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佇}}}우두커니설 저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人|{{{#000,#fff 人}}}]], 5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チョ}}}}}}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たたず-む, たちど-まる, ま-つ}}}}}}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hù{{{#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佇는 ''''우두커니설 저''''라는 [[한자]]로, '우두커니 서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宁]](뜰 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4F4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JMN(人十一弓)으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근저([[勤]]佇) * 저견(佇[[見]]) * 저권(佇[[眷]]) * 저념(佇[[念]]) * 저대(佇[[待]]) * 저립(佇[[立]]) * 저사(佇[[思]]) * 저상(佇[[想]]) * 저면(佇[[眄]])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김저]]([[金]]佇) * [[주저]]([[周]]佇)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㑏(U+344F) * 竚(U+7ADA) * 𥩟^^[⿰立㝉]^^(U+25A5F) * 𥩽^^[⿰立守]^^(U+25A7D) == 유의자 == * [[站]](우두커니설 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咛]](간곡할 녕)[* [[嚀]](간곡할 녕)의 [[간체자]]] * [[聍]](귀지 녕)[* [[聹]](귀지 녕)의 [[간체자]]] * [[狞]](사나울 녕)[* [[獰]](사나울 녕)의 [[간체자]]] * [[𧉞]]^^[⿰虫宁]^^(새우 녕)[* [[䗿]](새우 녕)의 [[간체자]]] * [[拧]](어지러워질 녕)[* [[擰]](어지러워질 녕)의 [[간체자]]] * [[泞]](진창 녕)[* [[濘]](진창 녕)의 [[간체자]]] * [[𢁼]]^^[⿰巾宁]^^(구의 저) * [[𤆼]]^^[⿰火宁]^^(그을릴 저) * [[𨀉]]^^[⿰𧾷宁]^^(기다릴 저) * [[𤕞]]^^[⿰爻宁]^^(나아갈 저) * [[䘢]](낡은옷 저) * [[柠]](닥나무 저, 레몬 녕) * [[紵]](모시 저) * [[𩶂]]^^[⿰魚宁]^^(물고기이름 저) * [[眝]](바라볼 저) * [[羜]](새끼양 저) * [[詝]](슬기로울 저) * [[𥹍]]^^[⿰米宁]^^(쌀담을 저) * [[𤲑]]^^[⿰甾宁]^^(쌀독 저) * [[䍆]](쌀포대 저) * [[貯]](쌓을 저) * [[坾]](쌓인티끌 저) * [[竚]](우두커니설 저)[* 佇(우두커니설 저)의 [[동자#s-2]]] * [[㤖]](지혜 저) * [[𪥰]]^^[⿰女宁]^^ * [[𰌥]]^^[⿰子宁]^^ * [[𡨹]]^^[⿰守宁]^^ * [[𫳘]]^^[⿰字宁]^^ * [[𬍜]]^^[⿰⺩宁]^^ * [[𮁫]]^^[⿰示宁]^^ * [[𤱤]]^^[⿰由宁]^^ * [[𬑱]]^^[⿰矢宁]^^ * [[𮀓]]^^[⿰石宁]^^ * [[𤴍]]^^[⿰疊宁]^^ * [[𱊷]]^^[⿰鹵宁]^^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