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仕}}}섬길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 (ジ){{{#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か-える, {{{#c88 つかまつ-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仕는 ''''섬길 사''''라는 [[한자]]로, '섬기다', '벼슬', '관직'을 뜻한다. == 상세 == [[士]](선비 사)에서 파생된 글자로, [[人]](사람 인)과 [[士]](선비 사)가 합쳐진 [[회의자]]이자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4ED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G(人土)로 입력한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봉사]](奉仕)'라는 단어 하나를 제외하면 쓰이는 일이 거의 없다. 사실상 봉사 하나 덕에 준5급에 배정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사례로 노력(努力)이란 단어 하나만으로 준4급에 배정된 [[努]](힘쓸 노)가 있다.] 일본에서는 する의 연용형 し-의 [[아테지]]로서 자주 쓰인다. 仕上げる, 仕掛ける, 仕草, 仕組み, 仕業 등이 있다. 사양(仕樣) 같은 경우는 아예 한국에서도 단어로 굳어져 쓰인다. 중국 장기 [[샹치]]에 기물 이름으로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봉사]]([[奉]]仕) * 근로봉사([[勤]][[勞]][[奉]]仕) * 봉사심([[奉]]仕[[心]]) * 봉사자([[奉]]仕[[者]]) * 사회봉사([[社]][[會]][[奉]]仕) * [[자원봉사]]([[自]][[願]][[奉]]仕) * 사관(仕[[官]]) * [[사퇴]](仕[[退]]) - 벼슬아치가 정한 시각에 사무를 마치고 물러 나오던 일. '공직 사퇴' 할 때의 사퇴와는 다르다. * [[치사#s-3]]([[致]]仕) * 통사랑([[通]]仕[[郞]]) === [[고사성어]]/[[숙어]] === * 기복출사([[起]][[復]][[出]]仕): 상중(喪中)에 벼슬에 나가던 일. * 남행초사([[南]][[行]][[初]]仕): 남행으로 처음 벼슬길에 오름. * 적사구근([[積]][[仕]][[久]]勤): 여러 해를 벼슬살이 함. === [[인명]] === * [[김사용]]([[金]]仕[[龍]]) * [[라소백|뤄스루]]([[羅]]仕[[茹]]) * [[타카치호 시구사]]([[高]][[千]][[穂]] 仕[[種]]) * [[하마즈라 시아게]]([[浜]][[面]] 仕[[上]]) === [[지명#s-2]] === === [[창작물]] === * [[ぜんまい仕掛けの子守唄]]([[태엽장치의 자장가]]) * [[時計仕掛けのメリーゴーランド]] == 유의자 == * '''받들다''' * [[奉]]/[[捧]](받들 봉) * '''벼슬''' * [[官]](벼슬 관) * [[卿]](벼슬 경) * [[尉]](벼슬 위) * [[爵]](벼슬 작) * [[宦]](벼슬 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仩]](올릴 상) * [[任]](맡길 임) * [[𫣸]]^^[⿰僧士]^^ * [[𢩿]]^^[⿰扌士]^^ * [[𬚯]]^^[⿰⺼士]^^ * [[𬐂]]^^[⿰⿳癶一𪜀士]^^ * [[𥾘]]^^[⿰糸士]^^ * [[𲍚]]^^[⿰鳥士]^^ * [[𪐢]]^^[⿰黑士]^^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𦙰]]^^[⿰⺼仕]^^/[[𦚘]]^^[⿱仕肉]^^(밥찌끼 자)[* [[胏]](밥찌끼 자)의 [[동자#s-2]]] * [[茌]](풀모양 치) * [[𠱊]]^^[⿰口仕]^^ * [[𪧸]]^^[⿰寺仕]^^ * [[𫪣]]^^[⿰后仕]^^ * [[𢫟]]^^[⿰扌仕]^^ * [[𱦁]]^^[⿰氵仕]^^ * [[𣐴]]^^[⿰木仕]^^ * [[𤇧]]^^[⿰火仕]^^ * [[𤵴]]^^[⿸疒仕]^^ * [[𥿥]]^^[⿰糸仕]^^ * [[𨀋]]^^[⿰𧾷仕]^^ * [[𫎔]]^^[⿱仕貝]^^ * [[𨦁]]^^[⿰金仕]^^ * [[𪀆]]^^[⿰仕鳥]^^ * [[𪐾]]^^[⿱黑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