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remywiki.com/Astraia_no_soubei.png|width=400]] ||<:>{{{+3 アストライアの[ruby(双皿,ruby=そうべい)]}}}|| ||<:>{{{-3 {{{#808080 ZODIAC ORACLE 7}}}}}}[br]아스트라이아의 '''쌍접시'''[* 双皿를 아스트라이아와 연관 지어 천칭이라고 읽어야한다는 추측이 많았는데, KAC 2012 공식 방송 3회에서 음독 그대로인 そうべい(소우베이)라고 읽으며 뜻 역시 쌍접시라고 발표했다. 곡명보다는 출시 버전에 초점을 맞춘 듯. 단 IIDX 기체상의 LED나 jukebeat(북미판용 jubeat plus)에서는 아스트라이아의 천칭(Balance of Astraia)으로 표기된다.][br]{{{-3 {{{#808080 아스트라이아의 천칭}}}}}}|| [목차] == 개요 == [include(틀:wac의 별자리 시리즈)]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명의는 ZODIACSYNDICATE. 곡의 모티브는 [[처녀자리]]의 모델인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이아]]와 그녀의 천칭이며, 명의의 ZODIAC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4594&mobile&categoryId=3441|황도십이궁]]을 뜻하며, SYNDICATE는 집합체를 뜻하는 단어이다. 작곡가의 정체에 대해서는 [[TOMOSUKE]] 혹은 [[DJ YOSHITAKA]]의 곡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대체로 곡에서 [[wac]]이 작곡한 [[moon_child]], [[Saturn]]과 비슷한 음색, 그의 별자리 시리즈와 관련된 명의와 [[천칭자리|곡 제목]], 제목에 [[유비트 소서]]의 부제인 접시(皿)가 [[少年リップルズ|들어]][[큰개의 왈츠|간다는]] [[幻想リフレクト|이유]], 결정적으로 유비트 소서 OST 코멘트 등으로 [[wac|그]]의 작곡이 거의 확실해진 상태. 그리고 2012년 12월 15일에 열린 '11월 발매기념 3타이틀 행사'에서 [[wac]]의 단독 작곡이라고 밝혔다. 별자리 시리즈 중 투덱 외의 기종에서 첫 등장한 건 이 곡이 최초. 여담으로 장르명 조디악 오라클 '''7'''에서 '''7'''은 별자리 시리즈의 일곱번째 곡이라는 뜻이 아니라, 천칭자리가 황도 12궁 중 일곱번째임을 나타내는 숫자다.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6||<:>9.5||<:>10.5|| ||<:>노트 수||<:>507||<:>776||<:>988|| ||<:>BPM||<-3><:>173||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2.09.25)}}}|| ||<:>모바일||<-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앨범}}} || ||<:>플러스 모드||<-3><:><#F8F8F8>[[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1.2|{{{#231816 saucer pack 04}}}]]|| * 관련 칭호[*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유비트 소서]] ~ * 右の皿には'''おかず'''(오른쪽 접시엔 반찬) : 모든 보면 클리어 * 左の皿には'''ごはん'''(왼쪽 접시엔 밥)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0기)] [youtube(RnGO2iugUOE)] EXT 채보 영상 [youtube(RsjOOt_67Tk)] EXT EXC 영상 플레이어는 CORBY.QS [[유비트 시리즈]] 아케이드엔 수록되지않은 [[유비트 플러스]] 전용 곡인 '''노트 수 1000개'''의 [[ねこバス]]를 제외하고 '''노트 수 967개'''로 최다 노트 수를 보유했던 [[AIR RAID FROM THA UNDAGROUND]]를 제치고 '''노트 수 988개'''로 2012년 9월 기준으로 아케이드 [[유비트 시리즈]]에서 제일 많은 노트 수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2012년 10월 26일 공개된 '''노트 수 1000개의''' [[Beastie Starter]]에게 1개월만에(...) 최다 노트 수를 빼앗겼다. 이후 [[FLOOR INFECTION]]이벤트로 추가된 신곡 [[croiX]]로 인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익스트림 채보는 10레벨 상급을 마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상하배치가 군데군데 섞여있고 폭타가 끊임없이 쏟아지며 풀콤보와 엑설런트를 방해하는 24비트, 32비트 긁기와 24비트 트릴 등이 존재한다. 