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參, other1=갖은자)] [include(틀:숫자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三}}}석 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一|{{{#000,#fff 一}}}]],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み, み-つ, みっ-つ, {{{#c88 み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파일:20210726_202800.gif]] || || 三의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三은 ''''석 삼''''이라는 [[한자]]로, 숫자 [[3]]과 그 서수를 나타낸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석 || || {{{-1 '''음'''}}} ||삼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ān || || {{{-1 '''[[광동어]]'''}}} ||saam^^1^^ || || {{{-1 '''[[객가어]]'''}}} ||sâm || || {{{-1 '''[[민북어]]'''}}} ||sáng || || {{{-1 '''[[민동어]]'''}}} ||săng || || {{{-1 '''[[민남어]]'''}}} ||sam[*文 [[문독]]] / saⁿ[*白 [[백독]]] || || {{{-1 '''[[오어]]'''}}} ||se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サン || || {{{-1 '''훈독'''}}} ||み, み-つ, みっ-つ, {{{#c88 みい}}} || ||<-3> || ||<-2> '''[[베트남어]]''' ||tam || [[유니코드]]에는 U+4E0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MM(一一一)으로, [[주음부호]]로는 ㄙㄢ로 입력한다. 석 삼의 부수형태는 彡가 있다. 이 부수는 [[강희자전]]에서 59번째 부수로 분류되어 있으며, [[修]](닦을 수), [[參]](석 삼), [[形]](형상 형), [[須]](모름지기 수) 등의 한자에 사용된다. [[지사자]]인데, 선이 세 개 그어져 있는 모습을 본뜬 것이다. 一이 二 위에 있는 모양이니 '둘에 하나를 더하면 셋'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1부터 3까지는 각 숫자의 개수만큼 있는 물체의 형상을 본땄지만 그 이후의 숫자는 그렇지 않다.[* 단, 4도 옛날에는 亖로 쓰기는 했다.] [[이체자]]로는 [[參]], 参[* 參의 [[간화자]]/[[신자체]]], 叁 弎[* 고자이다.], 𢦘[* 동자이다.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를 참고하자.[br][[파일:석삼동자1.png]]], 𣬛[* 동자이다.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를 참고하자.[br][[파일:석삼동자2.png]]]등이 있다. 參(석 삼, 참여할 참)은 [[갖은자]]인데, 이런 복잡한 한자가 三의 갖은자가 된 이유는 관공서나 공식 문서 등지에서 三에 획을 몇개 더 그어서 五 등의 한자로 조작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一과 二의 갖은자는 각각 壹, 貳이다.] 중국대륙에서 쓰이는 간체자의 경우, '참여할 참'으로 쓰일 때는 아래쪽의 三을 비스듬히 써서 参이라고 표기하고, '석 삼'으로 쓰일 때는 똑바로 써서 叁이라고 표기하여 둘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고3]]([[高]]三) * [[고3병|고삼병]]([[高]]三[[病]]) * [[삼공]](三[[公]]/三[[共]]) * [[삼교]](三[[敎]]) * [[삼국]](三[[國]]) * 삼각(三[[角]]) * [[삼각관계]](三[[角]][[關]][[係]]), [[삼각비]](三[[角]][[比]]), [[삼각대]](三[[脚]][[臺]]), [[삼각주]](三[[角]][[洲]]), [[삼각형]](三[[角]][[形]]), [[삼각함수]](三[[角]][[函]][[數]]), [[정삼각형]]([[正]]三[[角]][[形]]) * [[삼권분립]](三[[權]][[分]][[立]]) * [[삼년상]](三[[年]][[喪]]) * [[삼대]](三[[代]]) * [[삼류]](三[[流]]) * [[삼복]](三[[伏]]) * [[삼분법]](三分法) * [[삼사]](三[[司]]/三[[師]]/三[[使]]/三[[史]]/三[[社]]/三[[士]]) * [[삼원색]](三[[原]][[色]]) * [[3월|삼월]](三[[月]]) * [[삼위일체]](三[[位]][[一]][[體]]) * [[3.1 