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個}}}낱 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 {{{#c88 カ}}}}}}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つ}}}}}}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ě, g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낱 개(個)'''. '낱낱', '하나의', '[[셈 측도|개(個)]]'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낱 || || {{{-1 '''음'''}}} ||개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è, ge[* 양사, 즉 단위명사로 쓰일 때], gě[* 自個/自个(자기)에서] || || {{{-1 '''[[광동어]]'''}}} ||go^^3^^ || || {{{-1 '''[[객가어]]'''}}} ||ke || || {{{-1 '''[[민북어]]'''}}} ||gŏ̤ || || {{{-1 '''[[민동어]]'''}}} ||gó̤[*文1 [[문독]], 일반적인 의미로 쓰일 때] / gá[* 양사, 즉 단위명사로 쓰일 때] || || {{{-1 '''[[민남어]]'''}}} ||kò || || {{{-1 '''[[오어]]'''}}} ||ku (T2)[*文 [[문독]]] / geq (T5)~hheq (T5)~eq (T4)[* 양사 혹은 조사로 쓰일 때. 단 이때는 번체자로도 个라고 표기한다.]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 {{{#c88 カ}}} || || {{{-1 '''훈독'''}}} ||{{{#c88 つ}}} || ||<-3> || ||<-2> '''[[베트남어]]''' ||cá || [[유니코드]]에는 U+500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WJR(人田十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固]](굳을 고)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간체자]] 个는 선진(先秦) 시대 때부터 쓰이던 [[속자]]로, [[竹]](대나무 죽)의 반쪽이다. 일본에선 개월 수 표현으로 쓰인다. 개월 수 표현은 숫자와 달 사이에 ヶ라는 기호를 집어 넣고 이를 か라고 읽으며, 달은 이때 일반적인 월로 붙여썼던 がつ가 아니라 げつ로 읽어준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개월: 一ヶ月(い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2개월: 二ヶ月(にかげつ) 3개월: 三ヶ月(さんかげつ) 4개월: 四ヶ月(よんかげつ) - しかげつ가 아님에 주의한다. 5개월: 五ヶ月(ごかげつ) 6개월: 六ヶ月(ろ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7개월: 七ヶ月(ななかげつ) - しちかげつ가 아님에 주의한다. 8개월: 八ヶ月(は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9개월: 九ヶ月(きゅうかげつ) 10개월: 十ヶ月(じゅっかげつ) - 촉음화에 유의한다. 11개월: 十一ヶ月(じゅういっかげつ) 12개월: 十二ヶ月(じゅうにかげつ) 13개월: 十三ヶ月(じゅうさんかげつ) 14개월: 十四ヶ月(じゅうよんかげつ) 15개월: 十五ヶ月(じゅうごかげつ) 몇개월: 何ヶ月(なんかげつ)}}} == 용례 == === [[단어]] === * 개개(個個) * 개개승복(個個[[承]][[服]]) * 개개인(個個[[人]]) * 개국(個[[國]]) * [[개년]](個[[年]]) * 개당(個[[當]]) * 개물(個[[物]]) * 개별(個[[別]]) * [[개별법]](個[[別]][[法]]) * [[개성]](個[[性]]) * 개성적(個[[性]][[的]]) * 개소(個[[所]]) * 개수(個[[數]]) * 개아(個[[我]]) * 개안(個[[眼]]) * [[개월]](個[[月]]) * [[개인]](個[[人]]) * 개인적(個[[人]][[的]]) * [[개인주의]](個[[人]][[主]][[義]]) * [[개인화기]](個[[人]][[火]][[器]]) *개입(個[[入]]) * 개조(個[[條]]) * 개중(個[[中]]) * [[개체]](個[[體]]) * 개품(個[[品]]) * 각개([[各]]個) * 단개([[單]]個) * 매개([[每]]個) * 반개([[半]]個) * 별개([[別]]個) * 사개대승([[四]]個[[大]][[乘]]) * 수개([[數]]個) * 여개([[餘]]個) === [[고사성어]]/[[숙어]] === * [[각개격파]]([[各]]個[[擊]][[破]]) * 개개복초(個個[[服]][[招]]) === [[인명]] === === [[지명#s-2]] === * [[고코역]]([[五]]個[[駅]]) === [[창작물]] === === 기타 === * [[개취]](個[[趣]]) * [[악개]]([[惡]]個) * [[하나의 중국]]([[一]]個[[中]][[國]]/[[一]]个[[中]][[国]]) == 유의자 == * [[箇]](낱 개) * [[枚]](낱 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個 * [[㧽]]/[[稒]](고을 이름 고) * [[錮]](막을 고) * [[鯝]](물고기 창자 고) * [[堌]](방죽 고) * [[凅]](얼 고) * [[婟]](연모할 고) * [[祻]](제사 고) * [[棝]](쥐덫 고) * [[侗]](지각없을 동) * [[涸]](마를 후) * '''[[간체자]]''' 个 * [[㐃]]/[[亇]](망치 마) [[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