그리고 최후반에 배치가 까다로워 점수를 갉아 먹어주는 '''[[후살]]'''이 좀 있는데, 문제는 끝날 무렵 나오는 부분에서 16비트 조금에 8비트 체계로 갑자기 나온다는 것. 어드밴스드 패턴도 만만하지 않다. 대부분의 9레벨 어드들이 레벨값을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곡은 9레벨에서도 중간은 가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ADV의 엑설런트 달성자 수는 [[유비트 클랜]] 가동 종료 시점 기준으로 91명밖에 안 된다. === 아티스트 코멘트 === ||안녕! ZODIACSYNDICATE입니다. 말 그대로, 아스트라이아라고 하는 신 누님께서 가지고 계신 두 접시, 즉 인간계의 선과 악을 가려내는 천칭이 이 곡의 테마. 저는 무엇이든 귀찮아하는 편이라서 별로 판을 흔든다거나 하지는 않습니다만 이번에는 드물게도 중반에 확 좌우로 소리를 흔드는 부분을 만들어서 아스트라이아의 천칭이 선과 악으로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을 이미지해봤습니다. 보면도 좌우로 이리저리 흔들리게 만들어주셨습니다만 알아봤을라나~ 오락실에선 이리저리 흔들리는 것처럼 들리지 않을지도 모르니 이 사운드 트랙으로 마음껏 이리저리 흔들려주세요. ※ZODIACSYNDICATE란 전혀 새로운 곡이 만들어지는 기색이 없다거나 애초에 별자리곡이라는 시리즈조차 완전히 잊어버린 그런 요즘. 남아버린 별자리인 『양자리』『황소자리』『천칭자리』『사수자리』『염소자리』『물고기자리』가 「슬슬 마감에 들어가지 않으면 우리들의 곡 다 안 만드는 거 아냐?」 라는 위구심으로부터 허둥대며 만든 비밀결사. 이번 「은하전쟁(갤럭시안 워즈)」에서 승리한 『천칭자리』가 곡을 만들게 하는 것에 성공했지만 * 악곡방향성적으로 어려운 별자리가 남은 것 * 기종의 테마와 타협하는 방법 * 안의 사람의 악곡 생산력 등의 많은 문제가 드러나고 방향성의 차이도 있어 이 한 곡으로 해산했다.[* 그런데 이 이후로 [[ストレイ・マーチ|양자리]]와 [[牧神笛吹きて|염소자리]] 곡이 등장한 것을 보면 결국 재결성한 모양(...).] - ZODIACSYNDICATE, [[유비트 소서]] OST 코멘트|| == [[팝픈뮤직]] == [youtube(jEekfzVPdns)] |||||| [[파일:external/remywiki.com/SP_ZODIAC_ORACLE_7.png]] ||<#FFFFD2> [[BPM]] || 173 || ||<#FFFFD2>곡명|||||||| '''アストライアの双皿'''[br]'''아스트라이아의 쌍접시''' || |||||||||| 善か悪か。女神の天秤が傾くとき人々に審判が下される。 선인가 악인가. 여신의 천칭이 기울때 사람들에게 심판이 내려지리라. || ||<#FFFFD2>아티스트 명의|||||||| ZODIACSYNDICATE [br] 조디악 신디케이트 || ||<#FFFFD2>장르명|||| ZODIAC ORACLE 7 |||| 조디악 오라클 7 || ||<#FFFFD2>담당 캐릭터|||| photon |||| 포톤 |||| ||<#FFFFD2>수록된 버전|||||||| [[팝픈뮤직 Sunny Park|Pop'n music Sunny Park]] || ||<#FFFFD2>[[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50단계|| {{{#blue 13(8버튼)}}} || {{{#green 29}}} || {{{#orange 42}}} || {{{#red 49}}} || ||<#FFFFD2>노트 수|| {{{#blue 219}}} || {{{#green 436}}} || {{{#orange 1005}}} || {{{#red 1515}}}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팝픈뮤직 Sunny Park]]와 [[유비트 소서]]의 콜라보레이션으로 [[I'm so Happy]]와 함께 팝픈뮤직에 통상해금곡으로 이식수록되었다. [[유비트 소서]]의 [[bistro saucer]] 시즌1 최종보스곡답게 팝픈뮤직에서도 상당한 고난이도로 등장했다. 곡이 진행될수록 난이도가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이며, 1분 33초부터 나오는 복합연타 + 3중계단지대가 지나고 나서가 본편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뒷쪽에 난이도가 몰려있는 느낌이 강하다. 전체적으로 한손 처리력, 계단, 그리고 연타가 난이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준 역시 만만치 않다. 