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予를 속자 및 신자체로 하는 한자, rd1=豫)]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予}}}나/줄 여, 미리 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亅|{{{#000,#fff 亅}}}]],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ヨ}}}}}}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らかじ-め}}}, {{{#c88 あた-える, わ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ú, y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予는 ''''나/줄 여''''라는 [[한자]]로, 1인칭 대명사인 '나' 혹은 '건네주다'를 뜻한다. 그리고 '미리'를 뜻하는 [[豫]]의 약자로도 쓰인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E8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戈弓弓(NINN)으로 입력한다. 소전의 글꼴에서는 두 개의 세모꼴이 서로 엇갈려 있고 그 밑에 실 같은 선이 있다. 이는 천을 짜는 직기의 일부를 본뜬 것으로, 이 해석을 따르면 북 저(杼)의 원래 글자가 된다. 천을 짤 때 감겨 있는 실을 좌우로 보내야 했기 때문에 '주다'라는 뜻이 나오고, '승인하다', '허락하다'와 같이 남에게 무언가를 '해 주는', 즉 '주다'와 관련된 여러 의미가 파생되었다. 혹은 두 개의 세모꼴이 물건을 주고받는 모습으로 보아, '주다'가 본 뜻인 것으로 보기도 한다. '나'라는 뜻은 가차된 것이다. 상나라 때는 '나'라는 1인칭 단수 대명사로 사용되었으나 춘추시대부터 吾를 쓰기 시작하면서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주격에 자주 사용되는 [[吾]]와 빈격에 자주 사용되는 [[我]]와는 달리, 予의 품사적 위치는 상대적으로 매우 자유롭다. [[한자문화권]] 국가의 기록물에서는 주로 [[왕]]이 1인칭 대명사로 이 표현을 쓴 것으로 나와 있으나 입말로도 그렇게 말했을지는 알 수 없는데, 予는 정작 사대부들의 개인 문집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특히 주로 予曰(내가 말하기를) 등의 상투어구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었다. [[豫]](미리 예)의 성부이며, 속자(俗字)이기도 하다. 다만 予는 쓰임이 그리 많지 않고, [[與]](줄 여), [[豫]](미리 예)에 대부분의 용례를 빼앗긴 형편이다. 予를 180도 돌리면 [[𠄔]]가 되는데, [[幻]](허깨비 환)과 동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여왈(予曰) * 여탈(予奪) === [[고사성어]]/[[숙어]] === * 광인기여여하(匡人其如予何)[* 직역하면 '광나라 사람들이 나를 어찌하겠는가'라는 뜻이다. 어떤 상황에도 신념을 유지하는 의연한 태도를 나타낸다.]: 광(匡) ==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豫]]를 대체하여 予를 쓴다. [[豫#s-5]] 문서 참고. == [[중국어]] == 予[yú]: 나(문어적 표현). 予[yǔ]: 주다. == 유의자 == * '''나''' * [[儂]](나 농) * [[我]](나 아) * [[卬]](나 앙) * [[俺]](나 엄) * [[余]](나 여) * [[吾]](나 오) * [[朕]](나 짐) * '''주다''' * [[給]](줄 급) * [[賚]](줄 뢰, 줄 래) * [[授]](줄 수) * [[與]](더불 여/줄 여) * [[呈]](드릴 정) * [[贈]](줄 증) * [[獻]](드릴 헌) * '''미리''' * [[豫]](미리 예) == 상대자 == * '''나''' * [[你]](너 니) * [[恁]](너 님) * [[您]](너 니, 너 님) * [[汝]](너 여) * [[爾]](너 이) * '''주다''' * [[受]](받을 수) * [[簒]](빼앗을 찬) * [[奪]](빼앗을 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了]](마칠 료) * [[矛]](창 모) * [[子]](아들 자) * [[㐧]](차례 제)[* [[第]](차례 제)의 [[속자]]] * [[孑]](외로울 혈) * [[𠄔]](헛보일 환)[* 予자가 180도 뒤집힌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