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別}}}다를/나눌 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刀|{{{#000,#fff 刀}}}]],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ベ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わか-れる, {{{#c88 わか-つ, わ-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활 뒤틀릴 별([[彆]])과 간체자가 같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ié{{{#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別은 ''''다를/나눌 별''''이라는 [[한자]]로, '다르다', '나누다', '헤어지다', '떠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22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SLN(口尸中弓)으로 입력한다. '冎'와 '刂'가 합쳐져 생긴 [[회의자]]다. 본뜻은 '칼로 살과 뼈를 발라내다'였는데, 여기서 파생되어 나누다, 다르다, 가르다 등을 뜻하게 되었다. 중화권에서는 왼쪽 아랫부분을 [[力]](힘 력) 모양으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각별]]([[各]]別) * 개별([[個]]別) * [[결별]]([[訣]]別) * 고별([[告]]別) * 구별([[區]]別) * 기별([[奇]]別) * [[변별]]([[辨]]別) * [[변별력]](辨別[[力]]) * [[별가]](別[[家]]) * 별개(別[[個]]) * [[별거]](別[[居]]) * [[별곡]](別[[曲]]) * 별관(別[[館]]) * 별기(別[[記]]) * 별도(別[[途]]) * [[별명]](別[[名]]) * 별미(別[[味]]) * 별반(別[[般]]) * 별선(別[[扇]]) * 승두별선([[僧]][[頭]]別[[扇]]) * 칠별선([[漆]]別[[扇]]) * 흑별선([[黑]]別[[扇]]) * [[별장]](別[[莊]]) * 별종(別[[種]]) * 별첨(別[[添]]) * [[별칭]](別[[稱]]) * 분별([[分]]別) * 석별([[惜]]別) * [[성별]]([[性]]別) * 송별([[送]]別) * 식별([[識]]別) * [[이별]]([[離]]別) * 자별([[自]]別) * [[작별]]([[作]]別) * [[차별]]([[差]]別) * [[특별]]([[特]]別) * [[특별법]](特別[[法]]) * [[특별사면]](特別[[赦]][[免]]) * [[특별시]](特別[[市]]) * [[판별]]([[判]]別) === [[고사성어]]/[[숙어]] === * 교외별전([[敎]][[外]]別[[傳]]) * 무분별지([[無]][[分]]別[[智]]) * 별무장물(別[[無]][[長]][[物]]) * [[별천지]](別[[天]][[地]]) * 사려분별([[思]][[慮]][[分]]別) * 애별리고([[愛]]別[[離]][[苦]]) * 주유별장([[酒]][[有]]別[[腸]]) * 천차만별([[千]][[差]][[萬]]別) * 하량별([[河]][[梁]]別) === [[인명]] === * [[미토모와케]]([[御]][[友]]別) * [[베츠야쿠 타이치]](別[[役]] [[太]][[一]]) * [[벳쇼 나가하루]](別[[所]] [[長]][[治]]) * [[벳쇼 다케히코]](別[[所]] [[毅]][[彦]]) * [[벳쇼 마코토]](別[[所]] [[誠]][[人]]) * [[벳쇼 카즈요시]](別[[所]] [[千]][[源]]) * [[벳토 리사]](別[[当]] リサ) * [[벳푸 아유미]](別[[府]] あゆみ) * [[비후 히토시]]([[上]]別[[府]] [[仁]][[資]]) * [[키타벳푸 마나부]]([[北]]別[[府]] [[学]]) === [[지명#s-2]] ===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別[[內]][[面]]) * [[별내역]](別[[內]][[驛]]) * [[샤쿠베츠 신호장]]([[尺]]別 [[信]][[号]][[場]]) *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 *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 *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別[[良]][[面]]) *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 [[일본]] [[홋카이도]] 등지의 [[아이누어]] 'pet'(강) 유래 지명 다수([ruby(別, ruby=べつ)]) * [[노보리베츠역]]([[登]]別[[駅]]), [[시카리베츠역]]([[然]]別駅), [[와시베츠역]]([[鷲]]別駅), [[시베츠역]]([[士]]別駅), [[토시베츠역]]([[利]]別駅) 등 * [[벳푸시]](別[[府]][[市]]) *[[중국]] 특별행정구([[特]]別[[行]][[政]][[區]]) *[[홍콩|홍콩특별행정구]]([[香]][[港]][[特]]別[[行]][[政]][[區]]) *[[마카오특별행정구]]([[澳]][[門]][[特]]別[[行]][[政]][[區]]) === [[창작물]] === * [[관동별곡]]([[關]][[東]]別[[曲]]) * [[별상타요아학습]](别[[想]][[打]][[扰]][[我]][[学]][[习]][* 정자로는 別想打擾我學習.]) * [[별 시 (別 時)]] * [[서경별곡]]([[西]][[京]]別[[曲]]) * [[청산별곡]]([[靑]][[山]]別[[曲]]) * [[期別]](기별) === 기타 === * [[별기군]](別[[技]][[軍]]) * [[별무반]](別[[武]][[班]]) * [[삼별초]]([[三]]別[[抄]]) * [[어우별]]([[御]][[友]]別) == 유의자 == * '''나누다''' * [[班]](나눌 반) * [[配]](나눌 배, 짝 배) * [[分]](나눌 분) * [[割]](벨 할) * '''다르다''' * [[他]]/[[它]](다를 타) * '''떠나다''' * [[訣]](이별할 결) * [[離]](떠날 리) * [[庍]](이별할 흔) == 상대자 == * '''나누다''' * [[併]](아우를 병) * [[合]](합할 합) * '''다르다''' * [[己]](몸 기) * [[自]](스스로 자) * '''떠나다''' * [[逢]](만날 봉) * [[社]](모일 사) * [[遇]](만날 우) * [[遭]](만날 조) * [[集]](모을 집) * [[輯]](모을 집) * [[緝]](모을 집, 이을 즙) * [[撮]](모을 촬) * [[聚]](모을 취) * [[合]](합할 합) * [[邂]](만날 해) * [[逅]](만날 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㗗]](나눌 패/피) * [[𠬱]](가죽 피)[* [[皮]](가죽 피)의 [[동자#s-2]]] * [[𠔦]] * [[𪡎]]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𥦂]](구멍 규)[* [[竅]](구멍 규)의 [[동자#s-2]]] * [[莂]](모종낼 별) * [[𡷘]](산이름 별) * [[䇷]](어음 별) * [[𥞲]](줄고르지아니할 별) * [[𧧸]](판단할 별) * [[捌]](깨뜨릴 팔) * [[㭭]](나무이름 팔, 어음 폐) * [[哵]](울 팔) * [[𨴾]](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