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애도기간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정치인 비판 관련 내용을 서술할 때에는 7순위 이내 근거를 첨부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정치인 비판 관련 내용을 서술할 때에는 7순위 이내 근거를 첨부하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1. 개요
2. 기능
3. 한국의 국가애도기간
3.1. 사례
3.2. 애도기간의 운영
3.3. 국가 애도의 날
4. 주요 해외 사례


1. 개요[편집]


국가 애도 기간(國家哀悼期間, Period of national mourning)은 군주제 국가의 군주의 붕어, 사회에서 존경받는 사람의 사망[1], 많은 희생자를 낸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국가적으로 이를 애도하고 추모하기 위해 지정되는 기간이다. 국가 차원에서의 애도기간은 행정권을 가진 정부수반 내지는 국가원수가 공식 선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간은 보통 사흘, 일주일, 열흘에서 길면 한 달 정도다.

브라질에서는 굉장히 자주 선포한다. 자국의 전직 대통령, 부통령뿐만 아니라 타국 국가원수들이 사망했을 때도 선포하며 펠레오스카르 니에메예르 등 자국의 명망 높은 인물들이 사망했을 때도 선포한다.#

2. 기능[편집]


국가에서 애도기간을 정함으로써 이후에 계속 추모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면 국가애도기간이 끝났는데 추모하라고 하지 말라고 반박할 수 있다. 사고로 인해 가장 슬플 사람들은 사랑하는 자녀와 형제자매를 잃은 유가족들인데 그들도 장례가 끝나면 슬픔을 억누르며 일상으로 돌아간다. 그들과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들까지 장기간 억지로 슬퍼해야 할 분위기를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 각자 달리 생각하는 애도 기간으로 인해 발생할 분열을 막을 수 있다. 세월호 참사의 경우 19일 후인 어린이날 행사가 모두 연기 또는 취소되었고 6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간에도 비교적 잔잔한 로고송이 흘러나왔으며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의 열기도 과거 다른 월드컵보다 덜했을 정도였다.[2] 즉, 세월호 참사 직후 2014년 4월 16일부터 2개월 남짓이나 대한민국 전체가 초상집 분위기였던 셈이다.

일본은 이보다 더 심했는데 쇼와 덴노1988년 9월에 위독해지자 일본에서는 벌써부터 초상집 분위기에 들어갔으며 이는 해를 넘기고 1989년 1월에 쇼와 덴노가 사망하고 한 달 뒤에서야 끝났다. 즉 일본 전체가 무려 5개월 동안 초상집 분위기였다.

3. 한국의 국가애도기간[편집]


파일:국가애도기간 선포 기준 국민신문고 답변.png

대한민국은 국가애도기간의 법적 근거나 선포 기준, 운영 방식이 명확히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대략적으로는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면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한다고 한다.


3.1. 사례[편집]


한국에서는 총 2번 선포되었는데 이명박 정부천안함 피격 사건 후, 윤석열 정부이태원 압사 사고 후 선포하였다.[3]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 4월 25일~4월 29일 (5일)
  • 이태원 압사 사고[4]: 2022년 10월 30일~11월 5일 (7일)


3.2. 애도기간의 운영[편집]


  • 공무원공공기관 직원이 검소한 복장에 근조(謹弔) 리본을 패용
  •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회식 금지
  •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체육대회, 축제 등의 행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급적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하더라도 간소하게 진행할 것
  • 조기 게양과 추도 묵념[5]
  • 공무원공공기관 직원은 특별한 사유 없이 연차 사용 금지.[6]

3.3. 국가 애도의 날[편집]


2001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시로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의 희생자들을 위해 2001년 9월 14일을 '애도의 날'로 지정해 전국의 모든 관공서와 학교에 조기를 게양하고 오전 10시 사이렌이 울리면 활동 현장에서 1분간 추모묵념을 하도록 했다.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때 4월 25일~4월 29일 장례기간을 애도기간, 마지막 29일 영결식을 국가 애도의 날로 정한 바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사례가 없지만[7]외국에서는 국가원수의 장례식 당일에 애도의 날을 선포한다.


3.4. 비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국가애도기간/비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요 해외 사례[편집]


여기서 해외의 많은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권에서는 해당 국가의 어느 군주가 사망하면 기간은 서로 다르지만 다같이 애도 기간을 선포한다. 종교의 영향이 강한 나라는 종교 지도자의 사망 직후에도 선포하며 냉전 시절에는 소련 지도자의 죽음에 친소련 국가들과 공산권 국가들이 함께 애도기간을 가졌다.

