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싱글의 타이틀곡, rd1=僕らのLIVE 君とのLIFE(곡))] [include(틀:μ’s 정규 싱글)]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www.lovelive-anime.jp/cd_01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www.lovelive-anime.jp/cd_01b.jpg|width=100%]]}}} || || '''초회한정판 커버 일러스트''' || '''통상판 커버 일러스트'''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IgoFjO9Mg4)]}}} || || '''{{{#fff MV Full ver.}}}''' || [[러브라이브!]]의 1st 정규 싱글과 그 타이틀 곡의 제목. 약칭은 '''보라라라'''.[* 노래 제목이 일본어로 '''보'''쿠'''라'''노 '''라'''이브 키미토노 '''라'''이프이다.] 참고로 본 싱글 발매 당시에는 정식 그룹 명칭이 정해지지 않았던 관계로 아티스트 명의가 '러브라이브!'로 되어 있다. 센터는 '''[[μ’s|9인 전원]]'''이며,[* 퍼스트 싱글은 센터가 따로 없다.] 다만 [[코사카 호노카]]가 명예 센터로 인정받는다.[* 마찬가지로 공동 센터인 [[君のこころは輝いてるかい?(곡)|키미코코]]의 명예 센터로 [[타카미 치카]], [[사쿠라우치 리코]]가 인정받는 것과 동일한 케이스.] 2010년 8월 13일 제78회 [[코믹 마켓]]에서 초회한정판이 선행 발매되었고, 2010년 8월 25일에 통상판이 일반 발매되었다. 한정판과 통상판의 차이는 커버 일러스트. 양 판본 공통으로 CD내 드라마 파트에 멤버들의 자기 소개가 수록되었으며 동봉된 DVD에는 2D와 3D를 조합한 PV 용도의 애니메이션 클립을 담았다. 이외에도 가사집에는 각 멤버들이 손글씨로 적은 자기 소개 멘트가 함께 수록되었으며 패키지에는 멤버 중 한 명의 캐릭터 카드가 동봉되었다. 한편 [[게이머즈(기업)|게이머즈]]나 [[토라노아나#s-2|토라노아나]] 등의 매장에서는 구입시 레플리카 콘서트 티켓을 증정했다. 본 음반의 타이틀 곡은 이후 [[러브 라이브!(애니메이션 1기)|애니메이션 1기]] 8화에서, [[μ’s]] 멤버 아홉 명이 전부 모이고 처음으로 다 함께 참가한 공연에서 부르는 곡으로 등장. 음반 동봉 PV에 비해 그 영상의 퀄리티나 사운드 녹음 수준 등이 월등히 상승하여 초창기부터 팬이었던 사람들은 대단히 감동했다는 후문이다. 이후 애니메이션 2기 11화에서는 [[友情ノーチェンジ|커플링 곡]]의 오프 보컬 버전이 BGM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로 수록된 노래는 모두 담당 성우들이 한 자리에 모여서 함께 녹음한 것이 아니라 각자 한 명씩 레코딩한 후 믹싱한 것이다. 때문에 각 성우가 다른 여덟 명의 성우들과 처음 대면한 것은 자켓 촬영을 위해 모였을 때라고. 애니메이션 8화는 대체적으로 퍼스트 PV를 본 후에 보면 재밌게 볼 수 있다. [[아야세 에리]]가 입부하는 장면이 대부분 보라라라를 오마주한 장면이기 때문. 애니판에선 다소 어색한 사이임에도 PV에서 같이 다니던 우미가 백허그하는 장면이 리메이크되었다.~~그래서 애니만 본 사람은 친한 척 하는 거 같다~~ 마지막에 삽입된 라이브 역시 보라라라의 리메이크. 애니메이션은 처음부터 다 모인 다음에 퍼스트 라이브를 한 게 아니라, [[START:DASH!!|3명부터 시작했기에]] 보라라라가 퍼스트 라이브는 아니지만, [[코사카 호노카|호노카]]는 9명이 모두 모이고 처음 하는 곡이라며 '''시작의 노래'''라고 말했다. 그런 탓에 [[μ’s FINAL LOVE LIVE! ~μ’sic forever~|파이널 라이브]] 당시 세트 리스트를 짤 때도 보라라라를 첫 곡으로 하자는 의견에 모두가 공감했었다고. === 고난과 부진 === 애니메이션화 이후 러브라이브! 