노트수 역시 1515로 체력곡으로도 충분히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최후반은 중반에 나오는 복합연타지대보다 연타가 복잡하게 나와 게이지를 유지하기 힘들게 한다. [* 중반이나 후반 발광의 채보 자체만 따지고 보면 유사한 채보인 [[生命の焔纏いて|임볼크]] EX보다도 난해한 편인데, 그나마 이 쪽은 짠 게이지가 아니다.] 유저들의 시선은 대부분 같은 시리즈에 나온 [[창세노트]]와 [[우사네코]]에서 혜성같이 등장한 [[XROSS INFECTION]]과 함께 48레벨 중에서도 보스급 난이도로 평가하는 중이다. 다만 연타곡 특유의 개인차로 인해 48 공략 초기에 클리어했다는 유저도 종종 보인다. 2017년 12월 19일 업데이트로 49로 상향. '''랜덤''' 역시 동시치기가 어지럽게 꼬이는 경우가 많은데, 어지간한 슈랜 채보보다도 뒷부분이 꼬이기 쉽다. 게다가 최후반 노트밀도 역시 상당히 높은 편. '''슈퍼랜덤'''의 경우에는 '''레벨 15'''로[* 50의 토이무라 랜덤을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과 비슷한 정도로 알려져 있다.] 가뜩이나 정배치에서도 난해했던 연타가 더욱 복잡하게 꼬인 복합연타가 수시로 나타나는데 BPM 173의 16분박이 주를 이뤄 연타의 속도 역시 굉장히 빠른 편. 채보의 노트밀도가 높아 체력 소모 역시 심하다. 하이퍼 역시 첫 등장 당시에는 41 답지않은 대칭 발광패턴에 난해한 리듬의 [[계단]], 24비트 [[트릴]] 등으로 인해 [[사기 난이도]] 소리를 들었다. 당연히 후속작인 [[팝픈뮤직 라피스토리아]]에서는 42로 올라갔다. == [[beatmania IIDX]] == ||<#ff8f8f><:> '''[[Café de Tran]]''' || || [[Beastie Starter]] || || ▲ || || '''アストライアの双皿''' || || ▼ || || [[†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IIDX EDIT) || || 장르명 |||||| ZODIAC ORACLE 7[BR]조디악 오라클 7 || [[BPM]] |||| 173 || || 전광판 표기 ||||||||||||||<#454545> '''{{{#FF5A00 BALANCE OF ASTRAIA}}}''' || ||||||||||||||||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 || |||| {{{#blue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4}}} || {{{#blue 345}}} [include(틀:CN)] || {{{#orange 9}}} || {{{#orange 1110}}} [include(틀:CN)] || {{{#red 12}}} || {{{#red 1632}}}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 5}}} || {{{#blue 505}}} [include(틀:CN)] || {{{#orange 9}}} || {{{#orange 1105}}} [include(틀:CN)] || {{{#red 12}}} || {{{#red 1514}}}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0 tricoro|20 tricoro]]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3) * [[단위인정]] 수록 * 더블 하이퍼 : 7단 (29 CastHour) BGA는 [[A(BEMANI 시리즈)|A]],[[革命]]등에서 사용되었던 7th 트랜스계 [[범용 BGA]]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B)]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B)] [youtube(t_tfZlyhmXQ)] SPA 영상 싱글 어나더 채보는 wac이 작곡가 코멘트에서 언급한 소위 '좌우로 흔들리는' 구간부터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16비트 연타 세례를 기점으로 노트의 밀도가 급상승하며 스크래치 견제 또한 더욱 거세지는 양상. 또한 최후반에도 팝픈뮤직의 EX 채보와 비슷한 연타 발광을 뿌려대는데 노말 게이지나 하드 게이지나 여기가 가장 큰 고비. 다만 전반부에서 차지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에 롱잡 패턴에 약하다면 이 부분 또한 주의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12 중상급 수준의 난이도를 보인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I6v7XS0vLyA)] DPA 영상 더블 어나더는 [[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더블 레벨 12)|비공식 난이도]] 기준 12.3. 