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化}}}될 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匕|{{{#000,#fff 匕}}}]],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 ケ{{{#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ば-ける, ば-かす{{{#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à{{{#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化는 ''''될 화''''라는 [[한자]]로, '[[되다]]', '[[변화]]'를 뜻한다. 오른쪽의 [[匕]](비수 비)는 [[人]](사람 인)을 거꾸로 쓴 것이 변한 것이다. 옛날에는 사람인변이 빠져 있고 첫 획(丿)이 두 번째 획(乚)을 관통하는 형태(𠤎)로 썼다. 이무래도 匕나 [[七]](일곱 칠)과 혼동하기 쉽다 보니 왼쪽에 사람인변을 붙인 형태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상세 == [[유니코드]]는 5316에 배당되었다. [[창힐수입법]]은 OP(人心). 부수를 헷갈리기 매우 쉬운데, 亻(사람인변)이 있는 한자 중에 亻이 부수가 아닌 몇 안 되는 한자라고 보면 된다. [[파일:될 화 중국.jpg]] [[중국]] 본토에서는 亻匕보다는 亻𠤎처럼 쓰인 자형이 더 많이 보인다. 따라서 중국어사전에서는 匕 부수가 아니라 人 부수에 속해 있다. 간체자가 있거나 따로 코드가 지정된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亻𠤎를 안 쓰는 건 아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경복궁 광화문|광화문]](光化門)의 현판 등이 있다. 이는 이 글자의 본래 형태가 왼쪽의 亻이 빠진 𠤎였던 것에서 기인한다. == 용례 == === [[단어]] === '원래 A상태가 아니었던 것이 A상태가 되다.'라는 뜻이 있으므로, 접미사로서의 용례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하게 매우 많다. 막말로 그냥 갖다붙이면 되는 수준. * [[강화]]([[强]]化) * [[교화]]([[敎]]化) * 극대화([[極]][[大]]化) * [[효용극대화 문제]]([[效]][[用]][[極]][[大]]化 [[問]][[題]]) * [[동화]]([[同]]化) * [[문화]]([[文]]化) * 문화권([[文]]化[[圈]]) *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 * [[문화재]]([[文]]化[[財]]) * [[변화]]([[變]]化) * [[부화]]([[孵]]化) * [[소결탄화물]]([[燒]][[結]][[炭]]化[[物]]) * [[소화]]([[消]]化) * [[악화]]([[惡]]化) * [[유리화]]([[有]][[理]]化/[[琉]][[璃]]化) * [[진화]]([[進]]化) * [[최적화]]([[最]][[適]]化) * [[퇴화]]([[退]]化) * [[표준화]]([[標]][[準]]化) * [[화농]](化[[膿]]) * 화농균(化[[膿]][[菌]]) * 화농성(化[[膿]][[性]]) * [[화농성연쇄상구균]](化[[膿]][[性]][[連]][[鎖]][[狀]][[球]][[菌]]) * 화농성염(化[[膿]][[性]][[炎]]) * 화농증(化[[膿]][[症]]) * [[화생방]](化[[生]][[放]]) * [[화석]](化[[石]]) * [[화장]](化[[粧]]) * 화장대(化[[粧]][[臺]]) * [[화장실]](化[[粧]][[室]]) * [[화장지]](化[[粧]][[紙]]) * [[화장품]](化[[粧]][[品]]) * [[화학]](化[[學]]) * [[석유화학]]([[石]][[油]]化[[學]]) * [[공업화학|화학공업]](化[[學]][[工]][[業]]) * [[중공업|중화학공업]]([[重]]化[[學]][[工]][[業]]) * [[화학공학]](化[[學]][[工]][[學]]) * [[화학무기]](化[[學]][[武]][[器]]) * [[생화학무기]]([[生]]化[[學]][[武]][[器]]) === [[고사성어]]/[[숙어]] === * [[귤화위지]]([[橘]]化[[爲]][[枳]]) * 만화방창([[萬]]化[[方]][[暢]]) * 변화무쌍([[變]]化[[無]][[雙]]) * 생생화육([[生]][[生]]化[[育]]) * [[우화등선]]([[羽]]化[[登]][[仙]]) * 춘풍화우([[春]][[風]]化[[雨]]) * 화민성속(化[[民]][[成]][[俗]]) === [[인명]] === * 성이 '''[[화(성씨)|화씨]]'''인 사람 모두. * [[야율화가]]([[耶]][[律]]化[[哥]]) * [[요보 반카]]([[誉]][[望]] [[万]]化) * [[우문화급]]([[宇]][[文]]化[[及]]) * [[최화정]]([[崔]]化[[精]]) === [[지명#s-2]] === * [[서울특별시]] * [[광화문역]]([[光]]化[[門]][[驛]])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 * [[혜화동]]([[惠]]化[[洞]]) * [[혜화역]]([[惠]]化[[驛]]) * [[대구광역시]] * 설화리([[舌]]化[[里]]) * [[설화명곡역]]([[舌]]化[[椧]][[谷]][[驛]]) * [[인천광역시]] * [[월미문화의거리역]]([[月]][[尾]][[文]]化의거리[[驛]]) * [[광주광역시]] * [[문화전당역]]([[文]]化[[殿]][[堂]][[驛]]) * [[경기도]] * [[대화동(고양)]]([[大]]化[[洞]]) * [[대화역]] * [[강원도]] * [[김화군]]([[金]]化[[郡]]) * [[철원군]] * [[김화읍]]([[金]]化[[邑]]) * [[홍천군]] * [[화촌면]](化[[村]][[面]]) * [[경상북도]] * [[봉화군]]([[奉]]化[[郡]]) * [[봉화읍]]([[奉]]化[[邑]]) * [[봉화역]]([[奉]]化[[驛]]) * [[상주시]] * [[상주시/행정#화남면|화남면]](化[[南]][[面]]) * [[상주시/행정#화동면|화동면]](化[[東]][[面]]) * [[상주시/행정#화북면|화북면]](化[[北]][[面]]) * [[상주시/행정#화서면|화서면]](化[[西]][[面]]) * [[전라남도]] * [[고흥군]] * [[도화면]]([[道]]化[[面]]) * [[장성군]] * [[동화면]]([[東]]化[[面]]) * [[충청남도]] * [[부여군]] * [[충화면]]([[忠]]化[[面]]) * [[청양군]] * [[화성면]](化[[城]][[面]]) * [[충청북도]] * [[영동군]] * [[용화면]]([[龍]]化[[面]]) === 기타 === * [[개화기]]([[開]]化[[期]]) * [[고령화]]([[高]][[齡]]化)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光]]化[[門]]) * [[구개음화]]([[口]][[蓋]][[音]]化) * [[문서 사유화]]([[文]][[書]] [[私]][[有]]化) *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 [[물화]]([[物]]化) * [[물화생지]]([[物]]化[[生]][[地]]) * [[민주화]]([[民]][[主]]化) * [[삼적화]]([[三]][[適]]化) * [[양극화]]([[兩]][[極]]化) * [[전화기(학과)|전화기]]([[電]]化[[機]]): 세 학과를 묶어 부르는 말 *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 [[탄수화물]]([[炭]][[水]]化[[物]]) * [[혜화문]]([[惠]]化[[門]]) * ~~[[바케모노가타리]](化[[物]][[語]])~~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