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努}}}힘쓸 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力|{{{#000,#fff 力}}}]],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と-める, {{{#c88 ゆめ}}}}}}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n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努는 ''''힘쓸 노''''라는 [[한자]]로, '힘쓰다', '노력(努力)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힘쓰다 || || {{{-1 '''음'''}}} ||노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nǔ || || {{{-1 '''[[광동어]]'''}}} ||nou^^5^^ || || {{{-1 '''[[객가어]]'''}}} ||nú || || {{{-1 '''[[민북어]]'''}}} ||nǔ || || {{{-1 '''[[민동어]]'''}}} ||nū || || {{{-1 '''[[민남어]]'''}}} ||nó͘, ló͘ || || {{{-1 '''[[오어]]'''}}} ||n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ド || || {{{-1 '''훈독'''}}} ||つと-める, {{{#c88 ゆめ}}} || ||<-3> || ||<-2> '''[[베트남어]]''' ||nỗ || [[유니코드]]에는 U+52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EKS(女水大尸)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力]](힘 력)과 소리를 나타내는 [[奴]](종 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勞]](일할 로)와 혼동하는 일이 잦은데, 두 한자는 엄연히 다른 한자로 용례도 다르다. 努는 본래 음이 '노'이지만, 勞는 본래 음이 '로'여서 그대로 '로'로 쓰는 것이 기본인 가운데 [[두음 법칙]]이 적용되어 '노'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 용례 == === [[단어]] === * [[노력]](努[[力]]) * 노력가(努[[力]][[家]]) * 노력형(努[[力]][[型]]) * 노목(怒[[目]]) * 노육(努[[肉]]) * 수노([[水]]努) 이 외에도 용례가 있지만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는 노력을 제외하면 없다. 다르게 말하면 노력이라는 용례 하나만으로 준4급에 배정되었다는 것. 대부분의 한자는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가 존재해도 용례가 많지 않으면 2급 이상의 상위 급수에 배당된다는 것을 생각하면 특이한 사항이다. === [[고사성어]]/[[숙어]] === * 분투노력([[奮]][[鬪]]努[[力]]) === [[인명]] === * [[천명제|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愛]][[新]][[覺]][[羅]] 努[[爾]][[哈]][[赤]]) * [[제노(NCT)|이제노]]([[李]][[帝]]努) * [[노광철]](努[[光]][[鐵]]) * [[노이합적]](努[[爾]][[哈]][[赤]]) * [[노힐부득]](努[[肸]][[夫]][[得]]) === [[지명#s-2]] === === [[창작물]] === * [[でっかい愛 / 喜努愛楽]] * [[努努 -ゆめゆめ-]] === 기타 === * [[노력충]](努[[力]][[蟲]]) == 유의자 == * [[勵]](힘쓸 려) * [[百]](힘쓸 맥) * [[勉]]/[[俛]](힘쓸 면) * [[務]](힘쓸 무) * [[亹]](힘쓸 미) * [[忞]]/[[黽]](힘쓸 민) * [[勖]](힘쓸 욱) * [[孜]](힘쓸 자) * [[跂]](힘쓸 지) * [[劾]](힘쓸 해) == 상대자 == * [[儢]](힘쓰지 아니할 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𪏷]](달라붙을 나) * [[拏]](잡을 나) * [[𧘽]](해어진 옷 나) * [[䋈]](삼거웃 녀) * [[胬]](군살 노) * [[𥅄]](눈 부릅뜰 노) * [[砮]](돌살촉 노) * [[駑]](둔한말 노) * [[鴑]](새 이름 노) * [[怒]](성낼 노) * [[弩]](쇠뇌 노) * [[孥]](자식 노) * [[㐐]](음역자 놀) * [[𣭄]](털 많은 모양 여) * [[𪗭]](물 차) * [[帑]](국고/재물 탕/처자 노) * [[𧉭]] * [[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