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勢}}}형세 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力|{{{#000,#fff 力}}}]],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イ, {{{#c88 セ}}}}}}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きお-い{{{#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勢는 ''''형세 세''''라는 [[한자]]로, '형세(形勢)', '기세(氣勢)', 권세(權勢)', '세력(勢力)' 등을 뜻한다. 그래서 ''''권세 세''''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형세 || || {{{-1 '''음'''}}} ||세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ì || || {{{-1 '''[[광동어]]'''}}} ||sai^^3^^ || || {{{-1 '''[[객가어]]'''}}} ||sṳ || || {{{-1 '''[[민남어]]'''}}} ||sè[*文 [[문독]]] / sì[*白 [[백독]]] || || {{{-1 '''[[오어]]'''}}} ||sr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セイ, {{{#c88 セ}}} || || {{{-1 '''훈독'''}}} ||いきお-い || ||<-3> || ||<-2> '''[[베트남어]]''' ||thế || [[유니코드]]에는 U+52E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IKS(土戈大尸)로 입력한다. 자원(字源)을 따지면, 뜻을 나타내는 [[力]](힘 력)과 음을 나타내는 [[藝|埶]](재주 예)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편 어원을 따지면 [[設]](베풀 설)과 어원을 공유한다는 연구가 있다.[* Baxter-Sagart(2014), Schuessler(2007) 등] 즉 設(ŋ̊et)은 '세우다', '설치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동사이고, 勢(ŋ̊ets)는 設의 명사형인 것이다. 이러한 설은 [[한비자]] 난세(難勢)편에 등장하는 문장 吾所爲言勢者 言人之所設也(내가 말하는 勢라는 것은 사람이 세운 것을 말한다)으로도 뒷받침된다. == 용례 == === [[단어]] === * 거세([[去]]勢) * 기세([[氣]]勢) * 세도(勢[[道]]): [[조선]]을 말아먹은 [[세도정치]]의 그 세도다. * 세력(勢[[力]]): 권력이나 기세의 힘. 또는 어떤 속성이나 힘을 가진 집단을 의미한다. * [[형세]]([[形]]勢) * 형세도([[形]]勢[[圖]]) * 시세(時勢) * 자세([[藉]]勢) === [[고사성어]]/[[숙어]] === * [[기호지세]]([[騎]][[虎]][[之]]勢) * [[파죽지세]]([[破]][[竹]][[之]]勢) === [[인명]] === * [[노세 큐사쿠]]([[能]]勢 [[久]][[作]]) * [[도한세]]([[都]][[韓]]勢) * [[미노와 세이치]]([[箕]][[輪]] 勢[[一]]) * [[Charmy|박세영]]([[朴]]勢[[榮]]) * [[오토세(은혼)|오토세]](お[[登]]勢): [[은혼]]의 등장인물 * [[윤세은]]([[尹]]勢[[銀]]) * [[이세(시인)|이세]]([[伊]]勢) * [[이세노 다이후]]([[伊]]勢 [[大]][[輔]]) * [[이세미 아로]]([[伊]]勢[[三]] [[杏]][[路]]) * [[이세우미 하루카]]([[伊]]勢[[海]] ハルカ) * [[임세준(VICTON)|임세준]]([[林]]勢[[俊]]) === [[지명#s-2]] === === [[창작물]] === * [[優勢オーバードーズ]]([[우세 오버도즈]]) * [[수세검 나가레|水勢剣 流水]]([[수세검 유수]]) == 유의자 == * [[力]](힘 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褻]](더러울 설) * [[塾]](글방 숙) * [[熟]](익을 숙) * [[熱]](더울 열)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