컨텐츠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다음부터는 관련 음반이 나왔다 하면 5만 장의 판매량을 기본적으로 넘나드는 수준이 되었으나, 프로젝트 발족과 함께 처음 발표된 본 싱글 음반의 초판 판매량은 고작 '''434장'''이다. 그것도 출연 성우들의 가족들이 첫 음반이 나온다니까 열 장씩은 사줘서 이렇게나마 팔린 것이며, 오죽하면 [[야자와 니코|니코]] 역의 [[토쿠이 소라]]는 2013년에 열린 [[μ’s 3rd Anniversary LoveLive!]]에서 이 싱글 발매 당시 [[코믹 마켓]]에 참가했을 때를 회고하며 당시 러브라이브! 부스 앞에 한 명도 없었던 광경이 아직도 기억난다고 밝히기도 했다. 상황이 이랬다 보니 당시 [[아야세 에리|에리]] 역 [[난죠 요시노]]는 러브라이브! 프로젝트로 만난 스태프들과 성우들을 이 프로젝트 하에서는 오래 만나기 어려울 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밀키 홈즈]]로 막 활동하던 [[토쿠이 소라]]와 [[미모리 스즈코]], [[키디 걸랜드]]에서 주인공 아스쿨을 맡았던 [[우치다 아야]]를 제외하면 이제 막 성우가 됐거나 본래는 성우가 아닌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제대로 된 인지도를 갖고 있는 멤버가 없다시피 했다.[* 에미츤 파이트클럽 미모리 스즈코 편에서 밝히길 그땐 서로 같이 있거나 녹음하러 왔을 때 서로 일 걱정을 하면서 우리 언제 어떤 애니에 캐스팅 될까 하면서 이야기 할 정도였다.] 그나마 난죠 본인이 꽤 긴 에로게 경력 + [[fripSide]] 2기 보컬이었기에 그나마 인지도가 있었던 편. 이 때문에 성우진이 발표 났을 때 대부분 반응은 "난죠 말고는 모르겠다.", "난죠르노 하드캐리 하겠네." 가 성덕들의 공통적인 반응이었다. ~~이건 마치 애니 1기 [[아야세 에리|에리]]의 현실 버전.~~ 되게 어렵게 이어나갔던 시기여서 그런지 [[코사카 호노카|호노카]] 역 [[닛타 에미]]의 당시 소속사였던 [[주식회사 S]]의 사장인 [[사토 히로미]]는 이때부터 지금까지 각 성우들 소속사 사장들과 함께 서로의 일감을 걱정하고, 각 라이브마다 그 사장들과 함께 울면서 봤다고 한다. 이런 뒷이야기가 있기에, 이 싱글에 수록된 두 곡은 라이브 이벤트 시 첫 곡이나 마지막 곡으로 자주 사용되며 공연하는 성우들과 러브라이버들에게 있어선 두 번째 싱글 타이틀 곡인 '[[Snow halation(곡)|Snow halation]]'과 함께 눈물샘을 자극하는 곡들이다. 굳이 마지막에 쓰이지는 않더라도 앵콜 콜이 나올 때는 으레 두 곡 중에 하나는 들어간다. 코믹 마켓에서 판매한 초회 한정판은 매우 고가에 거래되는 희귀템이 되었다. == 포지션 == || '''포지션''' || '''이름''' || || 센터 앞줄 || [[코사카 호노카]] || || 센터 오른쪽 앞줄 || [[아야세 에리]] || || 센터 왼쪽 앞줄 || [[미나미 코토리]] || || 왼쪽 앞줄 || [[소노다 우미]] || || 오른쪽 앞줄 || [[호시조라 린]] || || 오른쪽 뒷줄 || [[니시키노 마키]] || || 센터 오른쪽 뒷줄 || [[토죠 노조미]] || || 센터 왼쪽 뒷줄 || [[코이즈미 하나요]] || || 왼쪽 뒷줄 || [[야자와 니코]] || 프로젝트의 첫 음반인 관계로 정규 싱글 중에서 유일하게 이 싱글만 팬 투표 없이 포지션이 정해졌다. 이후 이 순서는 각종 매체에서 러브라이브!의 캐릭터들을 소개할 때 사용되는 기본 순서로 쓰인다. == 트랙 리스트 == ||<-6> [[파일:external/www.lovelive-anime.jp/cd_01b.jpg|width=300px]] || || '''트랙''' || '''곡명''' || '''작사''' || '''작곡''' || '''편곡''' || || 01 || [[僕らのLIVE 君とのLIFE(곡)|僕らのLIVE 君とのLIFE(우리들의 LIVE 너와의 LIFE)]] ||<|2> [[하타 아키]][br](畑亜貴) || 야마다 타카히로[br](山田高弘) || 타카다 쿄우[br](高田 