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 == 개요 == [[상장#s-4]]에 쓰이는 검은 [[리본]]을 형상화한 [[이모티콘]]. == 특징 == 주로 안타까운 일이 일어났을 때 [[네티즌]]들이 조의를 표하기 위해 글 제목이나 아이디에 붙여 쓴다. 언제부터 쓰였는진 불확실하나, 2002년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이후 대중화되기 시작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이 현상을 두고 "근조리본달기 운동"으로 해석하는 이들도 있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96020|#]]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가 발생하면서 근조리본은 더 급속도로 퍼졌다. 2004년, 메신저([[Windows Live Messenger|MSN 메신저]])의 대화명에 사용된 예시[[https://www.joongang.co.kr/article/309263|#]]. 재난/참사 외에도 "○○○는 죽었다." 급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에도, 항의의 표시로 근조 이모티콘이 표현된다. 해당 기사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의 탄핵소추 의결 직후 모습을 다룬다. 검은 리본이 아닌 하얀 리본을 쓰기도 한다. 리본 이모티콘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키보드]]의 미음(ㅁ) 버튼 → [[키보드]]의 '한자' 버튼 → 스크롤 이동(네 번째 항목의 2번 아이콘)[* 컴퓨터 입력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찾기 귀찮다면 오른쪽 하단의 ">>" 버튼을 눌러 손쉽게 찾을 수 있다.] *◀=[[키보드]]의 미음(ㅁ) 버튼 → [[키보드]]의 '한자' 버튼 → 스크롤 이동(세 번째 항목의 9번 아이콘) 링크는 [[파란색]]으로 처리되는 [[나무위키]] 특성상 이 문서를 대괄호 링크로 쓰면 파란 리본이 된다.[* 다크모드는 [[주황색]]] 또한 안드로이드 4.4 이상에선 ▶에 해당하는 [[이모지]]와 ◀에 해당하는 [[이모지]]로 대체되어 표현되면서 의도와는 다른 모양이 된다. 간혹 ▶◀를 대신해서 ▦나 ▩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삼베]]로 만든 [[상복#s-1]]이나 장례식 때 팔에 차는 완장을 나타낸 것이다. 철도 표지판에서 ▶◀는 '속도 제한 해제' 란 의미로 쓰인다. [[Bve trainsim]]을 통해 익숙해진 [[철도 동호인]]이 많다. 2015년 이전 [[한국일보]] 구 로고 모양과도 비슷한데, 그쪽은 초록색이다. == 관련 문서 == * [[상장#s-4]](喪章) * [[검은 리본]] * [[노란 리본]] * [[Hold ⓧ to Pay Respects]](X를 눌러 조의를 표하시오) * [[R.I.P.]] [[분류:인터넷 문화]][[분류:이모티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