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1 나카구로([ruby(中, ruby=なか)][ruby(黒, ruby=ぐろ)]) / 나카포쓰([ruby(中, ruby=なか)]ぽつ) / 나카텐([ruby(中, ruby=なか)][ruby(点, ruby=てん)])[* '주텐([ruby(中, ruby=ちゅう)][ruby(点, ruby=てん)])'이라고 음독하면 수학에서 사용하는 중점이다.] / 구로마루([ruby(黒, ruby=くろ)][ruby(丸, ruby=まる)])}}}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기호]]의 일종. == 용법 == 우선, 복수의 단어를 나열, 구분할 때 이용한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야채·과일 코너'는 野菜・果物売り場인데, 야채(野菜)과 과일(果物) 사이에 한국의 [[가운뎃점]](·)과 같은 용도로 사용한다. 한국어 문법에서 이 경우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나, [[,]](쉼표)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에는 기본적으로 [[띄어쓰기]]가 없어 외래어에서 띄어쓰기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더 월드(죠죠의 기묘한 모험)|The World]]를 [[가나(문자)|가나]]로 표기하면 ザ・ワールド인데, 이와 같이 The(ザ)와 World(ワールド) 사이에 띄어쓰기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외국인 인명에서도 성과 이름을 구별할때 쓴다.(ex: [[홍길동|ホン・ギルドン]], [[존 도|ジョン・ドウ]]) 비슷하게 쓰이는 기호로는 더블 하이픈(゠,U+30A0)이 있었다. 다른 언어권에서도 더블 하이픈이 20세기까지만 해도 가끔 쓰였으나, 지금은 일본어, [[콥트어]], [[이누이트어]]를 제외하면 사실상 사문화되었다. (・・・)와 같이 줄임말을 사용할 때도 사용된다. [[나무위키]]에서 자주 사용되는 (...), [[(…)]]도 한국에서는 편의성 때문에 [[온점]](.)을 주로 이용하지만, 일본에서는 나카구로를 사용한다. 한국의 [[온점]]에 해당하는 마침표(。)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니 주의. 하지만 블로그, 유튜브 댓글같이 문법을 별로 지키지 않아도 되는 곳에서 글을 쓸 경우엔 고리점(。)을 쓰기도 한다. 직함과 사람 이름, 내지는 고유 명사의 호칭·특징과 해당 고유 명사를 구분할 때 쓰인다. 일본어 가운뎃점의 이 용법을 잘 모르는 사람이 일본 문장을 그대로 번역해 오면서 나카구로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한국에서도 종종 '학생회장·서 진희', '한국의 관광지·제주도'와 같이 가운뎃점을 그대로 쓰는데, 이는 한국어에서는 이 상황에서 공백을 사용하므로 잘못된 용법이다. 덤으로 한국 한정으로 인터넷에서 나카구로 대신 [[ㆍ|아래아]]를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 [[수]]를 [[한자]]로 쓰거나 [[세로쓰기]]를 할 때 [[소수점]] 대신 쓰이기도 한다. 일본어 키보드에서는 한글이나 영타 자판의 /에 위치한 키를 입력하면 ・가 기본으로 뜬다. 일본어의 나카구로의 유니코드는 U+30FB로, 명칭은 KATAKANA MIDDLE DOT이다. 한국어의 [[ㆍ|아래아]](U+318D, HANGUL LETTER ARAEA)나 나카구로가 한국어에서 쓰였거나 [[가운뎃점]](U+00B7, MIDDLE DOT)이 일본어에서 쓰였다면 즉시 고쳐 주자. 한국어 글쓰기에서 띄어쓰기나 쌍점을 쓸 곳에 일본식 가운뎃점을 쓰거나 [[아래아]]를 같은 용도로 쓰는 웃지 못할 참사가 벌어지기도 한다. '''모양이 비슷하다고 해서 [[닮은꼴 문자|비슷한 글자]]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는 마치 한글 '쓰'를 써야 할 자리에 한자 '丛'(叢(떨기 총)의 간체자)을 '''丛'''는 것과 같고, I(대문자 i)와 l(소문자 L)과 숫자 1을 교환해 쓰는 것과 같고[* 이것은 역사가 깊으며 오래된 [[타자기]]에는 키 수를 줄이기 위해 숫자 1을 없애 이들을 같이 쓰도록 한 것도 많다.], [[라틴 문자]] [[H]](에이치)와 [[그리스 문자]] Η(에타), [[키릴 문자]] Н(엔)을 교체해 쓰는 것과 같다. 겉으로 보기엔 별 차이 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컴퓨터는 전혀 다른 걸로 인식하므로 검색에 있어 매우 불편을 겪을 것이다. 일부 인터넷 사이트([[네이버]])등지에서 가운뎃점 대신 사용하고 있다. 비슷한 예로 [[그리스어]]의 "·(GREEK ANO TELEIA, U+0387)"도 별개 취급을 받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 version=28)]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어/잘못된 표기법, version=389)] [[분류:가나(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