운동]](三[[一]][[運]][[動]]) * [[3·1절|삼일절]](三[[一]][[節]]) * [[삼재]](三[[災]]) * 삼중(三[[重]]) * [[삼중살]](三[[重]][[殺]]), [[삼중수소]](三[[重]][[水]][[素]]) * [[삼진]](三[[振]]) * [[3차원|삼차원]](三[[次]][[元]]) * [[삼촌]](三[[寸]]) * [[삼총사]](三[[銃]][[士]]) * [[삼파전]](三[[巴]][[戰]]) * [[삼팔선]](三[[八]][[線]]) * 삼한사온(三[[寒]][[四]][[溫]]) * 삼한사미(三[[寒]][[四]][[微]]) *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 재삼([[再]]三) * 제삼([[第]]三) * 제삼국([[第]]三[[國]]), 제삼세계([[第]]三[[世]][[界]]), 제삼자([[第]]三[[者]]) === [[고사성어]]/[[숙어]] === * [[삼강오륜]](三[[綱]][[五]][[倫]]) * [[삼고초려]](三[[顧]][[草]][[廬]]) * 삼도지몽(三[[刀]][[之]][[夢]]) * 삼삼오오(三三[[五]][[五]]) * [[삼인성호]](三[[人]][[成]][[虎]]) * [[위편삼절]]([[韋]][[編]]三[[絶]]) * [[작심삼일]]([[作]][[心]]三[[日]]) * [[조삼모사]]([[朝]]三[[暮]][[四]]) === [[인명]] === * [[김영삼]]([[金]][[泳]]三) * [[니카이도 미사토]]([[二]][[階]][[堂]] 三[[郷]]) * [[미사와 사치카]](三[[澤]] [[紗]][[千]][[香]]) * [[미야미즈 미츠하]]([[宮]][[水]] 三[[葉]]) * [[미모리 스즈코]](三[[森]] すずこ) * [[미츠바 무츠미]](三[[葉]] ムツミ) * [[미카미 시오리]] (三[[上]] [[枝]][[織]]) * [[미카미 신지]](三[[上]] [[真]][[司]]) * [[미카미 유아]](三[[上]][[悠]][[亜]]) * [[미카미 코마타]](三[[上]] [[小]][[又]]) * [[민영삼]] ([[閔]][[泳]]三) * [[시오다 고조]]([[塩]][[田]] [[剛]]三) * [[아베 신조]]([[安]][[倍]][[晋]]三) *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 [[뉴턴과 사과나무#s-3.3|우타카네 요츠코]]([[一]][[二]]三[[四]][[五]]) * [[이공삼(약한영웅)|이공삼]]([[貳]][[凌]]三) * [[이세미 아로]]([[伊]][[勢]]三 [[杏]][[路]]) * [[허삼영]]([[許]]三[[榮]]) * [[홍상삼]]([[洪]][[相]]三) * [[Toshl]]([[出]][[山]][[利]]三) * --[[지석삼|지석삼]]-- === [[지명#s-2]] === * [[감삼역]]([[甘]]三[[驛]]) * [[미아동|삼각산동]] * [[삼각지역]] * [[삼산체육관역]] * [[삼선동|삼선동1~5가]]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삼성중앙역]] * [[삼송역]] * [[미아동|삼양동]] * [[삼양사거리역]] * [[삼양역]] * [[삼전역]] * [[삼지연시]](三[[池]][[淵]][[市]]) * [[삼척시]](三[[陟]][[市]]) === [[창작물]] ===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유사]](三[[國]][[遺]][[事]]) * [[삼국지]](三[[國]][[志]]) * 향례삼선([[鄕]][[禮]]三[[選]]) * [[마타사부로]]([[又]]三[[郎]]) === 기타 === * 삼모(三[[模]]/三[[摸]]), 삼평(三[[評]]): [[교육청]] 또는 [[평가원]]에서 주관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모의 시험의 약칭 * [[삼적화]](三[[適]][[化]]) * [[삼성전자|삼전]](三[[電]]): [[삼성전자]]의 비공식 약칭 * [[삼성]](三[[星]])[* 그런데 [[삼성]]은 한국 본사와 일본 지사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는다.] * [[삼양라면]]([[三]]養-[[麪]]) * [[9등급제|기삼이]](기三이): ‘기껏해야 3등급인 아이’의 준말로, [[메가스터디]]의 국어 강사 김동욱이 사용하였다. * [[군삼녀]]([[軍]]三[[女]]) * [[삼번의 난]](三[[藩]][[之]][[亂]]) * [[하삼동커피]]([[嚇]]三[[同]]커피) * [[후래자삼배]]([[後]][[來]][[者]]三[[杯]]): 나중에 오는 사람은 술 석 잔 * [[三角函数]]: [[GNZ48]] 팀 Z의 극장공연 세트리스트 == 여담 == * 숫자를 셀 때 한놈, 두시기, 석삼, 너구리로 세는 유머가 있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8급 한자]][[분류:같은 한자를 세 개 합친 한자]][[분류: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