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숫자 한자)] [include(틀:십진수)]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京}}}서울 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亠|{{{#000,#fff 亠}}}]],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ョウ, ケイ, {{{#c88 キ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みやこ}}}}}}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ī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동음이의어)|서울]], 즉 한 나라의 [[수도(도시)|수도]]를 의미하는 글자. 수도라는 뜻 외에 [[경(수)|10의 16승]]이라는 의미도 있다. 이 한자의 훈으로 짐작할 수 있듯이, 서울은 본래 '수도'를 의미하는 고유어 보통명사였다가 현재 [[고유명사]]로 바뀌었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서울 || || {{{-1 '''음'''}}} ||경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īng || || {{{-1 '''[[광동어]]'''}}} ||ging^^1^^ || || {{{-1 '''[[객가어]]'''}}} ||kîn || || {{{-1 '''[[민동어]]'''}}} ||gĭng || || {{{-1 '''[[민남어]]'''}}} ||keng[*文 [[문독]]] / kiaⁿ[*白 [[백독]]] || || {{{-1 '''[[오어]]'''}}} ||ji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キョウ, ケイ, {{{#c88 キン}}} || || {{{-1 '''훈독'''}}} ||{{{#c88 みやこ}}} || ||<-3> || ||<-2> '''[[베트남어]]''' ||kinh || [[유니코드]]에는 U+4EAC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ㄐㄧㄥ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F(卜口火)로 입력한다. 높은 곳에 지어진 누대(樓臺)를 본뜬 [[상형자]]이다. 원래는 높은 곳을 나타내는 글자였으나, 이후 파생된 뜻인 '크다', '수도' 따위의 뜻이 현재는 주가 되었다. 일찍이 [[금문]]에서부터 등장하는 '京師'나 '京誠' 따위는 후에 '수도'를 나타내는 보통명사와 같이 쓰이기도 하였다.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는 경의 모습을 언덕 위에 지은 집이나 성문 위에 지은 다락이 아니라 다름 아닌 [[그리스어]]로 트로파이온(τρόπαιον)이라 할 수 있는 것을 본뜬 것이라 풀었다. 부연하자면 경은 본래 전쟁에서 이긴 뒤 적의 [[송장#s-2|송장]]을 쌓아 만든 전승기념물로 현존하는 문헌에서 [[경관#s-3|경관]]이라고 불리는 것이라는 게 시라카와 시즈카의 주장이다. 『[[여씨춘추]]』에서는 이것을 경구(京丘)라고도 썼는데[* 제7권인 「맹추기」, 금새(禁塞)에서 "널부러진 뼈다귀가 헤아려 셀 수 없기 때문에 경구라 하는데 뫼와 언덕과 같다.(故暴骸骨無量數 爲京丘若山陵.)"고 하였고 [[고유(후한)|고유]]는 주석에서 "[[전투]]에서 [[살인]]하고 흙을 모아 그것들(송장)을 쌓는데 이를 두고 경관이라 하며 때문에 경구라고도 이르니 뫼숲이 높고 큰 것과 같다.(戰鬪殺人 合土築之 以爲京觀 故謂之京丘 若山林高大也.)"고 하였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송장을 모아 쌓아 흙만 덮어 큰 언덕처럼 만든 걸 경구, 그 위에 [[누각|다락]]까지 지은 걸 경관이라 하여 둘을 구분하였다. 