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틴 문자)] [include(틀:폴란드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Ł/ł은 일부 언어에서 쓰이는 자모이다. == 사용 == === [[폴란드어]] ===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케이스는 [[폴란드어]]의 Ł로, /w/ 발음을 나타낸다. /l/ 발음과는 관련이 없지만 폴란드어의 /w/ 발음은 연구개음화된 L 발음인 /ɫ/에서 발전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은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브라질]] [[포르투갈어]]로는 자음, 단어 끝의(뒤에 모음이 붙지 않는) L을 진짜로 w라고 발음한다. 예: [[호나우두|Ronaldo]] (호나우두). 폴란드어나 브라질 포르투갈어보다는 다소 약하지만 [[영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milk가 "[[밀크]]"가 아닌 "미우크"처럼 들리고, ill이 "일"보다는 "이을"처럼 들리는 것] L로 표기하고 사선을 그어 구분한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L]]로 오인되어 폴란드어 단어를 잘못 발음하게 되는 주 원인. 한국에서도 잘못 부르는 것은 물론이고, Ł 없이 로마자를 사용하는 다른 국가에서 대충 L을 적어 맘대로 발음하는 경우도 많다. 폴란드 화폐인 [[즈워티]]는 즐로티라고 막 불리는 경우가 많고[* '''폴란드계''' 유대인 영화 감독 [[로만 폴란스키]]가 제작한 영화 [[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영화)|피아니스트]]에서도 등장인물들이 "즐로티"라고 막 부른다.] 주요 도시의 하나인 [[우치(폴란드)|우치]]는 [[로드즈]]로 막 불리는 경우가 잦으며 폴란드 맥주인 웜자는 대한민국에 롬자라는 이름으로 수입되면서 막 불리고 있다. 폴란드의 전 서기장 [[고무우카]]는 '''고물카'''로 표기되기도 했다. 폴란드 여성 인명으로 자주 쓰이는 마우고자타Małgorzata도 말고자타라 잘못 번역되는 경우가 일쑤다. 소문자는 ㄲ → 한자 → 넘패드3 → 또 넘패드3 → 2로 입력 가능하다. 또 대문자는 ㄲ → 한자 → 6으로 입력 가능하다. === 기타 === 그 외에는 [[벨라루스어]](라친카), [[우크라이나어]] 로마자 표기(라친카)에서 쓰이며 역시 /ɫ/이라는 발음을 나타낸다. [[이탈리아]]에서 쓰이는 언어인 [[베네토어]]에서도 /l/ 발음이 변해 나타난 /ɰ/, /ɛ/ 발음에 대해 이걸 써서 나타낸다. [[라이트코인]]의 기호로 사용된다. [[라이트코인]] 참고. [[분류:로마자]][[분류:폴란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