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글자모)] [목차] == 한글 자모의 일종 == ||<-3> '''{{{+3 ㄱ}}}''' || ||<-2> 이름 || 기역 || ||<-2> 분류 || 자음(예사소리) || ||<|8> 음성 || 어두 || k (ɡ̊)[br]kʷ (ɡ̊ʷ) || || 어중 || ɡ[br]ɡʷ || || 종성 || k̚ || || 종성+모음앞 || ɡ[br]ɡʷ || || [[자음동화]] || ŋ || || 경음화 [br] {{{-2 (된소리되기)}}} || k͈[br]k͈ʷ || || 격음화 [br] {{{-2 (거센소리되기)}}} || kʰ[br]kʰʷ || [clearfix] [[한글 자모]]의 한 종류. [[훈민정음]] 자음의 순서인 아설순치후(牙舌脣齒喉) 중 제일 앞인 아음(牙音)인데다 전청(全淸, 평음)이기 때문에 제일 첫 글자가 되었다. 따라서 한글을 배울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가 되었다. 남한에서는 '''기역'''이라고 읽는다. '기윽'으로 생각할 수도 있는데 '기역'이 된 것은 최세진이 훈몽자회에서 각각의 자모의 이름을 명명할 당시에 한자의 음만 빌려와 한자로 표기하였는 데 '윽'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훈몽자회]] 참조. 반면 북한에서는 다른 자음들과 마찬가지로 '자음+ㅣㅡ+자음' 규칙을 살려 '''기윽'''으로 읽는다. 어두에서는 혓바닥을 입천장에 붙이고 터뜨리는 [[연구개음#파열|연구개 파열음]] ([k])이며, 어중에서 모음이나 ㅁㄴㅇㄹ 뒤에 후속할 경우는 약간의 유성음으로 변해 ([ɡ])가 된다. 종성으로 쓰일 때에는 뒤에 모음이나 ㅁㄴㅇㄹ가 후속하지 않을 때 불파음인 ([k̚])의 음가를 가지며, [[공명음]] 앞에서는 [[자음동화]]로 인하여 ([ŋ])의 음가를 가진다. 그런데 21세기 들어 40대 이하의 [[서울]] 사람들은 더 이상 어두의 /ㄱ/과 /ㅋ/의 소리를 기식성으로 구별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과거에는 어두의 /ㄱ/은 [k]로, 어두의 /ㅋ/는 [kʰ]로 실현되었지만, 40대 이하의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은 어두의 ㄱ와 ㅋ을 모두 [kʰ]로 기식을 넣어 발음한다. 대신, 음높이의 차이로 /ㄱ/과 /ㅋ/을 구별하는데, 평탄하게 소리내면 /ㄱ/이고, 높게 내면 /ㅋ/이다.[* 예를 들어 카드와 가드를 말할 때 카는 높은 음을 내고 가는 보통 높이의 음으로 말한다는 것이다.] 일종의 [[성조]](tone)가 생겨나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편 경상도 지역은 이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역시 2010년대 들어서는 20대 이하의 여성을 기준으로 /ㄱ/과 /ㅋ/의 기식성의 차이가 거의 사라졌다. 반면에 20대 이하의 경상도 남성에게서는 여전히 /ㄱ/과 /ㅋ/ 간의 기식성의 차이가 나타난다.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서 획 하나를 더하면 [[ㅋ]]이 된다. 된소리로는 '''ㄲ'''이 있으며 이걸 '''쌍기역'''이라고 부른다.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았다가 터뜨려 내는 연구개 파열음이다. 북한에서는 '''된기윽'''으로 부른다.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끼윾'으로 불렀다.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비슷한 말은 목불식정(目不識丁). [[서태지]] 솔로 2집에 '[[ㄱ나니]]?'라는 제목의 곡이 실려 있다. [[세븐 갤러리]]에서는 숫자 [[7]]을 못 뽑아내면 이 글자를 7로 치환해서 턴다. [[세븐 갤러리/털린 이유]] 문서에서 [[풀어쓰기]]로 된 부분을 자세히 보자. 한글 자모의 첫 번째라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에서 이름 앞에 ㄱ을 넣으면 맨 첫 번째로 나온다. 물론 한글 자모 기준이고 [[아스키 코드]] 및 [[유니코드]] 기준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글자는 [[느낌표]](!, U+0021)다. 참고로 ㄱ은 U+1100([[조합형]])/U+3131(단독 문자). 예) "홍길동" → "ㄱ홍길동" 오른쪽에 붙는 모음과 같이 쓰일 때는 세로획의 끝이 왼쪽으로 휘게 디자인된 폰트가 많다('가' vs. '그') . 한글 창제 초창기의 판본체에는 이러한 특징이 없다. 아무래도 왼쪽 아래가 비어있으면 균형이 안 맞아 보여서 그렇게 변화한 듯하다. ㄱ 단독이나 '그' 등도 '가'만큼은 아니지만 약간 왼쪽으로 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ㄴ]]과는 차이가 나는 부분.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다른 [[자음]]과 [[모음]]들과 마찬가지로 [[야짤]]이 나오던 적이 있었다. == 제자 원리 == [[연구개음#파열|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떴다. == 축약어로써 사용되는 ㄱ == 온라인 게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 '고([[go(영어)|go]])' '''의 준말로, 준비가 되었으니 시작하라는 알림 혹은 재촉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2개를 붙여서 'ㄱㄱ'(발음할때는 기기 혹은 고고)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재촉의 의미로 볼 때에는 ㄱ의 개수에 따라 그 시급성이 비례한다. ㄱ를 여러번 연타하는 것보다 "ㄲㄲㄲ" 으로 나타낼 때도 있다.[* 하지만 진짜 급할 때는 'ㄱ'를 여러 번 쓰지 않고, 다른 말로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예) '빨리'] --[[ㄱ나니|ㄱ나니?]]--[* 사실 이렇게 많이 쓰는 상황은 흔치 않지만, 많이 쓸수록 더 급하다는 마음을 나타낸다.] ||예시) A: 모두 준비되었나요? [* 사실 이쪽도 ㄹㄷ(레디)라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 B: ㄱㄱ C: ㄱㄱ|| ||예시 2) A: 영화보러 갈래?[* 영화 ㄱ? 라고 응용할 수 있다.] B: ㄱㄱ C: ㄱㄱ|| ||예시 3) A: 게임 시작할까요?[* 게임상에서 파생된 언어기에, 물을때 'ㄱ?'라고 하기도 한다.] B: ㄱㄱ C: ㄱㄱ|| [[분류:한글 자모]][[분류:초성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