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吾}}}나 오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口|{{{#000,#fff 口}}}]], 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ゴ}}}}}}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わ-が, われ}}}}}}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wú{{{#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吾는 ''''나 오''''라는 [[한자]]로, '[[나]]'를 뜻하며, [[한문]]에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 사용 빈도는 [[我]](나 아)와 함께 쌍벽을 이룬다. 친하지 않을 '''어''', 땅 이름 '''아'''[* 현재는 吾를 "아"로 읽는 지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옛 지명 중에서 금성군 윤아현(현 [[란저우시]])이라는 지역명을 쓸 때 유일하게 사용된다.]라는 명칭도 존재하나 거의 항상 '''나 오'''로 사용된다. 주음부호로는 ㄨˊ라고 쓴다 == 상세 == [[http://www.vividict.com/UpFile/5/20150715220952604p.jpg]] [[유니코드]]에는 U+543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MR(一一口)로 입력한다. 음을 나타내는 [[五]](다섯 오)와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며, '나'라는 1인칭 대명사를 나타낸다. 본래 상나라~서주 시대 때는 '나'라는 '1인칭 단수 대명사'를 나타내는 한자는 [[余]] 또는 [[予]]였으나 , [[동주]]~전국시대부터 吾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한(漢)대 때부터는 [[我]]를 쓰기 시작하였다. 현재 [[한자문화권]]에서 이것을 [[구어]]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표준중국어]]의 1인칭은 我(wǒ)이고, [[일본어]]의 1인칭으로는 주로 [[와타시]](私), [[보쿠]](僕), 혹은 남자가 자신과 동급이거나 하급인 사람 앞에서 하는 [[오레]](俺)가 있다.] 일본어의 [[와가하이]](吾(が)輩)가 있긴 하지만 이는 현재 사멸한 표현으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같은 근대 이전 문학이나, 여러 서브컬처에서나 간간히 사용되어진다.] 한국에서는 오등(吾等)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기미독립선언서]]와 같은 옛 문헌이 아니면 보기 힘든 글자이며 我 쪽이 비교적 더 알려져 있으니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기미독립선언서]]나 [[삼민주의가]] 등의 [[문어체]]에서는 자주 활용된다. 이 글자가 [[야민정음|'콤'처럼 보일 때가 가끔 있다]]. 또한, 아날로그 문서의 [[OCR]] 인식 오류로 '품'이라는 글자가 이 글자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예: [[https://www.google.com/search?q=%22%EC%A0%9C%E5%90%BE%22|제吾(제품)]], [[https://www.google.com/search?q=%22%EC%83%81%E5%90%BE%22|상吾(상품)]] 등. == 용례 == * [[아오지 탄광|아오지]](阿吾地) === [[인명]] === * [[고토게 코요하루]](吾[[峠]] [[呼]][[世]][[晴]]) * 곤오([[昆]]吾): [[중국 신화|중국 전설]]상의 도기(陶器) 제작법 발명가. * [[관이오]]([[管]][[夷]]吾) * [[긴죠 쿠우고]]([[銀]][[城]] [[空]]吾) * [[아즈마 미치나가]](吾[[妻]] [[道]][[長]]) * [[야부키 신고]]([[矢]][[吹]] [[真]]吾) * [[이지#s-7.1.1]]: [[아호]]가 탁오(卓吾)이다. * [[장승업]]: 호가 오원(吾園)이다. * [[진태오]]([[陳]][[泰]]吾) * [[기요우라 게이고]]([[清]][[浦]] [[奎]]吾) * [[우얼카이시 둬라이티]](吾[[尔]][[开]][[希]] [[多]][[莱]][[特]]) * [[히가시노 게이고]]([[東]][[野]] [[圭]]吾) == 지명 == 한국의 지명 * 금오리(金吾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s-3.2.2|남구 장기면]] * 내오리(內吾洞):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군/행정#s-1.2|주상면]] * 노오지동(老吾地洞): [[인천광역시]] [[계양구]] * 봉오리(峰吾里):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군/행정#s-4|상서면]] * 상오안리(上吾安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군/행정#s-2|홍천읍]] * 서오지리(鋤吾芝里):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군/행정#s-3|하남면]] * 손오리(孫吾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군/행정#s-10|부림면]] * [[고성군(경상남도)/행정#s-3|영오면]](永吾面):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 영오면의 오동리(吾東里) * 영오면의 오서리(吾西里) * 오가면(吾可面): [[충청남도]] [[예산군]] * 오금리(吾今里): [[경기도]] [[파주시]] [[파주시/행정#s-1.3|탄현면]] * 오금리(吾琴里):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시/행정#s-2.5|강동면]] * 오남동(吾南洞): 충청남도 [[서산시]] * 오니산리(吾尼山里): 경기도 [[김포시]] [[김포시/행정#s-2.4|대곶면]] * 오덕리(吾德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s-5.2.7|북구 기북면]] * 오도동(吾道洞): 경기도 파주시 * 오도리(吾道里):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군/행정#s-3.2|가회면]], 경북 [[성주군]] [[성주군#s-11.10|선남면]]에도 동명의 지명이 있다. * [[오라동]](吾羅洞):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오로리(吾老里):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시/행정#s-4.1|고아읍]] * 오사리(吾士里): 경상북도 [[고령군]] [[고령군#s-7.6|개진면]] * 오사리(吾賜里):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군#s-7.2|영춘면]] * 오산리(吾山里):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군/행정#s-1.1|무주읍]] * 오어지(吾魚池):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 위치한 연못 * 오야리(吾也里):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시/행정#s-2.11|천북면]] * 오조리(吾照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포시/행정#s-2.3|성산읍]] * 오지리(吾池里): 충청남도 서산시 [[서산시/행정#s-3.1|대산읍]] * 오티리(吾峙里):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시/행정#s-3.5|수산면]] * 오평리(吾坪里):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 오항리(吾項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춘천시/행정#s-2.9|북산면]]의 소재지이다. * 하오안리(下吾安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군/행정#s-2|홍천읍]] * [[경주시/행정#s-1.11|황오동]](皇吾洞): 경상북도 경주시 중국의 지명 * 다오우 산(道吾山): [[후난성]] [[창사시]] 류양(浏阳)현급시에 위치한 산으로 AAA급 국가공인 관광지이다. * [[위구르|웨이우얼(维吾尔)]] * 이우 현(伊吾县): [[위구르|신장 위구르 자치구]] 하미(哈密) 시에 위치한 현 일본의 지명 * [[소고산도역]]([[宗]]吾[[参]][[道]][[駅]]) * 아가쓰마 군(吾妻郡): [[군마현]]의 군 * 아가와 군(吾川郡): [[고치현]]의 군 == 고사성어 == * 부생아신모육오신(父生我身母育吾身) * 선악개오사(善惡皆吾師)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설상재(吾舌尙在): [[전국시대|전국시대(중국)]]의 정치가 [[장의]]의 명대사. == 유의자 == * [[我]](나 아) * [[卬]](나 앙) * [[予]](나 여) * [[余]](나 여) * [[俺]](나 엄) * [[朕]](나 짐) == 상대자 == * [[你]](너 니) * [[恁]](너 님) * [[您]](너 니, 너 님) * [[汝]](너 여) * [[爾]](너 이) == 吾가 들어가는 한자 == * [[語]](말씀 어) * [[悟]](깨달을 오) * [[梧]](오동나무 오)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