그렇기에 경의 본래 뜻은 다락까지 얹은 [[전승기념탑]]이라는 것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AC-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AC-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AC-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4%BA%AC-seal.svg.png]] [[이체자]]로는 亰이 있다. == 용례 == 특성상 지명 등의 고유명사에만 자주 쓰이고, 일반명사에서는 그다지 유명한 단어가 없다시피 한다. * [[경부고속도로]] (京釜高速道路) * [[경인고속도로]] (京仁高速道路) * [[제2경인고속도로]] (第二京仁高速道路) : 종점이 경기도 [[성남시]]인데다가 서울을 경유하지 않지만, 경인고속도로의 바이패스 역할을 하기에 명명되었다. * [[경부선]] (京釜線) * [[경부고속선]] (京釜高速線) * [[경원선]] (京元線) * [[경의선]] (京義線) * [[경인선]] (京仁線) * [[경강선]] (京江線) : 수도 서울을 경유하는 노선이 아니지만, 이 노선의 유래인 경기도가 서울에서 따온 이름이므로 전혀 연관이 없진 않다. * [[경기도]] (京畿道) * [[경성]] (京城) : [[수도(도시)|수도]](서울)를 가리키는 일반명사 중 하나이자, [[일제강점기]] 때 현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명([[경성부]]). * [[경향]] (京鄕) : 수도(서울)와 지방(시골). [[경향신문]]의 '경향'이 이것. * [[상경]] (上京) : 일반명사로는 '서울로 올라간다'는 뜻이며, 고유명사로는 [[발해]]의 수도 중 하나([[상경용천부|상경 용천부]])의 이름이다. * [[왕경#s-1]] (王京) : 일반적으로 [[임금]]이 거주하는 거소 내지는 [[수도(도시)|수도]]를 의미하는데, [[삼국사기]]에서는 [[신라]]의 수도 [[서라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 [[고사성어]]/[[숙어]] === * 경향출입 (京鄕出入) * 경화귀객 (京華貴客) === [[인명]] === * [[김경언]](金京言) - 前 [[한화 이글스]] 야구선수, 現 [[저니맨 외인구단]] 야구선수 * [[김경진(1966)|김경진]](金京鎭) * [[김경태(1975)|김경태]](金京泰) - 前 [[KBO 리그]] [[LG 트윈스]]의 야구선수 * [[테이]] : 본명 김호경(金鎬京) - 가수 * 노춘경(盧春京) - 한국 최초의 [[세례]]교인 * [[리경숙]](李京淑) - [[북한]]의 가수. 그 유명한 <[[반갑습니다]]>를 부른 사람이다. * [[문경찬]](文京贊) -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야구선수 * [[박경림]](朴京林) - '경'의 한자를 [[景]](볕 경)이나 [[慶]](경사 경)으로 잘못 표기하는 곳이 있다. 하지만 본인이 직접 京(서울 경)이라고 언급했다. * [[염경엽]](廉京燁) * 이경빈(李京彬) - [[친일반민족행위자]] * [[이경석(배구)|이경석]](李京錫) * [[서경석]](徐京錫) * [[송경철]](宋京喆) * [[이경수]](李京洙) * [[이경자]](李京子) * [[정경미]](鄭京美) * [[허경영]](許京寧) * [[아모우 쿄코]]([[天]][[羽]] 京[[子]]) * [[카쿄인 노리아키]](花京院 典明) * [[코마다 히로카]](駒田京伽) * [[쿄라쿠 슌스이|쿄라쿠 지로 사쿠라노스케 슌스이]](京楽 次郎 総蔵佐 春水) * [[쿠사나기 쿄]](草薙 京) * [[쿠온지 우쿄]]([[久]][[遠]][[寺]] [[右]]京) * [[홍예지(디지몬 시리즈)|이노우에 미야코]](井ノ上京) * [[스도 쿄이치]](須藤 京一) 일본어 인명을 보면 알겠지만 훈독으로 '[[미야코]]'로 읽기도 하고 음독으로 '쿄'로 읽기도 한다. [[都]] 자도 훈독으로는 똑같이 미야코라고 읽는다. === [[지명]] === 한자의 뜻이 뜻인지라 유독 지명에 자주 쓰인다. 또한 지명 대부분이 [[수도(도시)|수도]] 또는 과거에 수도였거나 수도와 관련있는 지명이다. 지명의 [[줄임말|약자]]로 자주 쓰이는데 [[한국]]에서 보통 [[서울특별시|서울]]의 약자로 쓰이고[* 이는 [[북한]]에서도 마찬가지로 [[수도(도시)|수도]] [[평양시|평양]](平壤)의 [[줄임말|약자]]는 평([[平]])이다. 예) [[평부선]].] [[중국]]에선 [[수도(도시)|수도]] 베이징(北'''京''')의 약자(京: Jīng 징)으로 쓰인다.