暁) || || 02 || [[友情ノーチェンジ|友情ノーチェンジ(우정 노 체인지)]] ||<-2> Tron-LM || || 03 || 僕らのLIVE 君とのLIFE(우리들의 LIVE 너와의 LIFE)(off vocal) ||<|2> || 야마다 타카히로[br](山田高弘) || 타카다 쿄우[br](高田 暁) || || 04 || 友情ノーチェンジ(우정 노 체인지)(off vocal) ||<-2> Tron-LM || ||<-6> '''{{{#white 첫 만남의 인사(はじめましてのご挨拶)}}}''' || || 05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1|はじめまして -高坂穂乃果- (처음 뵙겠습니다 -코사카 호노카-)]] |||||||| || 06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2|はじめまして -絢瀬絵里- (처음 뵙겠습니다 -아야세 에리-)]] |||||||| || 07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3|はじめまして -南ことり- (처음 뵙겠습니다 -미나미 코토리-)]] |||||||| || 08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4|はじめまして -園田海未- (처음 뵙겠습니다 -소노다 우미-)]] |||||||| || 09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5|はじめまして -星空 凛- (처음 뵙겠습니다 -호시조라 린-)]] |||||||| || 10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6|はじめまして -西木野真姫- (처음 뵙겠습니다 -니시키노 마키-)]] |||||||| || 11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7|はじめまして -東條希- (처음 뵙겠습니다 -토죠 노조미-)]] |||||||| || 12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8|はじめまして -小泉花陽- (처음 뵙겠습니다 -코이즈미 하나요-)]] |||||||| || 13 ||<-5> [[僕らのLIVE 君とのLIFE/드라마 CD#s-1.9|はじめまして -矢澤にこ- (처음 뵙겠습니다 -야자와 니코-)]] |||||||| == 여담 == 기타나 베이스 등의 세션이 많이 어렵다. 특히 베이스는 고난이도를 넘어 괴랄한 수준. 이 곡을 Solo Live의 코토리 버전으로 들으면 후반의 하이 '하이 하이 하이!' 대신 '츙! 츙! 츙! 츙!'을 들을 수 있으며, 니코 버전으로 들으면 후반의 '키라키라...'대신 '니코니코...'와 '우~ Let's go!' 대신 '우~ 니코니코니!'를 들을 수 있다. 한국에서 나온 매체들 중에서는 君의 번역에 조금씩 차이가 있단 게 특징. 한쿠페스에서는 君을 항목 명과 동일하게 '너'라고 번역한 반면 정식 발매된 비주얼 컬렉션에서는 君의 번역을 '그대'라고 번역하였다. 이 곡이 나온 지 오랜 시간이 지나 [[러브 라이브! 선샤인!!(애니메이션 1기)|선샤인 애니메이션 1기]]가 국내 방영이 될 때, [[애니플러스]] 기준 약칭 번역명은 '''우리라라'''였다. 일본에서 쓰는 약칭인 보라라라에 익숙해져있던지라 국내 러브라이버들에게 소소한 충격을 주었는데, '''우리'''들의 '''LIFE''', 너와의 '''LIVE'''를 줄여서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나름 적절한 약칭이었으나, 앞서 말했듯 보라라라 그대로 읽어왔던 러브라이버들에겐 그야말로 모 자막러가 주었던 임팩트와 버금가는 충격으로 다가왔다. [[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2010년 싱글]][[분류:러브 라이브!/음반]][[분류:란티스 음반]][[분류:데뷔 싱글]][[분류:나무위키 러브 라이브!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