연도사건국가애도기간
1964에밀리오 아기날도 전 대통령 사망
파일:필리핀 국기.svg

2월 6일~2월 20일15일
1968유리 가가린 사망
파일:소련 국기.svg

3월 27일1일
1981모함마드알리 라자이 대통령 사망
파일:이란 국기.svg

8월 30일~9월 3일5일
1985탄크레두 네베스 대통령 당선인 사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4월 21일~4월 28일8일
1989루홀라 호메이니 사망
파일:이란 국기.svg

6월 3일~6월 5일3일
우파 철도 참사
파일:소련 국기.svg

6월 5일1일
1994김일성 사망
파일:북한 국기.svg

7월 8일~7월 17일10일
1996에르네스투 가이제우 전 대통령 사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9월 12일~9월 19일3일
1999주앙 피게이레두 전 대통령 사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12월 24일~12월 26일3일
2004마드리드 열차 테러 참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3월 12일~3월 14일3일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2월 27일~12월 29일3일
2005요한 바오로 2세 사망
파일:바티칸 국기.svg

4월 9일~4월 17일9일
2007보리스 옐친 전 대통령 국장
파일:러시아 국기.svg

4월 25일1일
2008수하르토 전 대통령 사망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월 27일~2월 2일7일
쓰촨성 대지진
파일:중국 국기.svg

