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准}}}비준 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冫|{{{#000,#fff 冫}}}]],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ュン, {{{#c88 シュ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なぞら-える, ゆる-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ǔ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准은 ''''비준 준''''이라는 [[한자]]로, '비준(批准)', '승인하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冫]](얼음 빙)과 소리를 나타내는 [[隹]](새 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1C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MOG(戈一人土)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원래 [[準]](준할 준)의 [[속자]]로, [[중국 대륙]]에서는 準을 准으로 간화하여 표기한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또 [[정체자]]를 사용하는 [[대만]], [[홍콩]] 등에서는 準과 准이 분리되어, '준장'(准將), '비준'(批准)과 같이 准을 準과 구별하여 사용한다. == 용례 == === [[단어]] === * 비준([[批]]准) * 인준([[認]]准) * [[준장]](准[[將]]) * [[준위]](准[[尉]])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마에다 준]]([[麻]][[枝]] 准) * [[박준석(농구)|박준석]]([[朴]]准[[錫]]) * [[사다모토 준]]([[卓]][[元]] 准) * [[아즈마야 쥰타]]([[東]][[谷]] 准[[太]]) * [[오카다 준이치]]([[岡]][[田]] 准[[一]]) * [[임서준]]([[林]][[序]]准) * [[장용준]]([[張]][[容]]准) * [[진준#s-1.1]]([[陳]]准) * [[쿠도 쥰]]([[久]][[藤]] 准) * [[토카이 쥰지]]([[遠]][[海]] 准[[司]]) * [[허준영]]([[許]]准[[榮]])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碓]](방아 대) * [[𤽼]](흴 락) * [[脽]](꽁무니 수, 땅이름 주/추) * [[誰]](누구 수) * [[雔]](새한쌍 수) * [[猚]](새 애) * [[𪏌]](빛날 요)[* [[曜]](빛날 요)의 [[동자#s-2]]] * [[醀]](고기든술 유) * [[踓]](미쳐내달릴 유) * [[維]](벼리 유) * [[惟]](생각할 유) * [[唯]](오직 유) * [[琟]](옥돌 유) * [[蜼]](원숭이 유) * [[帷]](휘장/장막 유) * [[𩜑]](엿 이)[* [[飴]](엿 이)의 [[동자#s-2]]] * [[焳]](횃불 작) * [[䊒]](정할/찧을 정) * [[𧚮]](짧은옷 조) * [[𦩏]](나루 진)[* [[津]](나루 진)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𪘮]](악착할 착)[* [[齪]](악착할 착)의 [[동자#s-2]]] * [[𪍇]](볶은보리 초) * [[𡹐]](높고클 최) * [[䶆]](늙은쥐 추) * [[推]](밀 추) * [[䱦]](복어 추) * [[鵻]](비둘기 추) * [[錐]](송곳 추) * [[椎]](쇠몽치/등골 추) * [[騅]](푸르고흰얼룩말 추) * [[𨲈]](비슷할 출) * [[稚]](어릴 치) * [[陮]](높을 퇴) * [[𨌴]](수레의성대한모양 퇴) * [[堆]](쌓을 퇴) * [[𩋘]](신 혜)[* [[鞋]](신 혜)의 [[동자#s-2]]] * [[淮]](물이름 회) * [[睢]](부릅떠볼 휴, 물이름 수) * [[𧣽]](뿔송곳 휴)[* [[觿]](뿔송곳 휴)의 [[동자#s-2]]] * [[倠]]/[[婎]](추할 휴) * [[𣨫]](아/추) * [[㫿]](유) * [[𢜐]] * [[𤙵]] * [[𦑏]] * [[𫄻]] * [[𧳞]]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㕠]](두/쌍 쌍)[* [[雙]](두/쌍 쌍)의 [[속자]]] * [[𤌞]] * [[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