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밴드, rd1=스핏츠)] ||<-3><#A5AED4> {{{#!wiki style="margin:5px" [[스핏츠|{{{#000 {{{-1 '''스핏츠의 정규 앨범'''}}}}}}]]}}} || ||<|2> ||<|2><#A5AED4> {{{#000 {{{-1 '''1집'''}}}[br]{{{+1 ''' ''スピッツ'' '''}}}[br]{{{-1 (1991)}}}}}} || {{{#000,#fff →}}} || || {{{#000,#fff {{{-2 2집}}}}}}[br][[名前をつけてやる |{{{#000,#fff {{{-1 ''' ''名前をつけてやる '' '''}}}}}}]][br]{{{#000,#fff {{{-2 (1991)}}}}}} || ||<-2><#A5AED4> '''{{{#000000 {{{+1 スピッツ}}}}}}'''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pitz_1.jpg|width=100%]]}}}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px]] [[1991년]] [[3월 25일]]|| || '''녹음일''' ||[[1990년]] [[10월 23일]] ~ [[1990년]] [[11월 20일]]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쟁글 팝]] || || '''재생 시간''' ||48:17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스핏츠]][br]타카하시 노부히코|| || '''레이블''' ||폴리도르 || [include(틀:롤링 스톤 재팬 선정 100대 명반,연도=2007,순위=94)] [목차][clearfix] == 개요 == 일본의 록 밴드 [[스핏츠]]의 [[셀프 타이틀 앨범|셀프 타이틀]] 메이저 데뷔 앨범. == 상세 == 스핏츠의 초창기 날것의 펑크 작법을 맛볼 수 있는 앨범으로, 잘 알려진 이미지로 향하는 과도기적인 작품. 상당수의 트랙들이 인디즈 시절부터 작곡된 작품으로 풋풋하던 작법이 보존되어있는 앨범이다. 편곡이 굉장히 심플하고 기타의 울림이 전면에 나와 있다. 또한 [[쿠사노 마사무네]] 특유의 언어 감각에 의한 가사도 상당히 난해한 편이다. '''일본 최초의 [[얼터너티브 록]] 앨범'''으로 평가받는 작품으로서 [* 물론 [[엘리펀트 카시마시]] 같은 선구자들도 있긴 하다.] 발매된 [[1991년]] 동년에 그 유명한 [[Nevermind]]가 발매되었단 점을 보아선 서구권에 결코 뒤쳐지지 않는 선구자적 작품이다. 후대 얼터너티브 거물들인 [[미스터 칠드런]]의 데뷔가 1992년, [[서니 데이 서비스]]는 1995년이란 점을 보았을땐 최초라는 타이틀도 타당한 것. 당초부터 [[라이드]]를 흠모한다고 밝혔던 만큼 태통기의 얼터너티브에 해박했던 스핏츠의 면모를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앨범 커버도 영국 인디 레이블 [[크리에이션 레코드]]의 음반들에 영향을 받고 있다. 앨범 커버에 멤버들의 사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선구자의 한계점은 극복하지는 못한 채 [[오리콘 차트]]에선 100위권 밖을 기록하고 말았다. 싱글들은 아예 차트인조차 달성하지 못한, 스핏츠 명성에 걸맞지 않는 스타트를 보이기도 했다. 스핏츠가 인기를 끈 이후에도 오리콘 차트에 진입하지 못한 비운의 앨범이다. == 트랙 리스트 == ||
{{{#000000 '''트랙'''}}} || {{{#000000 '''곡명'''}}} || {{{#000000 '''작사'''}}} || {{{#000000 '''작곡'''}}} || {{{#000000 '''편곡'''}}} || {{{#000000 '''재생 시간'''}}} || || 1 || ニノウデの世界 ||<|12> [[쿠사노 마사무네]] ||<|4> [[쿠사노 마사무네]] ||<|10> [[스핏츠]] || 4:31 || || 2 || 海とピンク || 3:38 || || 3 || ビー玉 || 4:42 || || 4 || 五千光年の夢 || 2:42 || || 5 || 月に帰る || 미와 테츠야 || 4:25 || || 6 || テレビ ||<|2> 쿠사노 마사무네 || 4:07 || || 7 || タンポポ || 5:09 || || 8 || 死神の岬へ || 미와 테츠야 || 3:43 || || 9 || トンビ飛べなかった ||<|4> 쿠사노 마사무네 || 3:31 || || 10 || 夏の魔物 || 3:11 || || 11 || うめぼし || 시노야 사토루 || 3:36 || || 12 || ヒバリのこころ || 스핏츠 || 4:51 || === ニノウデの世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Eo81YJqGLk)]}}} || 오프닝에 어울리는 신나는 노래이며, 가사는 지극히 산문적이고 난해하다. 생명의 탄생을 상기시키는 듯한 문구가 있어서 그렇게 해석되고 있다. 앨범이 발매 된 후 '夏の魔物'의 커플링 곡으로 싱글컷됐다. === 海とピンク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1CEWxJFwHI)]}}} || === ビー玉 === 데뷔 싱글 'ヒバリのこころ'의 커플링곡이다. === 五千光年の夢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efj1LpKTCo)]}}} || 2분 40초 정도의 짧은 곡으로 통통 튀는 밴드 사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 月に帰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FskkNJS19A)]}}} || 스핏츠의 기타리스트 미와 테츠야가 작곡을 맡은 곡이다. 쿠사노 마사무네의 곡과는 또 다른 애틋함을 지닌 멜로디로 전개되고 있다. === テレビ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aWXh_1i4X8)]}}} || === タンポ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D8eUwCdqHw)]}}} || 아마추어 시절 초기부터 연주한 곡이다. 편곡은 크게 변경하지 않았다고 한다. === 死神の岬へ === 기타리스트 미와 테츠야가 작곡을 맡은 곡이다. === トンビ飛べなかっ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wN3WXslzNk)]}}} || === 夏の魔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BPuSLCQdGw)]}}} || 앨범 발매 이후 싱글컷된 곡이다. 흘러가는 듯한 멜로디가 기분 좋은 노래이며, 기세 좋은 밴드 사운드가 곡을 능수능란하게 끌고 있다. 이 노래의 가사 역시 굉장히 난해하다. === うめぼし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aF33v8iays)]}}} || [[포크 록]] 색깔이 강한 노래다. 편곡은 SING LIKE TALKING의 사토 치쿠젠과의 협업으로 알려진 피아니스트 시노야 사토루가 맡았다. === ヒバリのこころ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Ymu0pLeU_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ARhH5sFERQ)]}}} || 스핏츠의 기념비적인 데뷔 싱글. 인디 시절 미니앨범에도 수록되어 타이틀곡이 됐다. 후렴구의 "우리 앞으로 강하게 살아가자"라고 말하는 가사가 유명하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NHK]] CM송으로 사용됐다. [[분류:스핏츠]][[분류:1991년 데뷔 음반]][[분류:일본의 록 음반]][[분류:셀프 타이틀 앨범]][[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쟁글 팝]][[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