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uby(君, ruby=きみ)]の[ruby(ハート, ruby=Heart)]に[ruby(ロックオン, ruby=Lock on)]}}}|| ||<:>'''그대의 하트에 록 온'''|| [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Dr.Honda]]이며 장르는 トレンディーフュージョン(트렌디 퓨전). 아티스트 코멘트에도 언급이 되어 있지만 어느새 비트매니아 IIDX에서 '''Dr.Honda = 트렌디-''' 라는 이미지가 생성되었다. 어느 점이 트렌디- 라는 건지는 작곡가만이 알 수 있겠지만. 그는 이번 작품에서 기존에 작곡하던 것과는 조금 다른 장르들을 선보였지만, 첫 작품인 [[高高度降下低高度開傘]]에서부터 보여주던 '''광활한 공간감'''을 이 악곡에서도 유감없이 선보이고 있다. [[BGA]]는 Ohashi Takashi 제작의 전용 BGA를 채용한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5> トレンディーフュージョン[BR]트렌디 퓨전 || [[BPM]] ||<-2> '''260''' || || 전광판 표기 ||<-8><#454545> '''{{{#FF5A00 KIMI NO HEART NI LOCKON}}}'''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2> {{{#FD067C LEGGENDARIA}}} || || 싱글 플레이 || {{{#blue 4}}} || {{{#blue 359}}} || {{{#orange 9}}} || {{{#orange 904}}} || {{{#red 11}}} || {{{#red 1363}}} || {{{#FD067C 12}}} || {{{#FD067C 1828}}} || || [[더블 플레이]] || {{{#blue 4}}} || {{{#blue 367}}} || {{{#orange 8}}} || {{{#orange 902}}} || {{{#red 12}}} || {{{#red 1837}}} || {{{#FD067C -}}} || {{{#FD067C -}}}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19 Lincle|19 Lincl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2)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A+)]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A)] [youtube(lEmTC38pJC0)] SPA 영상 [youtube(bxMOLk0t9tY)] SPL 영상 싱글 하이퍼는 8비트 내지 12비트의 계단들이 초반에 마구 쏟아지지만 후반으로 갈 수록 레벨에 비해 처리하기 쉬운 동색배치가 주로 변경되어 실질적인 체감 난이도는 레벨 8 중~상위권인 [[물렙곡]]. 싱글 어나더는 [[Turii ~Panta rhei~]] 싱글 하이퍼에서의 [[계단]]과 12비트의 짧은 [[계단]]을 주로 난타에 동시치기를 덧붙인 종합채보. 여기에 난타, 동시치기 대신 [[트릴]]과 연타를 넣으면 [[Illegal Function Call]]과 비슷해진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tSGZukIquwY)] DPA 영상 {{{#red '''더블 어나더'''}}}의 경우엔 한손으로 처리해야 하는 계단이 주로 나오며 특히 후반엔 '''한 손으로 처리해야 하는 12비트 나선형 계단'''과 12비트 폭타가 쏟아지는 등 [[후살]]이 상당히 강해 클리어률도 낮은 편. 비공식 DP난이도로는 개편 전에는 12.4, 개편 후에는 12.5로 등록됐다. 후반부는 SPA 패턴을 한손으로 친다고 생각하면 된다. 수월한 플레이를 위해선 플립과 미러 설정이 필수적. 그러나 후반의 [[후살]] [[계단]]을 넘길 수 있다면 하드 게이지까지 노려볼 수 있다. 오히려 위의 Illegal Function Call DPA[* 비공식 난이도 12.0으로 11레벨 중에서도 최강 난이도를 자랑하는 채보이다.]가 이것의 '''초''' 열화판 이라고 칭할 정도. 여담으로 링클 당시에는 [[천공의 새벽]] DPA보다도 낮은 클리어율을 보여 줬는데 실제 난이도는 천공의 새벽이 몇수는 위라는게 대체적인 평가임에도 클리어율은 그렇지가 않았던 희한한 사례다. 아무래도 본 곡은 통상해금이고 천공은 시리즈 최종해금곡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DP 고난도 보면 소개 영상에서 트렌디 드립 코멘트가 끊이지 않는다...~~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Dr.Honda]] > >눈치채고보니 어느새 트렌디 담당이 되어버린 Dr.Honda입니다. > >이번에 퓨전으로 하려고 한 이유는.「일본에서 퓨전의 인기가 있었을 땐, 확실히 트랜디 드라마가 재밌었을 무렵이였다...」 라고 떠올려, 트렌디... 음음음? 간다! ( ゚д゚)라고 생각해서입니다. >퓨전이란 다양한 장르를 융합시켜 태어난 음악입니다. >[[드래곤볼|어떤 애니메이션]]에서 손가락과 손가락을 맞대어 「퓨전!!」이라고 합체하는 그런 이미지입니다. >혼자 할 때보다 같이했을 때가 훨씬 강하겠죠. > >일반적으로 퓨전이라고 하면 [[재즈]], 락, 라틴등이 융합한게 많습니다만, Honda는 재즈를 만들 줄 모릅니다. 웃음. >그래서, [[대중음악|팝]] & [[록 음악]] & [[일렉트로니카|일렉트로]] & [[트랜스(음악)|트랜스]] & 합창(이거 장르?)으로 가려고 결정했습니다. 현재 시대엔 있을법합니다. > >여러가지 생각하면 생각할수록, 요즘 거리 음악은 여러가지 장르의 융합으로부터 구성된게 많아 어떤 의미로는 퓨전인지도 모르겠네요. > >덧붙여서 이 곡, 여자로부터 남자에 대한 구상과 행동을 스토리 완성으로 구성한 곡입니다만.... [[섹드립|너무나 아슬아슬한 내용이라]] WEB에 공개할 수 없게 되어버려 쓸 수가 없었습니다. 웃음. > >그러면, 또 만나자고요~~!! ---------------------------------------------------------------- >○Movie / Ohashi Takashi > >마이크로와 매크로를 초월한 익사이팅한 비주얼 이미지를 목표로 잡았습니다. >음악도 영상도, 게임센터에서 플레이어도 게임 플레이를 보고 있는 사람도 분위기가 띄위진다면 정말 기쁠겁니다! >TXS!!!!!!!!!!!!!!!!!![* 영어권에서 Thanks를 줄여서 표기할 때 쓰는 축약어.] [[분류:beatmania IIDX 19 Lincle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