 [[동자#s-2]]] * [[㮞]](동자기둥 절) * [[𣯃]]^^[⿰咨毛]^^(자) * [[䠖]](자) * [[𨍢]]^^[⿰車咨]^^(자)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