양 스크래치를 적극 활용하는 패턴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구간이 싱글에서는 연타지대인 것과 달리 '''쌍접시''' 패턴으로 되어있다. 이전에 나왔던 [[Plan 8]]이나 [[BLACK.by X-Cross Fade]]에서 선보인 양쪽에서 다른 리듬으로 동시에 떨어지는 쌍스크보다는 양심적인 패턴이긴 하다만 같이 떨어지는 인접노트가 걸림돌. 이외에도 연타와 맞물린 빡빡한 도약, 착지 능력을 요구한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3><:>'''[[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E166C6 파스텔군}}}{{{#534C42 과}}} {{{#64B0D2 스미스씨}}}{{{#534C42 의}}} {{{#C583A4 R}}}{{{#A8BF54 U}}}{{{#5D8751 N}}}{{{#608CB9 R}}}{{{#DFB949 U}}}{{{#CD8735 N}}} {{{#534C42 마라톤}}}{{{#E166C6 !}}}]] 제3회 대회[br]「DJ TOTTO대회」''' || ||<#F8F8F8> [[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BR][[파스텔군|{{{#000 파스텔군}}}]] || 바퀴 ||<#f3b9f0> [[리플렉 비트 콜레트|{{{#000 '''리플렉 비트 콜레트'''}}}]][BR][[스미스씨|{{{#000 스미스씨}}}]] || ||<-3> [[DJ TOTTO]] || ||<#F8F8F8> [[Windy Fairy]] [BR][[DJ TOTTO]] || 15 ||<#f3b9f0> [[Arousing]][BR][[DJ TOTTO]] feat.[[요시카와 스나오|吉河順央]] || ||<-3>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F8F8F8> [[DRAGON KILLER]][BR][[쿠로사와 다이스케|96]] vs [[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30 ||<#f3b9f0> [[Mirage]][BR][[이즈미 무츠히코|Mutsuhiko Izumi]] || ||<-3> [[wac]] || ||<#F8F8F8> [[ストレイ・マーチ]][BR] [[wac|少年ゾディアック]] || 35 ||<#f3b9f0> [[アストライアの双皿]][BR][[wac|ZODIACSYNDICATE]] || ||<-3><:>양쪽 모두 60바퀴를 돌았을 경우 아래 곡 해금|| ||<-3>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b9f0, #FFFFFF, #f8f8f8); margin: -5px -10px; padding: 5px" [[chaplet]][BR][[DJ TOTTO]]}}} ||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173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6}}} || {{{#orange 10}}} || {{{#red 14}}} || || 스킬 레이트 || {{{#green 23}}} || {{{#orange 45}}} || {{{#red 75}}} || || 오브젝트 || {{{#green 161}}} || {{{#orange 380}}} || {{{#red 754}}} || || MAX COMBO || {{{#green 220}}} || {{{#orange 489}}} || {{{#red 960}}} || || JUST REFLEC || {{{#green 7}}} || {{{#orange 14}}} || {{{#red 21}}} || || 수록버전 ||||||||<#ff1493> [[리플렉 비트 콜레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파스텔군과 스미스씨의 RUNRUN 마라톤!|RUNRUNマラソン!]] PACK 3 || [youtube(iUKBRuFIFuQ)] 하드 난이도 영상 RUNRUN 마라톤 3차 대상곡으로 지정되어 2013년 6월 12일에 이식되었다. HARD 난이도는 곡 전체에 분포되어있는 엇박과 2연타, 탑-일반노트 상하배치까지 담은 종합보면. 전체적으로 한손 트릴이나 2연타 처리력이 요구된다. 클리어와 풀 콤보와 별개로 회수 난이도가 난감한데, 최후반 따닥이 사이에 황금노트가 섞여있어서 저스트를 온전히 날리기 힘들다. [[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Sunny Park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0 tricoro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