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Re:miniscence》.jpg|width=500]] [목차] == 개요 ==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그레이스의 도전장)]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및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의 수록곡, 작곡은 [[かねこちはる]]이다. かねこちはる가 리듬 게임에 곡을 제공한 것은 같은해 2월 24일 [[Un Sospiro]]를 제공한 이후 처음이다. 또한 곡의 난이도가 20레벨로 최종 확정됨으로써 かねこちはる는 사운드 볼텍스에서 가장 많은 20레벨 수록곡을 가진 작곡가가 되었다. 제목에 [[겹화살괄호|겹화살괄호(《》)]]와 [[쌍점|쌍점(:)]]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Lachryma《Re:Queen’M》]]이나 [[FLügeL《Λrp:ΣggyØ》]]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곡 제목인 [[Reminiscence|reminiscence]]는 '''회상, 추억'''이라는 뜻이다. 작곡가가 [[https://twitter.com/Chiharu_v9/status/1445291189188456453|곡에 대해 남긴 트윗]]은 [[https://twitter.com/SOUNDVOLTEX573/status/1445219454644731905|사운드 볼텍스 공식 계정이 올린 트윗]]을 복사 붙여넣기 한 것이 전부이다. 많은 사람들이 [[veRtrageS]]의 후속곡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かねこちはる의 곡이 등장한 이유로는 Riz와 Shiron이 리듬 게임에서 최근 몇 년간 잘 활동하고 있지 않은 것, かねこちはる가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KAC 콘테스트의 최우수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는 것 등이 거론되었다. 실제로 구 사천왕·신 사천왕 곡을 담당한 [[BlackY]], [[かめりあ]], [[cosMo@暴走P]], [[ぺのれり]]의 경우 [[KAC 2012]], [[KAC 2013]], [[The 4th KAC]]의 오리지널 곡 콘테스트에 제공한 곡이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결승 라운드에서 사용된 바 있으나, Riz와 Shiron이 제공했던 veRtrageS의 경우 KAC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사운드 볼텍스 III 제작 기념 콘테스트의 당선곡이었다. 사운드 볼텍스의 20레벨 곡은 대부분 KAC 본선 내지 KAC와 관련된 후속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곡임을 감안하면, 이번 곡은 '그레이스의 도전장'이라는 업데이트 컨셉에 맞춰 [[The 5th KAC]]의 [[Lachryma《Re:Queen’M》|최우수 곡]]을 담당한 かねこちはる에게 맡긴 것으로 보인다. 곡 자켓을 보면, 신 4천왕 곡들의 자켓을 부분적으로 차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뒤쪽에 뜬금없이 [[エクシード仮面ちゃんのちょっと一線をえくしーどしたEXCEED講座|익시드 가면 쨩과 레이시스]]까지 껴있는 것이 개그 포인트. 20레벨 악곡 최초의 '''기간 한정''' 해금곡이다.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사운드 볼텍스/20레벨)]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reminiscencenov.jpg|width=150]] || [[파일:reminiscenceadv.jpg|width=150]] || [[파일:reminiscenceexh.jpg|width=150]] || [[파일:reminiscencemxm.jpg|width=150]] || || 레벨 || 08 || 15 || 18 || '''20''' || || 체인 수 || 1080 || 1489 || 2072 || 2706 || || 일러스트 담당 ||<-4> スティンガー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Megacycle|Megacyclops]] || || 수록 시기 ||<-4> 그레이스의 도전장(2021/10/07) || || [[BPM]] ||<-4> 125 - 166 || ||<-3> TRACK INPUT (VI) || || 난이도 || 조건 || || {{{#purple,#c6f NOVICE}}} ||<|4>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INFINITE 코스에서 본 곡을 플레이 (2021.10.07~2021.10.31)[br][[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코나스테]]에서 본 곡을 플레이 (2022.05.02~2022.05.31)(2023.6.15~2023.7.14) || || {{{#orange,#dd0 ADVANCED}}} || || {{{#red EXHAUST}}} || || {{{#696969,#a9a9a9 MAXIMUM}}} || 코나스테 오리지널 곡 최초의 20레벨이자, [[Megacycle]]이 짠 최초의 20레벨이기도 하다. 19레벨로 [[Deadly force]]를 제작한 것 외에는 고레벨 채보를 제작한 적이 없기 때문에 20레벨을 제작하게 된 것이 의외라는 반응이다. 그러나 해당 이펙터가 사운드 볼텍스의 역사와 함께한 최고참 이펙터다 보니 20레벨 이펙터로 참전하는 것이 마냥 이상한 이야기는 아니다. 곡의 경우 현재까지의 20레벨 중에서 메인 BPM이 가장 낮다.[* 변속으로 인한 최소 BPM을 기준으로 하면 [[* Erm, could it be a Spatiotemporal ShockWAVE Syndrome...?|쇼크웨이브]]가 가장 느린 곡이 된다.] === 채보 상세 === [youtube(siJjkJnx6m8, width=405, height=720)] MXM 채보 손배치 포함 '''PUC'''[* MAX-82] 영상 전체적인 패턴 성향은 이펙터의 이전 성향과 크게 다르지 않은, 폭타 등의 건반 처리력, 노브 처리력, 원핸드, 손 이동, 노브 낚시 등을 대부분 동반하는 밸런스가 잘 잡힌 패턴이다. 노브 발광 구간은 작곡가의 이전 20레벨 곡들인 [[Lachryma《Re:Queen’M》]][* 모래시계 모양의 발광이다.]과 [[WHITEOUT]][* <7처럼 생긴 발광이다. [[FLügeL《Λrp:ΣggyØ》]]에서도 나온 구간이므로 거기서 연습하면 좋다.] 의 특징적인 노브 구간들을 합쳐서 그대로 가져왔고, 후반에는 [[FLügeL《Λrp:ΣggyØ》]]의 삼각형 노브를 짧게 끊어놓은 듯한 구간도 등장한다. 메인 BPM은 높지 않지만 24비트 칩노트 폭타 구간이 많아 체감 템포는 결코 느리지 않으며, FX 칩노트나 숏노브가 중간중간 자주 끼어들기 때문에 판정을 내지 못한다면 스코어링 난이도가 급격히 어려워진다. 주로 난점으로는 노브가 섞여 빠른 손 이동을 요구하는 초중반의 24비트 세례, 위 영상 1:35부터 나오는 [[Lachryma《Re:Queen’M》|롱잡 트릴]]과 이어지는 FX 복합 폭타, 만만치 않은 밀도의 후살 등이 꼽힌다. 또 초반과 최후반에 한 번씩 손배치 낚시 구간이 있으니 미리 숙지해둘 필요가 있다. 맨 마지막에는 곡이 끝나는 듯하다가 순간적으로 32비트 폭타가 반 마디 나온다. 이 구간은 정공법으로 처리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2노트씩 묶어 겹폭타처럼 처리하는 것이 추천된다. 타이밍만 잘 맞으면 전부 크리티컬이 뜬다. [[https://twitter.com/Jakads/status/1445997078723719168|노브 발광 및 마지막 32비트 폭타 공략]] 최초 PUC는 곡 수록 약 7시간 만에 [[Jakads]]가 달성하였다. [[https://twitter.com/Jakads/status/1446024397928615941?s=20|#]] 역대 20레벨 곡들 중 5번째로 빠른 PUC 기록이다. [youtube(iJH36g6CJdY, width=405, height=720)] EXH 채보 손배치 포함 '''PUC''' 영상 EXH 패턴 역시 18레벨치고 만만치 않다. 24비트 고속계단이 처음부터 끝까지 엄청난 물량으로 몰아치는데다 FX도 종종 섞여 판정을 망가뜨리기 쉽기 때문에 클리어와 스코어링 난이도 모두 18레벨 상위권을 점하는 채보. [[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코나스테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