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틴 문자)] ||<-3> '''{{{+3 Ð}}}''' || '''대문자''' || '''소문자''' || ||<|4><#ddd,#333> 이름 || 아이슬란드어 || 에드 (Eð)[* th는 보통 [θ\] 발음이나 이 글자는 [ð\] 발음으로 생각한 뒤 외래어 표기법에 따랐다.] || Ð || ð || || 세르보크로아트어 || 제 (Đe) ||<|2> Đ ||<|2> đ || || 베트남어 || 데 (Đê) || || 일부 아프리카 언어 || 데 (Ɖe) || Ɖ || ɖ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니코드]]에서는 세 종류의 대문자와 소문자가 각각 다른 코드로 할당되어 있다. Ð/ð는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국제음성기호]] 등에서 쓰이며 [[고대 영어]][* 사실 [[þ]]과 동일한 음가를 가진 문자로 취급되어 바꿔 써도 되며 현대에는 유물에 어떻게 쓰여있든 간에 þ로 통일해서 쓰는 편이다.]에서도 쓰였다. Đ/đ는 [[베트남어]]에서는 치경 내파음을 나타낸다.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한국어의 어중 '[[ㅈ]]' 발음)을 나타내며, 대용 표기로 Dj를 쓸 수 있다. Ɖ/ɖ는 아프리카의 몇몇 언어의 권설 파열음을 표기할 때 쓴다. [[국제음성기호]] [ð]는 [[치음#마찰|유성 치 마찰음]]을 나타낸다. [[영어]]의 정관사 the에서 이 발음이 난다. 혀를 치열 사이에 끼우고 성대를 떨며 발음하면 된다. 한국어 IME에서 대문자는 [[ㄲ]] → [[한자 키|한자]] → [[2]]로, 소문자는 ㄲ → 한자 → PageDown → [[5]]으로 입력 가능하다. [[도지코인]]의 기호로도 쓰인다. [[분류:로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