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재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운행하고 있는 동일 번호 노선, rd1=서울 버스 150)] [include(틀:폐선)] || [[파일:(구)서울버스 150.jpg|width=100%]] || [[파일:(구)서울버스 150 2.jpg|width=100%]] || || 적색 노선. || 청색 노선.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도시형버스 150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동(북가좌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가산동차고지) || ||<|2> 종점행 || 첫차 || ?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 || 막차 || ? || ||<-2> 평일배차 || ?분 ||<-2> 주말배차 || ?분 || ||<-2> 운수사명 || [[신인운수]] ||<-2> 인가대수 || 71대 || ||<-2> 노선 ||<-4> 북가좌동차고지 - 응암오거리(적색)/정신병원(청색) - [[녹번역]] - [[독립문역]] - (→ [[서대문역]] → 서울역사박물관 →/← 사직터널 ← [[경복궁역]] ←) - [[광화문역]] - [[서울특별시청]] - [[서울역]] - [[신용산역]] - 상도동 - [[숭실대학교]] - [[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신림역]] - [[남부순환로]] -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 - 가산동차고지 || == 개요 == [[신인운수]]에서 운행했던 노선. [[http://gall.dcinside.com/list.php?id=bus&no=115574|노선도]] == 역사 == [[2004년]] 7월 1일에 버스 개편과 함께 잘게 쪼개졌다. 북가좌동 - 서울역 구간은 [[서울 버스 7019]]로, 서울역 - 신림역 구간은 [[서울 버스 506]]으로[* 그러나 [[서울 버스 506]]은 확실히 '''151번의 후신'''이라는 역사가 있기 때문에, 이 버스가 있던 시절 관악구 봉천동 등지에서 도심으로만 이 버스를 타고 다니던 사람들은 오히려 [[서울 버스 501]]을 이 버스의 후신으로 본다. 물론 공식적으로 501번은 신설노선이다. 사실 엄밀히 따지면 [[서울 버스 506]]의 전신인 (구)151번도 신인운수의 옛 좌석 150번에서 시작한 노선이기 때문에 이 버스와 아주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신림역 - 가산동 구간은 [[서울 버스 5528]] 등으로 나뉜 것. [[서울 버스 7719]]는 적색 노선에 해당한다. == 특징 == 가산동 - 북가좌동을 운행했던 노선이었으며,[* 197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가산동-봉천동 구간이 없었다.] 대표적인 적청 분리 노선으로, 청색은 종점 - 대림시장 - 시립은평병원 - 녹번역 구간을, 적색 노선은 종점 - 대림시장 - 응암오거리 - 서부병원 - 녹번역 구간으로 다녔다. [[파일:external/oi45.tinypic.com/oazt5d.jpg]] 대강 이런 느낌이었다. 이대로 계속 평행해서 가다가 적색 노선이 서부병원 인근에서 동쪽으로 진행하여 청색 노선과 합류, 녹번역을 거쳐 도심으로 진행했다. 각 구간별로 수요가 대단했다. 서울의 서북지역에서 출발해 서울 중간을 찍고 서울 남서로 가는 노선인지라 장거리 수요는 전철에 밀렸지만 구간별로 끊어서 보면 사람이 많이 타는 구간이 중간마다 있던 것이 특징. 주 수요처는 다음과 같았다. * 가리봉역 - 구로1동 * 구로1동부터 신림역을 지나 봉천역까지 이어지는 남부순환로 노선(현 651번과 겹치는 부분이기도 하다.) * 봉천역을 지나 꺾어서 숭실대 - 상도터널을 지나 신용산역 * 신용산역에서 4호선 라인([[신용산역]] - [[삼각지역|삼각지]] - [[숙대입구역|숙대입구]] - 서울역)을 지나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 북가좌동에서 녹번역까지의 구간. 이 구간은 150번과 구 830번을 제외하면 버스 노선이 없다시피 한 동네라 매일 첨두시마다 꽉꽉 들어찼다.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가리봉역, 서울역, [[시청역(서울)|시청역]]),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신림역, 봉천역, 시청역),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숭실대입구역]]),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신용산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광화문역|광화문]]),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경복궁역]], [[독립문역]], [[녹번역]]) 등 주요 인기역을 모두 쑤시고 다녀서 개편 전에는 인가대수가 71대에 이르렀다고 한다. 디시인사이드 [[버스 갤러리]] 등에서는 이 노선이 그대로 남아있었다면 어땠을까하고 아쉬워하는 의견이 많다. 각 구간별로 수요가 갈리는 노선 역할을 생각하면 잘라놓은 게 잘 된 것 같긴 하지만. 지금의 노선규칙으로는 572번인 듯.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의 철도역만 기재하였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서울)|시청역]], [[서울역]],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경복궁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숭실대입구역]], 가리봉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근열차)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04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