5월 18일~5월 20일3일
루스 카르도주[8] 전 영부인 사망
파일:브라질 국기.svg

6월 25일~6월 27일3일
2009라울 알폰신 전 대통령 사망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월 31일~4월 2일3일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 사망8월 1일~8월 10일10일
2010폴란드 공군 Tu-154 추락사고
(레흐 카친스키 대통령 부부 사망)
4월 10일~4월 16일7일
네스토르 키르치네르 전 대통령 사망10월 27일~10월 29일3일
2011조제 알렝카르 전 부통령 사망3월 29일~4월 4일7일
이타마르 프랑쿠 전 대통령 사망7월 2일~7월 8일
김정일 사망12월 19일~12월 29일11일
2013우고 차베스 대통령 사망3월 6일~3월 16일11일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중남미 국가 다수[9]3월 6일~3월 8일
3월 6일~3월 12일
3일
7일
넬슨 만델라 사망12월 6일~12월 15일10일
2014에우제비우 사망1월 5일~1월 8일4일
2014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5월 15일1일
20152015년 네팔 대지진4월 29일~5월 1일3일
2015년 앙카라 폭탄 테러10월 10일~10월 12일3일
2015년 11월 파리 테러11월 14일~11월 16일3일
20162016년 브뤼셀 테러3월 23일~3월 25일3일
2016년 에콰도르 지진4월 25일~5월 2일8일
2016년 니스 테러7월 16일~7월 18일3일
피델 카스트로 사망11월 26일~12월 4일9일
라미아항공 2933편 추락 사고11월 29일~12월 1일3일
2017마리사 레티시아 다 시우바[10] 전 영부인 사망2월 3일~2월 5일3일
악바르 하셰미 라프산자니 전 대통령 사망1월 8일~1월 10일3일
2017년 멕시코 중부 대지진9월 20일~9월 22일3일
2018쿠바나 항공 972편 추락 사고5월 19일~5월 20일2일
2019페르난도 데 라 루아 전 대통령 사망7월 9일~7월 11일3일
2020카부스 빈 사이드 술탄 사망1월 10일~1월 12일3일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 사망2월 25일~2월 27일3일
디에고 마라도나 사망11월 25일~11월 27일3일
타바레 바스케스 전 대통령 사망12월 6일~12월 8일3일
2021카를로스 메넴 전 대통령 사망2월 14일~2월 16일3일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 사망4월 20일~5월 3일14일
베니그노 아키노 3세 전 대통령 사망6월 24일~7월 3일10일
프레데리크 빌럼 데 클레르크 전 대통령 사망11월 17일~11월 21일5일
김정일 사망 10주기12월 10일~12월 20일11일
2022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대통령 사망5월 13일~6월 21일40일
5월 13일~5월 15일3일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국가 다수[11]5월 13일~5월 15일
5월 13일~6월 21일
5월 14일~5월 15일
3일
40일
2일
아베 신조일본 총리 사망[12]7월 8일~7월 10일3일
피델 라모스 전 대통령 사망7월 31일~8월 9일10일
엘리자베스 2세 사망[13]9월 9일~9월 26일18일
9월 9일~9월 20일12일
9월 9일~9월 19일11일
9월 10일~9월 19일10일
9월 9일~9월 15일7일
9월 10일~9월 16일
9월 10일~9월 14일5일
9월 9일~9월 12일4일
9월 9일~9월 11일, 9월 18일
9월 8일~9월 10일3일
9월 9일~9월 11일
9월 10일~9월 12일
9월 12일~9월 14일
9월 17일~9월 19일
9월 18일~9월 20일
9월 12일~9월 13일2일
9월 9일1일
9월 10일
9월 11일
9월 12일
9월 19일
이젭스크 88번 학교 총기난사 사건9월 27일~9월 29일3일
폭우 피해10월 11일~10월 13일3일
펠레 사망12월 29일~12월 31일
12월 29일~2023년 1월 5일 (상파울루 지역)
3일
7일 (상파울루)
2023예티항공 691편 추락 사고1월 16일1일
가지안테프 지진2월 6일~2월 12일7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사망6월 14일1일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14]8월 4일~8월 7일3일
2023년 모로코 대지진9월 10일~9월 13일3일
[1] 주로 전현직 대통령들이 대상이다.[2] 물론 브라질 월드컵 열기가 덜했던 것은 최종예선본선에서의 졸전과 브라질과의 시차 때문도 있었다. 브라질 월드컵 대한민국 첫 경기인 러시아전의 경우 한국시간으로 평일 출근 및 등교시간에 경기가 열려 출근길, 등굣길에 DMB를 통해 경기를 시청하는 사람들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그리고 한일 월드컵이 열린지 12년이 지난 탓도 있다. 2006년 독일 월드컵은 물론이고 2010년 남아공 월드컵만 해도 한일 월드컵의 열기가 남아있어서 빨간 티를 입으면서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응원을 했다.[3] 흔히 세월호 사건 당시에도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세월호 사건으로 국가애도기간이 선포된 적은 없다. 그러나 당시 예능 프로들이 방송을 중단하고 전국에 분향소가 설치되고 어린이날 행사가 대거 취소되는 등 사회적 분위기는 애도기간 그 이상이었고 사실상 국상(國喪) 분위기였다.[4] 희생자들이 국가애도기간 지정 덕에 지원금과 장례 비용을 지원받는다는 소문이 인터넷에 돌아다녔지만 국가애도기간 지정이 아니라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지원이었다.[5] 국가 애도의 날 한정.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엔 영결식이 거행되는 29일 하루였다. 정부는 그 외에 2001년 9월 14일에도 9.11 테러 희생자를 위한 애도의 날을 가진 적이 있다. 이태원 압사 사고 당시에는 국가 애도의 날이 따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대신 대통령 지시로 참사 이튿날 10월 31일에 전 공공기관에 조기가 게양되었다.[6] 이미 휴가를 나온 상태라도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복귀해야 한다.[7] 공식적으로 애도의 날로 선포한 건 아니지만 육영수 저격 사건이 일어났던 1974년 8월 15일부터 19일, 박정희 대통령 저격 사건이 일어났던 1979년 10월 27일부터 11월 3일,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가 일어났던 1983년 10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장례기간 동안 전국에 분향소가 세워지고 TV와 라디오에서 정규프로를 중단하고 추모방송이 나오는 등 범정부적으로 애도 분위기를 조성하였다.[8] 페르난두 카르도주의 배우자.[9] 비슷한 성향의 중남미 정권 다수에 영향력을 끼쳤던 차베스였던 만큼 볼리비아, 칠레,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을 비롯해 중남미 15개국 이상의 국가가 모두 연대해 3~7일의 국가애도기간을 가졌다.[10]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의 두 번째 배우자.[11]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레바논, 오만, 모리타니, 이집트, 모로코, 요르단, 알제리. 이 중 요르단은 40일, 알제리는 2일 동안 애도 기간을 가졌다.[12] 브라질일본계 브라질인이 많아서 일본과 상당히 친밀하다.[13] 다수의 언론에서 호주와 뉴질랜드가 영국과 같이 국가애도기간에 들어갔다고 보도했으나 호주 정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공식 애도 기간이 아니라고 한다.[14] 폭발 사고 3주년 기념일.