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兒}}}아이 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儿|{{{#000,#fff 儿}}}]],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 (ニ){{{#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こ, ちご, や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ér{{{#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兒는 ''''아이 아''''라는 [[한자]]로, '어린아이'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5152에 배정되어 있다. 兒는 [[상형자]]에 속한다. 이 한자는 [[https://hanja.dict.naver.com/hanja?q=%E5%85%92|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이는 [[젖니]]와 [[머리]]의 아직 열려 있는 [[혈]]을 표현한 모양이라고 한다. [[童]]과 같은 '[[아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이다. 대륙 [[표준중국어]]에서 글자 뒤에 붙어 앞 글자의 음절이 er로 끝나게 할 때가 있다. 이를 '''얼화(兒化)'''라고 한다.또한 这儿(여기), 那儿(거기)의 예처럼 장소의 뜻을 첨가한다. 대륙과 달리 대만 표준중국어에서는 얼화를 선호하지 않는다. 앞서 말했던 这儿, 那儿의 경우도 대만에서는 這裡, 那裡라고 많이 말하며 이쪽이 표준이다. == 용례 == === [[단어]] === * 건아(健兒) * [[고아]](孤兒) * [[고아원]](孤兒院) * [[기형아]](畸形兒) * 남아(男兒) * [[문제아]](問題兒) * [[미숙아]](未熟兒) * [[미아]](迷兒) * 미아보호소(迷兒保護所) * 부랑아(浮浪兒) * 부적응아(不適應兒) * 불량아(不良兒) * 불운아(不運兒) * [[사생아]](私生兒) * 산아(産兒) * 산아제한(産兒制限), 산아조절(産兒調節), [[조산아]](助産兒) * [[소아]](小兒) * [[소아과]](小兒科), [[소아마비]](小兒痲痹), 소아암(小兒癌) * [[신생아]](新生兒) * [[쌍생아]](雙生兒) * [[아녀자]](兒女子) * [[아동]](兒童) * 결식아동(缺食兒童), [[아동권리보장원]](兒童權利保障院), [[아동노동]](兒童勞動), [[아동문학]](兒童文學), 아동방(兒童房), 아동복(兒童服), [[아동복지법]](兒童福祉法), [[아동심리학]](兒童心理學), [[아동학]](兒童學), [[아동 학대]](兒童 虐待) * [[아명]](兒名) * [[아해]](兒孩) * [[여아]](女兒) * [[영아]](嬰兒) * 우량아(優良兒) * 유랑아(流浪兒) * [[유아]](乳兒/幼兒) * 유아교육(幼兒敎育), [[유아기]](幼兒期), 유아원(幼兒園) * [[육아]](育兒) * 입양아(入養兒) * [[저능아]](低能兒) * [[지진아]](遲進兒) * [[탁아소]](託兒所) * [[태아]](胎兒) * [[패륜아]](悖倫兒) * 풍운아(風雲兒) * [[행운아]](幸運兒) === [[고사성어]]/[[숙어]] === *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 남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 돈아(豚兒) 자신의 아이를 낮춰 부르는 말 === [[인명]] === * [[견적아]]([[甄]][[翟]]兒) * [[김연아]]([[金]][[姸]]兒) * [[당새아]]([[唐]][[賽]]兒) * [[문은아]]([[文]][[恩]]兒) * [[손아섭]]([[孫]]兒[[葉]]) - [[葉]](잎 엽)을 보고 의아해할 수 있는데, 葉은 지명이나 인명에 사용될 경우 ''''섭''''으로 읽기도 한다. '쇠 금/성 김'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된다. * [[오윤아]]([[吳]][[允]]兒) * [[오아린]]([[吳]]兒[[璘]]) * [[조보아]]([[曺]][[寶]]兒) * [[코다마 요시오]](児[[玉]] [[誉]][[士]][[夫]]) * [[코다마 유스케]](児[[玉]] [[裕]][[輔]]) * [[코마 엔지]]([[古]][[間]] [[円]]児) * [[키리시마 에이지로]]([[切]][[島]] [[鋭]]児[[郎]]) * [[후지카와 큐지]]([[藤]][[川]] [[球]]児) * [[하리마 켄지]]([[播]][[磨]] [[拳]]児) * [[한유아]]([[韓]][[柔]]兒) === [[지명#s-2]] === * [[가고시마]]([[鹿]]児[[島]]) * [[니시카니역]]([[西]][[可]]児[[川]][[駅]]) * [[카니가와역]]([[可]]児[[川]][[駅]]) === [[창작물]] === * [[男兒當自強]] === 기타 === * [[정박아]]([[精]][[薄]]兒) === [[표준중국어]]에서 === [[북경어|베이징 방언]]에서 단어 끝부분에 r 발음이 첨가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얼화'(儿化)라고 부른다. 발음만 들어보면 거의 [[미국식 영어]] er발음처럼 들려서 흔히 로마자 표기법인 ㅓ처럼 표기해야 할 것 같지만 일부 방언 제외한 영어 er은 [[치경 접근음]]으로 전혀 다르며 '''얼화 발음은 오히려 우리말 받침 ㄹ과 같은 권설음 계열 발음이다.''' 실제로 우리말 받침 ㄹ이 중국 사람에겐 자기네 얼화로 들리는데 서울 발음을 [[서우얼|shoue'''r''']]로 표기하는 것이 그 예.[* 근데 일부 영어 r로 끝나는 발음에도 얼화가 들어간다.(예: Mir→迷尔) 주로 [[爾|尔]]로 표기한다.] 이 얼화를 兒의 간체자인 儿으로 표기하며, 마지막 음절의 끝 성모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얼화 규칙이 달라진다. [[https://mangohanyu.tistory.com/8|얼화 규칙]] 고유명사에서는 얼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외래어에도 이 얼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위에 예시로 든 가고시마(간체자로 鹿儿岛로 표기)를 예로 들면 Lùrdǎo가 아니라 그냥 Lùérdǎo라 읽는다.] 얼화는 관화 전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관화의 일부인 베이징 방언(북경어)의 특징이라서, 관화 사용 지역이라도 지역에 따라 얼화의 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같은 관화 사용자라도 베이징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빈번하지만, [[대만]] 사람들에게는 얼화가 매우 드물거나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儿, version=47)] == 유의자 == * [[童]](아이 동) * [[嬰]](어린아이 영) == 상대자 == * [[丈]](어른 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見]](볼 견) * [[兜]](투구 두) * [[旯]](구석 라) * [[皃]](모양 모) * [[兕]](외뿔소 시) * [[臾]](잠깐 유)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5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