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Е е}}}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6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예스트(єстъ). 대부분의 언어에서 /e/ 혹은 /ɛ/ 발음을 나타낸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엡실론]]([[Ε]]/ε). == 상세 ==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기본적으로 /je/ 발음이며, т, д, н, с, з 뒤에 오면 [[구개음화]]가 작용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강세가 안 들어가면 /i/ 비슷하게 읽는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는 /je/ 발음을 ѥ로 나타냈는데, 후에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및 [[우크라이나어]]를 포함하는 동슬라브어권에서 ѥ라는 글자가 원래 /e/ 혹은 /ɛ/ 발음을 나타내던 е와 혼동되다가 사라지고, 아래에 나올 е의 여러가지 형태인 є나 э하고도 섞이게 되어 е, є, э 세 가지가 /je/나 /e~ɛ/를 뒤죽박죽 나타내게 되었다. 나중에 근대적인 철자법이 들어오면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는 세 형태 중 е, э를 각각 /je/와 /e/에, 우크라이나어에서는 є, е를 각각 /je/와 /e/로 고정하게 된다. [[불가리아어]]나 [[마케도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등 남슬라브어권에서는 동슬라브어권과는 달리 안정적으로 /ɛ/나 /e/로 자리잡았다. 따라서 є나 э 같은 문자는 남슬라브어권에서 쓰이지 않는다. 이 지역에서 /je/ 발음을 나타낼 때는 й를 써서 йе(불가리아어)로 쓰거나 라틴 문자에서 따온 ј를 써서 је(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로 쓴다. 러시아어의 경우 [[로마자]] 전사 표기가 '''E'''이기 때문에 표기법에서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옐리자베타]]를 '''엘리자베타'''로 표기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Е와 Э의 구분이 확립된 것이 [[19세기]]인데 로마자 표기는 그 이전 뒤죽박죽으로 섞어쓰던 표기를 따른 것이 때문이다. 구분을 위해 현대에는 '''ye'''나 '''je'''로 전사하기도 한다. 그리고 러시아어에서는 외래어의 е를 э처럼 읽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테니스|теннис]]와 [[인터넷|интернет]]. 이 경우 е 앞의 т는 구개음화되지 않고 일반적인 경자음으로 발음된다. == Ё 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Ё)]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키릴 문자. 러시아어 시민 문자(Гражданский шрифт)의 영향을 받은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몽골어]], [[타지크어]], [[추바시어]], [[우드무르트어]]에서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ㅛ]]'로 옮긴다. 러시아어에서의 발음은 /jɵ/이며, Е와는 이질적인 모음이지만, 러시아어에서 Ё 발음은 Е에서 강세를 주는 것에서 생겨났기 때문에 비슷한 문자로 표기한다. 이런 역사적 이유로 러시아어 Ё에는 항상 강세가 들어가 있다. 한 단어에는 강세가 하나씩 들어가므로 일부 [[고유명사]]나 [[외래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에 하나씩 나오는 게 보통이다.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일반적으로 jo나 yo로 옮기지만, 러시아어에서 [jo] 발음을 옮겨적을 때는 대개 Ё 대신에 Йо, ио, ьо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다만 [[한국어]]나 [[일본어]]에서 자음을 수반하는 ㅕ, ㅛ 발음을 옮길 때는 ё를 쓰기도 한다. 오히려 라틴 문자권에서 Ø, Ö, Œ, Oe로 표기되는 /ø/, /œ/ 음소를 러시아어로 옮길 때 О, Э와 함께 Ё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Этвёш(Eötvös, 외트뵈시)가 있다. 실제 러시아어 모어 화자들은 이 글자를 많이 쓰지 않으며, 비슷한 글자인 'E'나 'e'라고 표기하는 방식으로 퉁친다. 당장 스마트폰의 경우도 E를 길게 눌러야 하며, 많은 키보드의 경우 이 글자를 '~' 위치에 할당해 두었다. 그리고 러시아어 모어 화자라면 대부분의 경우 저 위의 두 점 없어도 문맥으로 Е인지 Ё인지 구분할 수 있다. == Є є == 우크라이나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발음은 /je/ 혹은 /jɛ/. == Э э == 슬라브어권에서는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러시아어로는 에 오보로트노예(э оборо́тное)[* 한국어로 번역하면 뒤집어진 Е]라고 한다. /e/ 발음을 나타낸다. 다만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러시아어#s-4.5|러시아어 표기법]]에서는 '예'로 표기한다. 러시아어 고유어에서는 этот(이것)와 그 파생어만 이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가 형태적으로 э(감탄사)+тот(저것)의 합성어라서 그렇다. 반면에 벨라루스어에서는 э가 고유어 계통에도 꽤 쓰인다. 러시아어에서 키릴 문자를 차용한 대부분의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언어들은 /e/를 표기할 때 보통 е를 쓰고 /je/와 혼동되는 경우에만 э를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몽골어]]와 [[부랴트어]], [[사하어]], [[어웡키어]]처럼 э를 주로 쓰는 언어들이 몇몇 존재한다. [[체르케스인]]들이 사용하는 [[아디게어]]나 [[카바르다어]]는 문법적으로 모음이 /ə/와 /a/, /aː/의 세 가지밖에 없는데, 이들 언어에서는 а는 장음 a를 나타내는 데 쓰이고 э는 단음 a를 나타낸다. == Ӗ ӗ == [[추바시어]]에서 사용하는 문자이다. 발음은 /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5)]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