[* 다만 [[중화민국/국민정부#s-4.5|국민당 정부 시기]]에 京은 [[난징시|난징]](南'''京''')의 [[줄임말|약자]]였는데 이는 난징이 [[중화민국/국민정부#s-4.5|국민당 정부]]의 [[수도(도시)|수도]]였기 때문이다. 당시 베이징은 베이핑(北'''平''')으로 이름이 바뀐 상태라 [[줄임말|약자]]가 평([[平]]: Píng 핑)이었다. 때문에 [[철도]]노선 징후철로(京[[상하이시|沪]]铁路)는 [[중화민국/국민정부#s-4.5|국민당 정부 시기]]와 [[중국|중공]] [[국부천대|수립]] 이후 지칭하는 노선이 다른데, 전자는 [[난징시]]~[[상하이시]]간 철도를 의미하며, 후자는 [[징후철도|베이징~상하이간 철도]]를 의미한다. 후자의 노선은 [[중화민국/국민정부#s-4.5|국민당 정부 시기]]엔 핑후철로(平[[상하이시|沪]]铁路)라 일컬었다. 참고로 현재 [[난징시]]의 [[줄임말|약자]]는 [[청나라|청대]] [[난징시|난징]]의 이름인 강녕(江寧)에서 유래한 녕(宁: Níng 닝)이다.] [[일본]]에선 [[도쿄도|도쿄]](東'''京''')[*예1 [[케이힌]]('''[[도쿄도|京]]'''[[요코하마시|浜]])]와 [[교토]]('''京'''都)[*예2 [[케이한신]]('''[[교토|京]]'''[[오사카|阪]][[고베시|神]])]의 [[줄임말|약자]]로 쓰이는데, [[도쿄도|도쿄]]를 다른 [[도시권]]과 일컬을 때는 [[교토|후자]]와 혼동 우려가 있기 때문에 [[줄임말|약자]]로 京보다는 [[東]](토-)를 더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예3 [[도메이 고속도로]]('''東'''[[나고야시|名]]高速道路)] * [[개경]]([[開]]京) - 고려시대 수도, 현 [[개성시]] 직할구역, [[이북5도]] 행정구역으로 [[미수복 경기도|경기도]] [[개성시]] * [[경기도]](京[[畿]][[道]]) * 경도(京[[都]]) - [[수도(도시)|수도]]를 일컫는 일반명사 * [[교토부]](京[[都]][[府]]) - 과거 [[일본]] [[수도(도시)|수도]]. * 경사(京[[師]]) - [[수도(도시)|수도]]를 일컫는 일반명사 * 경사학당(京[[師]][[學]][[堂]]) - [[베이징대학|북경대학]]([[北]]京[[大]][[學]]) 옛이름 * 경성(京[[城]]) - [[수도(도시)|수도]]를 일컫는 일반명사 * [[경성부]](京[[城]][[府]])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산하 행정구역, 현 [[서울특별시]]의 전신 * 경조(京[[兆]]) - [[수도(도시)|수도]]를 일컫는 일반명사 * [[남경]]([[南]]京) * [[난징시|난징]] (남경, 南'''京''') * [[동경]]([[東]]京) * [[도쿄도]] (동경, 東'''京''') - [[일본]] [[수도(도시)|수도]] * [[동경(고려)|동경]] (현재 [[경주시|경주]], 東'''京''') - 고려시대 제 3의 수도 * [[북경]](北京) * [[베이징시]](북경, 北'''京''') - [[중국]]의 [[수도(도시)|수도]]. * [[상경]] * [[서경]]([[西]]京) * 서경 고려 - 고려시대 제2의 수도, 현 [[평양시]] * [[베이징시#s-9.2|왕징]]([[望]]京, Wángjīng; 망경) - [[베이징시]]의 한 구역으로 한국인들이 많이 거주한다. * [[중경]](中京)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서경리([[西]]京[[里]]) === 음악 === * [[京(BEMANI 시리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亭]](정자 정) * [[享]](누릴 향) * [[亨]](형통할 형) - 이상 3인방은 서로 자형이 비슷해서 골머리를 썩게 한다. * [[烹]](삶을 팽) == 여담 == [[2008 베이징 올림픽]] 엠블럼은 '''京'''자를 모티브로 해서 춤추는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경, version=87, paragraph=8)]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수도]][[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